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22.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623

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009

디버깅 기술: 47.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01

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43

개발 환경 구성: 297.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36

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 https://www.sysnet.pe.kr/2/0/11630

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1689

VS.NET IDE: 145. NuGet + Github 라이브러리 디버깅 관련 옵션 3가지 - "Enable Just My Code" / "Enable Source Link support" / "Suppress JIT optimization on module load (Managed only)"
; https://www.sysnet.pe.kr/2/0/12200

VS.NET IDE: 149. ("Binary was not built with debug information" 상태로)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278

개발 환경 구성: 500.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을 dotPeek 도구로 해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1

VS.NET IDE: 153.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My Code" 범위와 "Enable Just My Code"의 역할
; https://www.sysnet.pe.kr/2/0/12401

VS.NET IDE: 170.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역어셈블 소스코드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0

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3109

VS.NET IDE: 180. Visual Studio -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 중 "Decompile source code"가 동작하는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247

VS.NET IDE: 189. Visual Studio - 닷넷 소스코드 디컴파일 찾기가 안 될 때
; https://www.sysnet.pe.kr/2/0/13554




Visual Studio -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 중 "Decompile source code"가 동작하는 않는 문제

최근의 Visual Studio에서 분명히 decompiled 시킨 어셈블리임에도 불구하고,

vs_gen_src_access_0.png

정작 Call Stack에서 해당 코드를 보려고 더블 클릭을 하면 곧바로 소스 코드가 보이지 않고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

vs_gen_src_access_1.png

"Decompile source code" 링크를 클릭해도 해당 소스 코드가 열리지 않는데요, 디컴파일된 소스 코드 위치를 찾아,

C:\> dir /a/s FileChangesMonitor.cs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7090-BBAB

 Directory of %LOCALAPPDATA%\Temp\.vsdbgsrc\2E5F9520028DF5D1934C4EF28AB8655FBAFE89A456A92B6F3491798DF6DFE690

2023-01-31  오후 04:39            23,277 FileChangesMonitor.cs
               1 File(s)         23,277 bytes

     Total Files Listed:
               1 File(s)         23,277 bytes
               0 Dir(s)  567,419,895,808 bytes free

C:\>

"Browse and find CacheDependency.cs..." 링크를 눌러 위의 위치를 지정했더니 이런 오류 창이 뜹니다.

Find Source: CacheDependency.cs

FileChangesMonitor.cs
You don’t have permission to open this file. 

Contact the file owner or an administrator to obtain permission.

재미있는 건, 실제로 해당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다는 점입니다.

vs_gen_src_access_2.png

게다가 관리자 권한은 물론 시스템 권한으로도 소유권을 가져올 수 없습니다.

c:\temp> takeown /f "%LOCALAPPDATA%\Temp\.vsdbgsrc\2E5F...[생략]...6DFE690\FileChangesMonitor.cs" /a /r /d y
ERROR: Access is denied.

어쩔 수 없습니다. ^^; 이런 경우 그냥 .vsdbgsrc 하위 디렉터리를 전부 삭제하는 식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다행히 파일 자체에 대한 권한이 막힌 것이어서 그것을 포함한 디렉터리는 삭제가 가능합니다. 그다음, 다시 Visual Studio의 Modules 창(단축키: Ctrl+Alt+U)에서,

vs_gen_src_access_3.png

"Extract Source Code" 메뉴를 이용해 DLL로부터 소스 코드 파일을 생성하면 이후 소스 코드 디버깅이 다시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Extract Source Code"를 (실행했던 적이 아닌) 실행한 Visual Studio가 열려 있는 경우, 생성된 소스 코드들은 현재의 Visual Studio가 배타적으로 열고 있어 다른 에디터에서 열려고 하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The process cannot access the file because it is being used by another process.

만약,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 돼서 "Extract Source Code" 작업을 다시 해야 하는 경우라면 그냥 Visual Studio를 종료하고 파일 탐색기를 이용해 지우면 됩니다. 혹은, "Tools" 메뉴의 "External Tools..."에,

Visual Studio - External Tools에 Shell 내장 명령어 등록
; https://www.sysnet.pe.kr/2/0/13244

다음과 같은 설정으로 등록해 두면 이후 편리하게 쓸 수 있을 것입니다. ^^

Command: %comspec%
Arguments: /C rmdir /s /q "%LOCALAPPDATA%\Temp\.vsdbgsrc"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35정성태7/27/202115108.NET Framework: 1081. C# - Azure AD 인증을 지원하는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예제(Windows Forms) [2]파일 다운로드1
12734정성태7/26/202131941스크립트: 20. 특정 단어로 시작하거나/끝나는 문자열을 포함/제외하는 정규 표현식 - Look-around
12733정성태7/23/202119792.NET Framework: 1081. Self-Contained/SingleFile 유형의 .NET Core/5+ 실행 파일을 임베딩한다면? [1]파일 다운로드2
12732정성태7/23/202113249오류 유형: 742. SharePoint - The super user account utilized by the cache is not configured.
12731정성태7/23/202115284개발 환경 구성: 584. Add Internal URLs 화면에서 "Save" 버튼이 비활성화 된 경우
12730정성태7/23/202116724개발 환경 구성: 583. Visual Studio Code - Go 코드에서 입력을 받는 경우
12729정성태7/22/202115231.NET Framework: 1080. xUnit 단위 테스트에 메서드/클래스 수준의 문맥 제공 - Fixture
12728정성태7/22/202115223.NET Framework: 1079. MSTestv2 단위 테스트에 메서드/클래스/어셈블리 수준의 문맥 제공
12727정성태7/21/202116416.NET Framework: 1078. C# 단위 테스트 - MSTestv2/NUnit의 Assert.Inconclusive 사용법(?) [1]
12726정성태7/21/202116206VS.NET IDE: 169. 비주얼 스튜디오 - 단위 테스트 선택 시 MSTestv2 외의 xUnit, NUnit 사용법 [1]
12725정성태7/21/202114628오류 유형: 741. Failed to find the "go" binary in either GOROOT() or PATH
12724정성태7/21/202117537개발 환경 구성: 582. 윈도우 환경에서 Visual Studio Code + Go (Zip) 개발 환경 [1]
12723정성태7/21/202114487오류 유형: 740. SharePoint - Alternate access mappings have not been configured 경고
12722정성태7/20/202114245오류 유형: 739. MSVCR110.dll이 없어 exe 실행이 안 되는 경우
12721정성태7/20/202115369오류 유형: 738.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station and the primary domain failed. - 세 번째 이야기
12720정성태7/19/202114643Linux: 43. .NET Core/5+ 응용 프로그램의 Ubuntu (Debian) 패키지 준비
12719정성태7/19/202113841오류 유형: 737. SharePoint 설치 시 "0x800710D8 The object identifier does not represent a valid object." 오류 발생
12718정성태7/19/202113875개발 환경 구성: 581. Windows에서 WSL로 파일 복사 시 root 소유권으로 적용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2717정성태7/18/202114064Windows: 195. robocopy에서 파일의 ADS(Alternate Data Stream) 정보 복사를 제외하는 방법
12716정성태7/17/202115193개발 환경 구성: 580. msbuild의 Exec Task에 robocopy를 사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715정성태7/17/202122387오류 유형: 736. Windows - MySQL zip 파일 버전의 "mysqld --skip-grant-tables" 실행 시 비정상 종료 [1]
12714정성태7/16/202115781오류 유형: 735. VCRUNTIME140.dll, MSVCP140.dll, VCRUNTIME140.dll, VCRUNTIME140_1.dll이 없어 exe 실행이 안 되는 경우
12713정성태7/16/202117131.NET Framework: 1077. C# - 동기 방식이면서 비동기 규약을 따르게 만드는 Task.FromResult파일 다운로드1
12712정성태7/15/202116078개발 환경 구성: 579. Azure - 리눅스 호스팅의 Site Extension 제작 방법
12711정성태7/15/202116097개발 환경 구성: 578. Azure - Java Web App Service를 위한 Site Extension 제작 방법
12710정성태7/15/202118704개발 환경 구성: 577. MQTT - emqx.io 서비스 소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