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2094. C# - Job에 Process 포함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11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Job에 Process 포함하는 방법

개인적으로 단 한 번도 Job을 생성한 프로젝트를 해 본 적이 없는데요, 아마도 마이크로소프트 이외에는 거의 안 쓰는 커널 자원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혹시, 사용하고 계신 분 있으시면 어떤 상황에서 쓰시고 계신지 덧글 부탁드립니다.)

마침 oldnewthing 블로그에 Job과 관련한 글이 올라왔는데요,

A more direct and mistake-free way of creating a process in a job object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209-00/?p=107812

Windows 10/Windows Server 2016 미만의 운영체제에서는 Job에 프로세스를 할당하는 과정이 이렇게 된다고 합니다.

  1. 프로세스를 suspend 상태로 생성
  2. Assign­Process­To­Job­Object API를 사용해 Job에 프로세스 연결
  3. 중지시켰던 프로세스를 resume

문제는, 1번 과정을 수행 후 2번 과정으로 넘어가는 중에 현재의 프로세스가 종료해 버리면 suspend 상태로 실행해 두었던 프로세스가 붕 떠버리는(orphaning the process) 결과가 발생한다는 겁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ROC_THREAD_ATTRIBUTE_JOB_LIST" 옵션이 추가되었고, 이를 활용하면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시점에 Job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본문에서는 그에 대한 C/C++ 코드가 실려 있는데요, C#으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생략: 전체 소스 코드는 첨부 파일을 확인하세요.]...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Ptr job = CreateJobObject(IntPtr.Zero, null);

    nint size = 0;
    InitializeProcThreadAttributeList(IntPtr.Zero, 1, 0, ref size);
    nint p = Marshal.AllocHGlobal(size);

    InitializeProcThreadAttributeList(p, 1, 0, ref size);

    nuint flags = ProcThreadAttributeValue(ProcThreadAttributeJobList, false, true, false);
    bool result = UpdateProcThreadAttribute(p, 0, flags, ref job, IntPtr.Size, IntPtr.Zero, IntPtr.Zero);

    string cmd = "C:\\Windows\\System32\\cmd.exe";
    STARTUPINFOEX siex = new STARTUPINFOEX();
    siex.lpAttributeList = p;
    siex.StartupInfo.cb = Marshal.SizeOf<STARTUPINFOEX>();
    PROCESS_INFORMATION pi;

    CreateProcess(cmd, cmd, IntPtr.Zero, IntPtr.Zero, false, CREATE_NEW_CONSOLE | EXTENDED_STARTUPINFO_PRESENT,
        IntPtr.Zero, null, ref siex, out pi);

    bool isInJob;
    IsProcessInJob(pi.hProcess, job, out isInJob);
    Console.WriteLine($"In job: {isInJob}");

    CloseHandle(pi.hProcess);
    CloseHandle(pi.hThread);

    Marshal.FreeHGlobal(p);

    CloseHandle(job);
}

Job과 관련한 기능은 닷넷 런타임의 범위에는 속하지 않으므로 모든 API를 P/Invoke로 연결해 호출해야 합니다. 또한, C#의 ProcessStartInfo는 lpAttributeList를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지 않아 STARTUPINFOEX/CreateProcess까지도 모두 P/Invoke로 호출해야 하고!

어쨌든 저 코드를 실행하면 화면에는 "In job: True"라는 문자열이 출력되고, Visual Studio에서 그 라인에 BP로 멈춰 Process Explorer를 통해 확인해 보면 cmd.exe 프로세스가 Job에 속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s_createjob_1.png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3/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3-23 07시53분
Why does the usage of the initial registers of a Win32 process depend on whether it is a 32-bit or 64-bit proces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321-00/?p=107954
정성태
2025-05-27 10시22분
How can I detect if one of my helper processes is launching child processe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50523-00/?p=111216

Job에 할당한 프로세스의 경우, 그 프로세스에서 생성한 자식 프로세스의 생성/종료를 IOCP를 이용해 알림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define UNICODE
#define _UNICODE
#define STRICT
#include <windows.h>
#include <stdio.h>
#include <atlbase.h>
#include <atlalloc.h>
#include <shlwapi.h>

int __cdecl wmain(int argc, PWSTR argv[])
{
 CHandle Job(CreateJobObject(nullptr, nullptr));
 if (!Job) {
  wprintf(L"CreateJobObject, error %d\n", GetLastError());
  return 0;
 }


 CHandle IOPort(CreateIoCompletionPort(INVALID_HANDLE_VALUE,
                                       nullptr, 0, 1));
 if (!IOPort) {
  wprintf(L"CreateIoCompletionPort, error %d\n",
          GetLastError());
  return 0;
 }


 JOBOBJECT_ASSOCIATE_COMPLETION_PORT Port;
 Port.CompletionKey = Job;
 Port.CompletionPort = IOPort;
 if (!SetInformationJobObject(Job,
       JobObjectAssociateCompletionPortInformation,
       &Port, sizeof(Port))) {
  wprintf(L"SetInformation, error %d\n", GetLastError());
  return 0;
 }


 PROCESS_INFORMATION ProcessInformation;
 STARTUPINFO StartupInfo = { sizeof(StartupInfo) };
 PWSTR CommandLine = PathGetArgs(GetCommandLine());


 if (!CreateProcess(nullptr, CommandLine, nullptr, nullptr,
                    FALSE, CREATE_SUSPENDED, nullptr, nullptr,
                    &StartupInfo, &ProcessInformation)) {
  wprintf(L"CreateProcess, error %d\n", GetLastError());
  return 0;
 }


 if (!AssignProcessToJobObject(Job,
         ProcessInformation.hProcess)) {
  wprintf(L"Assign, error %d\n", GetLastError());
  return 0;
 }


 ResumeThread(ProcessInformation.hThread);
 CloseHandle(ProcessInformation.hThread);
 CloseHandle(ProcessInformation.hProcess);


 DWORD CompletionCode;
 ULONG_PTR CompletionKey;
 LPOVERLAPPED Overlapped;

 while (GetQueuedCompletionStatus(IOPort, &CompletionCode,
          &CompletionKey, &Overlapped, INFINITE)) {
  if ((HANDLE)CompletionKey == Job) {
    if (CompletionCode == JOB_OBJECT_MSG_ACTIVE_PROCESS_ZERO) {
      break; // all processes have exited - done
    } else if (CompletionCode == JOB_OBJECT_MSG_NEW_PROCESS) {
      wprintf(L"Process %d created\n", PtrToInt(Overlapped));
    } else if (CompletionCode == JOB_OBJECT_MSG_EXIT_PROCESS) {
      wprintf(L"Process %d exited\n", PtrToInt(Overlapped));
    } else if (CompletionCode == JOB_OBJECT_MSG_ABNORMAL_NEW_PROCESS) {
      wprintf(L"Process %d exited abnormally\n", PtrToInt(Overlapped));
    }
  }
 }

 wprintf(L"All done\n");

 return 0;
}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33정성태1/28/202319887오류 유형: 840. C# - WebClient로 https 호출 시 "The request was aborted: Could not create SSL/TLS secure channel" 예외 발생
13232정성태1/27/202315731스크립트: 43. uwsgi의 --processes와 --threads 옵션
13231정성태1/27/202313852오류 유형: 839. python - TypeError: '...' object is not callable
13230정성태1/26/202315404개발 환경 구성: 660. WSL 2 내부로부터 호스트 측의 네트워크로 UDP 데이터가 1개의 패킷으로만 제한되는 문제
13229정성태1/25/202318260.NET Framework: 2090. C# - UDP Datagram의 최대 크기
13228정성태1/24/202319740.NET Framework: 2089. C# - WMI 논리 디스크가 속한 물리 디스크의 정보를 얻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3227정성태1/23/202317960개발 환경 구성: 659. Windows - IP MTU 값을 바꿀 수 있을까요? [1]
13226정성태1/23/202315114.NET Framework: 2088. .NET 5부터 지원하는 GetRawSocketOption 사용 시 주의할 점
13225정성태1/21/202316194개발 환경 구성: 658. Windows에서 실행 중인 소켓 서버를 다른 PC 또는 WSL에서 접속할 수 없는 경우
13224정성태1/21/202315267Windows: 221. Windows - Private/Public/Domain이 아닌 네트워크 어댑터 단위로 방화벽을 on/off하는 방법
13223정성태1/20/202314577오류 유형: 838. RDP 연결 오류 - The two computers couldn't connect in the amount of time allotted
13222정성태1/20/202315150개발 환경 구성: 657. WSL - DockerDesktop.vhdx 파일 위치를 옮기는 방법
13221정성태1/19/202315872Linux: 57. C# - 리눅스 프로세스 메모리 정보파일 다운로드1
13220정성태1/19/202316463오류 유형: 837. NETSDK1045 The current .NET SDK does not support targeting .NET ...
13219정성태1/18/202315163Windows: 220. 네트워크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
13218정성태1/17/202314842VS.NET IDE: 178. Visual Studio 17.5 (Preview 2) - 포트 터널링을 이용한 웹 응용 프로그램의 외부 접근 허용
13217정성태1/13/202315965디버깅 기술: 185. windbg - 64비트 운영체제에서 작업 관리자로 뜬 32비트 프로세스의 덤프를 sos로 디버깅하는 방법
13216정성태1/12/202314285디버깅 기술: 184. windbg - 32비트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인 경우 !peb 명령어로 나타나지 않는 환경 변수
13215정성태1/11/202318717Linux: 56. 리눅스 - /proc/pid/stat 정보를 이용해 프로세스의 CPU 사용량 구하는 방법 [1]
13214정성태1/10/202319114.NET Framework: 2087. .NET 6부터 SourceGenerator와 통합된 System.Text.Json [1]파일 다운로드1
13213정성태1/9/202315362오류 유형: 836. docker 이미지 빌드 시 "RUN apt install ..." 명령어가 실패하는 이유
13212정성태1/8/202318204기타: 85. 단정도/배정도 부동 소수점의 정밀도(Precision)에 따른 형변환 손실
13211정성태1/6/202318071웹: 42. (https가 아닌) http 다운로드를 막는 웹 브라우저
13210정성태1/5/202316606Windows: 219. 윈도우 x64의 경우 0x00000000`7ffe0000 아래의 주소는 왜 사용하지 않을까요?
13209정성태1/4/202314315Windows: 218. 왜 윈도우에서 가상 메모리 공간은 64KB 정렬이 된 걸까요?
13208정성태1/3/202316740.NET Framework: 2086. C# - Windows 운영체제의 2MB Large 페이지 크기 할당 방법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