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 영문 폰트가 Fullwidth Latin Character로 바뀌는 문제

얼마 전부터 비주얼 스튜디오를 사용할 때마다 자꾸만 영문 폰트가 이상해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뭐랄까, 일반 글씨체는 아니고, 약간 넓은 글씨체라고 해야 할까요,,, 설명이 어려우니 ^^ 아래의 그림으로 실어봤습니다.

vs_font_cs1056_1.png

첫 번째 라인은 정상 텍스트인 반면, 두 번째 라인은 영문만 폰트가 뭔가 이상합니다. 그래서 (당연하겠지만) 컴파일을 하면 "Error CS1056 Unexpected character '...'"가 발생하게 됩니다.

비주얼 스튜디오를 종료하고 다시 시작하면 폰트가 정상적으로 돌아왔기 때문에 그냥 무시하고 있다가... 자꾸 저런 현상이 발생해서 ^^; 원인을 분석해 봤습니다.

우선, 비정상 텍스트와 정상 텍스트가 포함된 텍스트 파일을 만들고,

client
client

저장한 다음 hexa 값을 봤더니 이렇게 나옵니다.

EF BB BF // Byte order mark

c        l        i        e        n        t
63       6C       69       65       6E       74

c       l       i       e       n       t
EF BD 83 EF BD 8C EF BD 89 EF BD 85 EF BD 8E EF BD 94

'c' 글자 하나가 "EF BD 83" 3바이트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0xefbd83을 유니코드로 검색하면,

Unicode Character 'FULLWIDTH LATIN SMALL LETTER C' (U+FF43)
; https://www.fileformat.info/info/unicode/char/ff43/index.htm

위의 글자가 UTF-8 인코딩된 것이었습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다시 검색해 보니 Visual Studio Code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있었다고 합니다.

How to switch between fullwidth and halfwidth in Visual Studio Code?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2759250/how-to-switch-between-fullwidth-and-halfwidth-in-visual-studio-code

그런데... 답이 없군요. ^^; 그러다 작업 표시줄의 IME 창에 눈길이 갔습니다. 오호... "Character width (Full)" 설정이 돼 있는 것입니다.

vs_font_cs1056_2.png

이 값을 "Half-width"로 바꾸면 정상적으로 ASCII 폰트로 돌아옵니다.




그나저나 이상하군요, 왜 자꾸 갑자기 저 폰트로 바뀌는 걸까요? 분명히 저는 마우스로 저 메뉴를 직접 바꾼 적이 없습니다. 검색해 보면, 이에 대한 단축키로 Shift + Space가 설정돼 있다고 하는데 제 컴퓨터에서 해보면 해당 키 조합이 먹히지 않습니다. (그냥 스페이스가 입력됩니다.)

그러니까, 설령 우연이라도 저 키 조합을 눌렀다고 해도 Fullwidth/Halfwidth 설정이 토글되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이에 대한 단축키를 찾아보면,

Simplified Chinese MSPY 3.0 IME Hot Key Registry Settings (Windows CE 5.0)
; https://learn.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embedded/ms904626(v=msdn.10)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Input Method\Hot Keys\00000011" 레지스트리 키 경로가 그에 대한 단축키라고 합니다. 제 컴퓨터 설정을 보면,

Key Modifiers: 04 C0 00 00
Target IME: 00 00 00 00
Virtual Key: 20 00 00 00

// Registry: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Input Method\Hot Keys
// https://renenyffenegger.ch/notes/Windows/registry/tree/HKEY_CURRENT_USER/Control-Panel/Input-Method/Hot-Keys/index

// Target IME: 00 00 00 00 for all languages(?) 

// Key modifiers
// 01: Left alt
// 02: control
// 04: shift (MOD_SHIFT)

04가 Shift 키에 해당하고 Virtual Key 20은 Space 키가 맞습니다. 단지, Key Modifiers에 "C0"이 있어서 그런지 어쨌든 Shift + Space 키는 Fullwidth/Halfwidth에 대한 토글키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만!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5-05-08 01시39분
전각(Full-width)/반각(Half-width) 기능을 토글하는 키가 Alt + "=" 키입니다. 네이버 블로그 글에 vactorman("https://blog.naver.com/vactorman") 님이 덧글을 달아주셨군요. ^^

https://blog.naver.com/techshare/223016961489

재미있는 건 해당 토글이 항상 동작하는 것은 아니고, 조건이 있는 것 같은데요, 가령 다음과 같이 하면 재현이 안 됩니다.

1. "메모장"을 실행.
2. '영문' 타이핑 테스트를 해보면 Alt + "=" 키를 눌러도 전각/반각 전환이 안 됨.

대신, "한/영" 전환을 한 번이라도 해주면 재현이 됩니다.

1. "메모장"을 실행.
2. '한/영' 변환키를 한 번 누르면 "한글" 입력 상태로 전환.
3. Alt + "=" 키를 누르면 '전각' 입력으로 전환, Space 키를 눌러 보면 이전과 다르게 넓게 타이핑이 됨.
4. (현재는 한글 입력 상태이므로) 한글 글자로는 '전각' 차이가 안 나는데, '한/영' 변환키를 한 번 더 눌러 "영문" 입력 상태로 전환 후 타이핑을 하면 확실하게 '전각' 타이핑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음.

저렇게 일단 '한/영' 변환키가 한 번이라도 눌린 적이 있어야, 해당 응용 프로그램 인스턴스에 한해 Alt + "=" 키로 전각/반각 토글이 가능합니다. (즉, 다시 실행하면 '한/영' 변환키를 입력한 적이 없는 경우 Alt + "=" 키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정성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11정성태12/2/200941837.NET Framework: 169. [in, 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8]파일 다운로드2
810정성태12/1/200937599.NET Framework: 168. [in,out] 배열을 C#에서 C/C++로 넘기는 방법 [3]
809정성태11/27/200926950오류 유형: 90. Method not found: 'Void System.Reflection.Emit.DynamicMethod..ctor(System.String, System.Type, System.Type[])'.
808정성태11/26/200935841VC++: 38. X64 빌드 오류: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COMDLL]_ProxyFileInfo
807정성태11/23/200929927웹: 14. 로컬에 있는 HTML 페이지를 보호 모드에서 여는 방법
802정성태11/19/200932111.NET Framework: 167. 다른 스레드의 호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801정성태11/18/200939456개발 환경 구성: 55. Hyper-V와 고성능 그래픽 카드의 성능 문제 해결 [1]
800정성태11/13/200932208VS.NET IDE: 66. 수동으로 구성해 본 VC++ 프로젝트 설정: ReleaseMinDependency
798정성태11/10/200930919개발 환경 구성: 54. .NET 개발자가 처음 설치해 본 TOMCAT [2]
797정성태11/9/200927147개발 환경 구성: 53. 물리 PC에 설치된 Windows 7을 Hyper-V로 이전하면?
796정성태11/2/200931149오류 유형: 89. Windows 7 백업 오류 - 0x80070057
795정성태11/2/200928142오류 유형: 88. TFS 2010 (beat2) 설치 오류 -TF255272
793정성태10/19/200930078.NET Framework: 166. WPF - XAML 요소의 네임스페이스와 CLR 타입 매핑
792정성태10/17/200930511웹: 13. IIS 7.5 에서 SQL Express 연결 시 오류
791정성태10/17/200934372웹: 12. 요청 페이지에 대해 빈 화면만 보이는 경우 [1]
789정성태10/13/200930442COM 개체 관련: 22. BB FlashBack SDK와 ActiveX 버전 관리 [7]
786정성태10/9/200926516개발 환경 구성: 52. 테스트를 위한 평가판 운영체제 구하기
785정성태10/8/200932850.NET Framework: 165. WPF - UI 업데이트를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2)파일 다운로드1
783정성태10/7/200930609.NET Framework: 164. WPF - 데이터 바인딩된 트리에서 부모 노드 찾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782정성태10/6/200932837개발 환경 구성: 51. Windows 7 - 다중 원격 접속(Remote Desktop) 허용
781정성태9/30/200929339.NET Framework: 163. WPF - TreeView 자동 스크롤 기능 해지 [2]파일 다운로드1
780정성태9/28/200933505Windows: 48. Windows 7/2008에서 ping을 위한 echo 요청 열기 [2]
779정성태9/24/200924815.NET Framework: 162. WPF - 중첩된 ScrollViewer의 크기 제어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778정성태9/23/200926644오류 유형: 87. 시스템 시간 변경 후 Session이 맺어진 WCF 클라이언트의 예외 발생파일 다운로드1
776정성태9/17/200925685개발 환경 구성: 50. Reference assembly
775정성태9/13/200942322VC++: 37. XmlCodeGenerator를 C/C++ 코드 생성에 적용 [2]파일 다운로드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