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 영문 폰트가 Fullwidth Latin Character로 바뀌는 문제

얼마 전부터 비주얼 스튜디오를 사용할 때마다 자꾸만 영문 폰트가 이상해지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뭐랄까, 일반 글씨체는 아니고, 약간 넓은 글씨체라고 해야 할까요,,, 설명이 어려우니 ^^ 아래의 그림으로 실어봤습니다.

vs_font_cs1056_1.png

첫 번째 라인은 정상 텍스트인 반면, 두 번째 라인은 영문만 폰트가 뭔가 이상합니다. 그래서 (당연하겠지만) 컴파일을 하면 "Error CS1056 Unexpected character '...'"가 발생하게 됩니다.

비주얼 스튜디오를 종료하고 다시 시작하면 폰트가 정상적으로 돌아왔기 때문에 그냥 무시하고 있다가... 자꾸 저런 현상이 발생해서 ^^; 원인을 분석해 봤습니다.

우선, 비정상 텍스트와 정상 텍스트가 포함된 텍스트 파일을 만들고,

client
client

저장한 다음 hexa 값을 봤더니 이렇게 나옵니다.

EF BB BF // Byte order mark

c        l        i        e        n        t
63       6C       69       65       6E       74

c       l       i       e       n       t
EF BD 83 EF BD 8C EF BD 89 EF BD 85 EF BD 8E EF BD 94

'c' 글자 하나가 "EF BD 83" 3바이트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0xefbd83을 유니코드로 검색하면,

Unicode Character 'FULLWIDTH LATIN SMALL LETTER C' (U+FF43)
; https://www.fileformat.info/info/unicode/char/ff43/index.htm

위의 글자가 UTF-8 인코딩된 것이었습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다시 검색해 보니 Visual Studio Code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있었다고 합니다.

How to switch between fullwidth and halfwidth in Visual Studio Code?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2759250/how-to-switch-between-fullwidth-and-halfwidth-in-visual-studio-code

그런데... 답이 없군요. ^^; 그러다 작업 표시줄의 IME 창에 눈길이 갔습니다. 오호... "Character width (Full)" 설정이 돼 있는 것입니다.

vs_font_cs1056_2.png

이 값을 "Half-width"로 바꾸면 정상적으로 ASCII 폰트로 돌아옵니다.




그나저나 이상하군요, 왜 자꾸 갑자기 저 폰트로 바뀌는 걸까요? 분명히 저는 마우스로 저 메뉴를 직접 바꾼 적이 없습니다. 검색해 보면, 이에 대한 단축키로 Shift + Space가 설정돼 있다고 하는데 제 컴퓨터에서 해보면 해당 키 조합이 먹히지 않습니다. (그냥 스페이스가 입력됩니다.)

그러니까, 설령 우연이라도 저 키 조합을 눌렀다고 해도 Fullwidth/Halfwidth 설정이 토글되었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이에 대한 단축키를 찾아보면,

Simplified Chinese MSPY 3.0 IME Hot Key Registry Settings (Windows CE 5.0)
; https://learn.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embedded/ms904626(v=msdn.10)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Input Method\Hot Keys\00000011" 레지스트리 키 경로가 그에 대한 단축키라고 합니다. 제 컴퓨터 설정을 보면,

Key Modifiers: 04 C0 00 00
Target IME: 00 00 00 00
Virtual Key: 20 00 00 00

// Registry: HKEY_CURRENT_USER\Control Panel\Input Method\Hot Keys
// https://renenyffenegger.ch/notes/Windows/registry/tree/HKEY_CURRENT_USER/Control-Panel/Input-Method/Hot-Keys/index

// Target IME: 00 00 00 00 for all languages(?) 

// Key modifiers
// 01: Left alt
// 02: control
// 04: shift (MOD_SHIFT)

04가 Shift 키에 해당하고 Virtual Key 20은 Space 키가 맞습니다. 단지, Key Modifiers에 "C0"이 있어서 그런지 어쨌든 Shift + Space 키는 Fullwidth/Halfwidth에 대한 토글키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만!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61정성태6/27/201917820Graphics: 37. C# - PLplot - 출력 모음(Family File Output)
11960정성태6/27/201918869Graphics: 36. C# - PLplot의 16색 이상을 표현하는 방법과 subpage를 이용한 그리드 맵 표현
11959정성태6/27/201920032Graphics: 35. matplotlib와 PLplot의 한글 처리
11958정성태6/25/201924529Linux: 18. C# - .NET Core Console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6]
11957정성태6/24/201922895Windows: 160. WMI 쿼리를 명령행에서 간단하게 수행하는 wmic.exe [2]
11956정성태6/24/201921385Linux: 17. CentOS 7에서 .NET Core Web App 실행 환경 구성 [1]
11955정성태6/20/201919730Math: 60. C# -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54정성태6/20/201918499오류 유형: 550. scp - sudo: no tty present and no askpass program specified
11953정성태6/20/201916662오류 유형: 549. The library 'libhostpolicy.so' required to execute the application was not found in '...'
11952정성태6/20/201917360Linux: 16. 우분투, Centos의 Netbios 호스트 이름 풀이 방법
11951정성태6/20/201920582오류 유형: 548. scp 연결 시 "Permission denied" 오류 및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경고
11950정성태6/18/201920706.NET Framework: 845. C# - 윈도우 작업 관리자와 리소스 모니터의 메모리 값을 구하는 방법
11949정성태6/18/201916015오류 유형: 547. CoreCLR Profiler 예제 프로젝트 빌드 시 컴파일 오류 유형
11948정성태6/17/201918461Linux: 15. 리눅스 환경의 Visual Studio Code에서 TFS 서버 연동
11947정성태6/17/201920238Linux: 14. 리눅스 환경에서 TFS 서버 연동
11946정성태6/17/201921218개발 환경 구성: 445. C# - MathNet으로 정규 분포를 따르는 데이터를 생성, PLplot으로 Histogram 표현파일 다운로드1
11945정성태6/17/201918933Linux: 13. node.js에서 syslog로 출력하는 방법
11944정성태6/16/201925304Linux: 12. Ubuntu 16.04/18.04에서 node.js 최신 버전 설치 방법
11943정성태6/15/201918542.NET Framework: 844. C# - 박싱과 언박싱 [1]
11942정성태6/13/201924812개발 환경 구성: 444. 로컬의 Visual Studio Code로 원격 리눅스 머신에 접속해 개발하는 방법 [1]
11941정성태6/13/201917491오류 유형: 546. "message NETSDK1057: You are using a preview version of .NET Core" 빌드 경고 없애는 방법
11940정성태6/13/201917727개발 환경 구성: 443.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파일 다운로드1
11939정성태6/13/201916520오류 유형: 545. Managed Debugging Assistant 'FatalExecutionEngineError'
11938정성태6/12/201919034Math: 59. C# - 웨이트 벡터 갱신식을 이용한 퍼셉트론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37정성태6/11/201925386개발 환경 구성: 442. .NET Core 3.0 preview 5를 이용해 Windows Forms/WPF 응용 프로그램 개발 [1]
11936정성태6/10/201918317Math: 58. C# - 최소 자승법의 1차, 2차 수렴 그래프 변화 확인 [2]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