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975. .NET Core를 직접 호스팅해 (runtimeconfig.json 없이) EXE만 배포해 실행
; https://www.sysnet.pe.kr/2/0/12427

.NET Framework: 992. C# - .NET Core 3.0 이상부터 제공하는 runtimeOptions의 rollForward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2471

.NET Framework: 1165. .NET Core/5+ 빌드 시 runtimeconfig.json에 설정을 반영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983

.NET Framework: 2096. .NET Core/5+ - PublishSingleFile 유형에 대한 runtimeconfig.json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3265




.NET Core/5+ - PublishSingleFile 유형에 대한 runtimeconfig.json 설정

예제를 먼저 들어볼까요? ^^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코딩을 하고,

// .NET 7 + Console App

foreach (var item in GC.GetConfigurationVariables())
{
    Console.WriteLine(item);
}

/*
Hello, World!
[ServerGC, False]
[ConcurrentGC, True]
[RetainVM, False]
[NoAffinitize, False]
[GCCpuGroup, False]
[GCLargePages, False]
[HeapCount, 1]
[GCHeapAffinitizeMask, 0]
[GCHeapAffinitizeRanges, ]
[GCHighMemPercent, 0]
[GCHeapHardLimit, 0]
[GCHeapHardLimitPercent, 0]
[GCHeapHardLimitSOH, 0]
[GCHeapHardLimitLOH, 0]
[GCHeapHardLimitPOH, 0]
[GCHeapHardLimitSOHPercent, 0]
[GCHeapHardLimitLOHPercent, 0]
[GCHeapHardLimitPOHPercent, 0]
[GCConserveMem, 0]
*/

실행 결과를 보면, 기본 상태인 경우 ConcurrentGC는 True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만약 출력 디렉터리에 "ConsoleApp1.runtimeconfig.json" 파일을 만들어 다음과 같이 설정해 주면,

{
  "runtimeOptions": {
    "tfm": "net7.0",
    "framework": {
      "name": "Microsoft.NETCore.App",
      "version": "7.0.0"
    },
    "configProperties": {
      "System.GC.Concurrent": False
    }
  }
}

이후 ConsoleApp1 실행 시 화면에는 Concurrent 옵션이 False로 나옵니다.




그런데, 위의 응용 프로그램을 PublishSingleFile 옵션을 적용해,

C# - PublishSingleFile과 관련된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159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7.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PublishSingleFile>true</PublishSingleFile>
        <RuntimeIdentifier>win-x64</RuntimeIdentifier>
        <DebugType>embedded</DebugType>
    </PropertyGroup>

</Project>

배포하는 경우라면 어떻게 될까요? 배포 디렉터리를 보면, ConsoleApp1.exe 파일이 생성되는데요, 이 상태에서 실행하면 (예상할 수 있듯이) Concurrent 옵션이 True로 나옵니다. 그런데 이전과 마찬가지로 이 옵션을 변경하기 위해 ConsoleApp1.runtimeconfig.json을 만들어 주면 어떻게 될까요?

실행해 보면, ConsoleApp1.runtimeconfig.json 설정이 전혀 통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NET 7 이후의 경우) exe에 포함된 바이너리들은 모두 메모리 매핑에서 로딩이 돼 현재 경로가 사실상 메모리가 되기 때문에 exe가 출력된 디렉터리를 더 이상 참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ublishSingleFile의 경우 저런 옵션을 변경하고 싶다면 단일 이미지 파일 생성 이전에, 즉 프로젝트 단계에서 runtimeconfig.template.json을 추가해야 합니다.

{
    "configProperties": {
        "System.GC.Concurrent": false,
    }
}

혹은 같은 옵션이 csproj 프로젝트 파일에도 있다면 그걸 설정할 수 있는데요,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생략]...

        <ConcurrentGarbageCollection>false</ConcurrentGarbageCollection>
    </PropertyGroup>

</Project>

만약 런타임에 꼭 변경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그때는 환경 변수를 이용하는 수밖에는 없습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한 다음,

c:\temp> SET DOTNET_gcConcurrent=0

PublishSingleFile 옵션으로 배포한 파일을 실행해야 합니다.

정리해 보면, 런타임 옵션은 1) csproj로 설정하거나, 2) runtimeconfig.json으로 설정하거나, 3) 환경 변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꼭 3번 방법으로만 바꿀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2정성태4/14/200517886    답변글 VS.NET IDE: 36.1. 메모리 구성에 대한 추가 내용
137정성태3/31/200522212.NET Framework: 35. XP SP2 팝업 뚫은 소스
135정성태3/31/200520958VS.NET IDE: 26. SQL Server 2000구성이 실패
134정성태3/31/200518166COM 개체 관련: 16.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2]
128정성태3/30/200516534.NET Framework: 34. VC++에서 Managed 타입의 메서드에 BSTR을 넘기는 경우의 오류(!)
129정성태3/30/200518686    답변글 .NET Framework: 34.1.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130정성태3/30/200515938        답변글 .NET Framework: 34.2. 다시... 제가 질문한 내용입니다. ^^
131정성태3/30/200516499            답변글 .NET Framework: 34.3. 다시... 정봉겸님이 하신... 명확한 답변입니다.
126정성태3/26/200516317.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133정성태3/31/200517456    답변글 .NET Framework: 33.1. [추가]: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2]
125정성태3/26/200516399VC++: 15. VC++ Keyword
124정성태3/25/200516933.NET Framework: 32. 네트워크 공유 없이 상대 컴퓨터에 프로그램 설치
119정성태3/21/200516501.NET Framework: 3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웹 프로젝트를 열수 없습니다.
120정성태3/21/200517851    답변글 .NET Framework: 31.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PDB 파일이 잠기는 문제
121정성태3/21/200517883    답변글 .NET Framework: 31.2.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VS.NET 2003 IDE 와 연동되는 소스세이프 버전 문제
122정성태3/21/200516601    답변글 .NET Framework: 31.3. 소스세이프 관련 사이트
160정성태11/14/200519484    답변글 VS.NET IDE: 31.4.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을 붙여서 묻는 경우. [1]
196이문석12/23/200516302        답변글 .NET Framework: 31.8. [답변]: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 을 붙여서 묻는 경우.
167정성태10/10/200515850    답변글 .NET Framework: 31.5. [추가]: 삭제한 웹 가상 디렉터리에 대해 동일한 이름으로 웹 공유를 설정할 때 - 이미 있다고 오류발생
190정성태12/11/200515155    답변글 VC++: 31.6. ASP.NET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한 것을 또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가능!
191정성태12/11/200517611    답변글 VC++: 31.7. 소스 세이프 사용 시, 특정 프로젝트의 빌드 체크가 솔루션 로드할 때마다 해제되는 경우
118정성태3/30/200623452VC++: 14. TCP through HTTP tunneling: 기업 내 Proxy 서버 제한에서 벗어나는 방법 [2]
117정성태3/19/200524549.NET Framework: 30. Process.Start에서의 인자 길이 제한 [4]
116정성태3/14/200517037.NET Framework: 29. [.NET WebService] 자동생성되는 WSDL 을 막는 방법.
115정성태3/13/200517621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195정성태12/21/200516847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