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848. .NET Core/5+ - Process terminated. Couldn't find a valid ICU package installed on the system
; https://www.sysnet.pe.kr/2/0/13266

닷넷: 2153. C# - 사용자가 빌드한 ICU dll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30

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
; https://www.sysnet.pe.kr/2/0/13796

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
; https://www.sysnet.pe.kr/2/0/13797

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 https://www.sysnet.pe.kr/2/0/13800




.NET Core/5+ - Process terminated. Couldn't find a valid ICU package installed on the system

간단한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고,

// .NET 7 + linux-x64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Hello World!");
    }
}

linux-x64 유형으로,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7.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RuntimeIdentifier>linux-x64</RuntimeIdentifier>
  </PropertyGroup>

</Project>

publish를 해줍니다.

dotnet publish

출력된 파일들을 일부 컨테이너 환경에서 만든 이미지로 실행하는 경우,

FROM debian:buster-slim
WORKDIR /app

COPY . .

c:\temp> docker build -t debian_buster -f Dockerfile .

c:\temp> docker run -it debian_buster /bin/bash

# ./bin/Release/net7.0/linux-x64/publish/ConsoleApp1

이런 예외가 발생합니다.

Process terminated. Couldn't find a valid ICU package installed on the system. Please install libicu (or icu-libs) using your package manager and try again. Alternatively you can set the configuration flag System.Globalization.Invariant to true if you want to run with no globalization support. Please see https://aka.ms/dotnet-missing-libicu for more information.
   at System.Environment.FailFast(System.String)
   at System.Globalization.GlobalizationMode+Settings..cctor()
   at System.Globalization.Ordinal.IndexOfOrdinalIgnoreCase(System.ReadOnlySpan`1<Char>, System.ReadOnlySpan`1<Char>)
   at System.Globalization.Ordinal.IndexOf(System.String, System.String, Int32, Int32, Boolean)
   at System.String.Contains(System.String, System.StringComparison)
   at System.TerminalFormatStrings..ctor(Database)
   at System.ConsolePal+<>c.<.cctor>b__114_0()
   at System.Lazy`1[[System.__Canon, System.Private.CoreLib, Version=7.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7cec85d7bea7798e]].ViaFactory(System.Threading.LazyThreadSafetyMode)
   at System.Lazy`1[[System.__Canon, System.Private.CoreLib, Version=7.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7cec85d7bea7798e]].ExecutionAndPublication(System.LazyHelper, Boolean)
   at System.Lazy`1[[System.__Canon, System.Private.CoreLib, Version=7.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7cec85d7bea7798e]].CreateValue()
   at System.ConsolePal.EnsureInitializedCore()
   at System.ConsolePal.Write(Microsoft.Win32.SafeHandles.SafeFileHandle, System.ReadOnlySpan`1<Byte>, Boolean)
   at System.IO.StreamWriter.Flush(Boolean, Boolean)
   at System.IO.StreamWriter.WriteLine(System.String)
   at System.IO.TextWriter+SyncTextWriter.WriteLine(System.String)
   at System.Console.WriteLine(System.String)
   at Program.<Main>$(System.String[])
Aborted

오류 메시지에도 나오지만,

Process terminated. Couldn't find a valid ICU package installed on the system. Please install libicu (or icu-libs) using your package manager and try again. Alternatively you can set the configuration flag System.Globalization.Invariant to true if you want to run with no globalization support. Please see https://aka.ms/dotnet-missing-libicu for more information.


해결 방법은 다양하게 있습니다. 간단하게는 libicu 구성 요소를 설치하면 되는데요,

#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y apt-transport-https
# apt-get install -y libicu-dev

그렇긴 해도 응용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시스템을 변경해야 하는 것이 살짝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메시지에 나오듯이,

Runtime configuration options for globalization
; https://aka.ms/dotnet-missing-libicu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runtime-config/globalization

System.Globalization.Invariant 설정을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ConsoleApp1.template.json 파일(runtimeconfig.template.json)을 편집해 설정하면 됩니다.

{
    "runtimeOptions": {
        "tfm": "net7.0",
        "includedFrameworks": [
            {
                "name": "Microsoft.NETCore.App",
                "version": "7.0.3"
            }
        ],

        "configProperties": {
            "System.Globalization.Invariant": true
        }
    }
}

혹은 환경 변수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만약 PublishSingleFile 옵션으로 빌드했다면 반드시 환경 변수를 통해서만 런타임 변경이 가능합니다.)

# export DOTNET_SYSTEM_GLOBALIZATION_INVARIANT=1

또는, 아예 빌드 과정에서 지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7.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InvariantGlobalization>true</InvariantGlobalization>
    </PropertyGroup>

</Projec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6/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88정성태1/13/202118115.NET Framework: 1005. C# - string 타입은 shallow copy일까요? deep copy일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2487정성태1/13/202116522.NET Framework: 100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86정성태1/12/202118256.NET Framework: 1003. x64 환경에서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1]
12485정성태1/11/202118447Graphics: 38. C# - OpenCvSharp.VideoWriter에 BMP 파일을 1초씩 출력하는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2484정성태1/9/202120021.NET Framework: 1002. C# - ReadOnlySequence<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83정성태1/8/202116243개발 환경 구성: 521. dotPeek - 훌륭한 역어셈블 소스 코드 생성 도구
12482정성태1/8/202118002.NET Framework: 1001. C# - 제네릭 타입/메서드에서 사용 시 경우에 따라 CS8377 컴파일 에러
12481정성태1/7/202118063.NET Framework: 1000. C# - CS8344 컴파일 에러: ref struct 타입의 사용 제한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12480정성태1/6/202120823.NET Framework: 999. C# - ArrayPool<T>와 Memor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9정성태1/6/202118018.NET Framework: 998. C# - OWIN 예제 프로젝트 만들기
12478정성태1/5/202120696.NET Framework: 997. C# - Arra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7정성태1/5/202121792기타: 79. github 코드 검색 방법 [1]
12476정성태1/5/202118170.NET Framework: 996. C# - 닷넷 코어에서 다른 스레드의 callstack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75정성태1/5/202121901.NET Framework: 995. C# - Span<T>와 Memory<T> [1]파일 다운로드1
12474정성태1/4/202118672.NET Framework: 994. C# - (.NET Core 2.2부터 가능한) 프로세스 내부에서 CLR ETW 이벤트 수신 [1]파일 다운로드1
12473정성태1/4/202117244.NET Framework: 993. .NET 런타임에 따라 달라지는 정적 필드의 초기화 유무 [1]파일 다운로드1
12472정성태1/3/202117259디버깅 기술: 178. windbg - 디버그 시작 시 스크립트 실행
12471정성태1/1/202118051.NET Framework: 992. C# - .NET Core 3.0 이상부터 제공하는 runtimeOptions의 rollForward 옵션 [1]
12470정성태12/30/202018159.NET Framework: 991. .NET 5 응용 프로그램에서 WinRT API 호출 [1]파일 다운로드1
12469정성태12/30/202022622.NET Framework: 990. C# - SendInput Win32 API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마우스 [1]파일 다운로드1
12468정성태12/30/202019026Windows: 186. CMD Shell의 "Defaults"와 "Properties"에서 폰트 정보가 다른 문제 [1]
12467정성태12/29/202019020.NET Framework: 989. HttpContextAccessor를 통해 이해하는 AsyncLocal<T> [1]파일 다운로드1
12466정성태12/29/202016557.NET Framework: 988. C# - 지연 실행이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singleton 패턴에서 DCLP보다는 static 초기화를 권장 [1]파일 다운로드1
12465정성태12/29/202020242.NET Framework: 987. .NET Profiler - FunctionID와 연관된 ClassID를 구할 수 없는 문제
12464정성태12/29/202018556.NET Framework: 986. pptfont.exe - PPT 파일에 숨겨진 폰트 설정을 일괄 삭제
12463정성태12/29/202017468개발 환경 구성: 520. RDP(mstsc.exe)의 다중 모니터 옵션 /multimon, /span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