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104. C# Windows Forms - WndProc 재정의와 IMessageFilter 사용 시의 차이점
; https://www.sysnet.pe.kr/2/0/13291

닷넷: 2280. C# - PostThreadMessage로 보낸 메시지를 Windows Forms에서 수신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687




C# Windows Forms - WndProc 재정의와 IMessageFilter 사용 시의 차이점

예전에 IMessageFilter 사용 예제를 다룬 적이 있습니다.

Windows Forms - 폼 내에서 발생하는 마우스 이벤트를 자식 컨트롤 영역에 상관없이 수신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60

게다가 마침 지난 글에서 다룬,

C# - 윈도우에서 기본 제공하는 FindText 대화창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3290

FindTextDialog가 왠지 IMessageFilter를 사용할 좋은 사례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RegisterWindowMessage로 등록한 윈도우 메시지를 부모 Form에서 처리하게끔 코딩하고 있는 데다, Dispose 작업도 부모 Form의 Close 이벤트 시에 처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혹시 IMessageFilter를 도입한다면 FindTextDialog 클래스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internal class FindTextDialog : IDisposable, IMessageFilter
{
    public unsafe FindTextDialog(IntPtr owner)
    {
        // ...[생략]...

        Application.AddMessageFilter(this);
    }

    public bool PreFilterMessage(ref Message m)
    {
        if (m.Msg == this._msg_FindString)
        {
            MessageBox.Show(this.Text); // 단 한 번도 실행되지 않음!
            return true;
        }

        return false;
    }
}

그런데 위의 변경으로 실행해 보면 _msg_FindString과 동일한 메시지로는 PreFilterMessage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도대체 이유가 뭘까요? ^^




이유는 간단합니다. IMessageFilter는 모든 윈도우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이 아니고, 오직 메시지 루프의 GetMessage를 통해 들어온 메시지만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같은 프로세스 내에서의 SendMessage로 발송한 메시지의 경우 Window Procedure가 직접 호출이 될 것이고, 이것은 GetMessage로 받는 유형이 아니기 때문에 IMessageFilter는 반응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C# 소스코드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현하고 있는데,

// Application.ComponentManager.cs

BOOL IMsoComponentManager.FPushMessageLoop(UIntPtr dwComponentID, msoloop uReason, void* pvLoopData)
{
    ...[생략]...
    // Now translate and dispatch the message.
    //
    // Reading through the rather sparse documentation,
    // it seems we should only call FPreTranslateMessage
    // on the active component.
    if (component.FPreTranslateMessage(&msg).IsFalse()) // 내부에서 IMessageFilter 호출
    {
        User32.TranslateMessage(ref msg);
        if (useAnsi)
        {
            User32.DispatchMessageA(ref msg);
        }
        else
        {
            User32.DispatchMessageW(ref msg);
        }
    }
    ...[생략]...

    return continueLoop.IsFalse() ? BOOL.TRUE : BOOL.FALSE;
}

_msg_FindString 윈도우 메시지를 처리하는 WndProc이 호출되는 것은 User32.DispatchMessageW에서 발생합니다. 그렇다면 왠지 동일한 메시지가 FPreTranslateMessage에서도 전달되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것입니다.

왜냐하면, FPreTranslateMessage와 User32.DispatchMessageW로 전달되는 메시지는 "Find Next" 버튼을 누를 때 발생하는 WM_LBUTTONUP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IMessageFilter에는 _msg_FindString이 걸리지 않고, 이후의 DispatchMessageW 단계로 넘어가, "Find Next" 버튼의 Click event handler에서 SendMessage를 이용해 부모 윈도우로 _msg_FindString 메시지를 전달하는 식으로 동작이 됩니다.




같은 이유로 인해 Form의 "WM_DESTROY" 메시지도 받지 못합니다. 이것은 간단하게 WinForm 프로젝트를 만들어서도 테스트할 수 있는데요,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IMessageFilter
{
    const int WM_DESTROY = 0x0002;
    const int WM_QUIT = 0x0012;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ublic bool PreFilterMessage(ref Message m)
    {
        if (/*m.HWnd == _hWnd &&*/ m.Msg == WM_QUIT)
        {
            MessageBox.Show("WM_QUIT)"); // 실행되지 않음
        }

        if (/*m.HWnd == _hWnd &&*/ m.Msg == WM_DESTROY)
        {
            MessageBox.Show("WM_DESTROY)"); // 실행되지 않음
        }

        return false;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Application.AddMessageFilter(this);
    }
}

위의 폼을 띄우고 Close 버튼을 눌러 윈도우를 종료해도 PreFilterMessage에서 WM_QUIT, WM_DESTROY 메시지는 걸리지 않습니다. 그것들 역시 Close 버튼이 눌리면서 SendMessage로 발생하는 메시지이기 때문에 메시지 루프를 타지 않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자연스럽게 WndProc을 재정의하는 것과의 차이점이 설명되었습니다. ^^ WndProc은 SendMessage로 전달되는 메시지까지도 수신하기 때문에 보다 더 많은 응용 사례가 나올 수 있습니다. 대충 이 정도면, 차이점을 아시겠죠?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53정성태1/29/200922025.NET Framework: 122. XML Serializer를 이용한 값 복사: 성능은 어떨까!파일 다운로드1
652정성태1/22/200922792.NET Framework: 121. WPF - PrintTicket provider failed to bind to printer.
651정성태1/20/200920106.NET Framework: 120. 타입이 다른 배열끼리의 변환
650정성태1/19/200931925COM 개체 관련: 21. C/C++ 프로젝트에 /clr 옵션 적용으로 인한 COM 개체 사용 오류
649정성태1/18/200929444Windows: 38. Q1U UMPC에 Windows 7 베타 설치하기
648정성태1/18/200928128Windows: 37. Windows PE를 USB 메모리에 적용
647정성태1/18/200938277Windows: 36. Windows PE ISO 이미지 만들기 [1]
646정성태1/18/200931268디버깅 기술: 23. COMPLUS_ZapDisable - JIT 최적화 코드 생성 제어 [1]
645정성태1/11/200930074Windows: 35.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로딩 방법
644정성태1/11/200921179Windows: 34. VPC 설치 후기 [2]
643정성태1/10/200926530Windows: 33. Windows 7 베타와 VMA 충돌 [1]
642정성태1/8/200925254개발 환경 구성: 34. Sysinternals의 모든 툴을 한번에 업데이트 하는 방법 [1]
641정성태1/7/200922398기타: 27. D820 - A09 바이오스 업데이트 프로그램 패치 [2]
640정성태1/4/200924145Team Foundation Server: 29. ClickOnce 응용 프로그램 배포를 Team Build에 추가.
639정성태1/4/200922081Team Foundation Server: 28. PFX 코드 서명을 포함한 프로젝트의 팀 빌드 실패 - MSB4018
638정성태1/3/200925110.NET Framework: 119. WPF - 의존 속성 정의에서 XamlParseException 발생하는 예 [2]
637정성태1/1/200927332기타: 26. 2008년 인기 순위 정리
636정성태12/31/200822439.NET Framework: 118. 2진 검색을 이용한 리스트 정렬 삽입파일 다운로드1
635정성태12/29/200825112오류 유형: 66. 파일 암호화 오류 - Recovery policy configured for this system contains invalid recovery certificate
634정성태12/29/200839432기타: 25. 가상 키보드 관련 정리 [4]
633정성태12/20/200824881기타: 24. RMClock for x64 [2]
632정성태12/19/200833490기타: 23. D820 - 배터리 없이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631정성태12/10/200842191VC++: 36. Detou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in32 API - Sleep 호출 가로채기 [3]
630정성태12/9/200823014.NET Framework: 117. WPF - TreeView에서 항목이 펼쳐질 때 Cursors.Wait 사용파일 다운로드1
629정성태12/7/200832231.NET Framework: 116. 소켓 연결 시간 제한
628정성태12/6/200821068.NET Framework: 115. Marshal 타입 관련 2가지 자원 해제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