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SL 2 Ubuntu 20.04 - error: cannot communicate with server: Post http://localhost/v2/snaps/...

WSL 2 + Ubuntu 20.04 환경에서 snap을 실행해 보면,

$ sudo snap install hello-world
error: cannot communicate with server: Post http://localhost/v2/snaps/hello-world: dial unix /run/snapd.socket: connect: no such file or directory

$ snap list
error: cannot list snaps: cannot communicate with server: Get http://localhost/v2/snaps: dial unix /run/snapd.socket: connect: no such file or directory

소켓 연결을 못하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왜냐하면 기본 WSL 2에서는 systemd로 운영하지 않기 때문인데요,

$ systemctl restart snapd
System has not been booted with systemd as init system (PID 1). Can't operate.
Failed to connect to bus: Host is down

따라서 예전에 소개한 방법으로,

WSL 2의 (init이 아닌) systemd 지원
; https://www.sysnet.pe.kr/2/0/13278

systemd 활성화를 시킨 후 다시 실행해 보면 ^^ 잘 동작합니다.

$ snap list
Name    Version   Rev    Tracking       Publisher   Notes
core18  20210722  2128   latest/stable  canonical✓  base
lxd     4.0.7     21029  4.0/stable/…   canonical✓  -
snapd   2.51.3    12704  latest/stable  canonical✓  snapd

$ sudo snap install hello-world
hello-world 6.4 from Canonical✓ installed

$ hello-world
Hello Worl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1/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09정성태12/27/200646748디버깅 기술: 5. PDB 이야기 [7]
310정성태8/5/20063377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3369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3598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3476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3178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8634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3327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759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4255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4373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994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3318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329정성태8/19/20063158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1]
332정성태8/20/20063329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2]
341정성태9/16/20062559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5. [내용 예약]
342정성태9/16/20064339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6.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 [1]파일 다운로드1
306정성태2/13/200722544기타: 15. .NET 이 생산성이 높다는 증거(!)
304정성태7/21/200625027VS.NET IDE: 4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305정성태7/21/200624550    답변글 VS.NET IDE: 41.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1]
303정성태7/20/200622731Team Foundation Server: 12. 사용자 계정 재생성에 따른 Version Control 영향
302정성태8/21/200624537Team Foundation Server: 11. TFS Team Build와 VC++ Project 설정
299정성태7/23/200623900개발 환경 구성: 5. VMWare - VM 생성 화면 캡쳐
300정성태7/15/20062966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5.1. VMWare 오류 유형 - The handle is invalid.
301정성태7/18/20062434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5.2. VMWare - 사용 후기.
298정성태7/14/200624030개발 환경 구성: 4. VMWare Server를 64bit 운영체제에 설치 시 주의 사항 [2]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