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676. WSL/Linux Octave - Python 스크립트 연동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77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35. Octave의 명령 창에서 실행한 결과를 복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09

개발 환경 구성: 388. Windows 환경에서 Octave 패키지 설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22

개발 환경 구성: 674. WSL 2 환경에서 GNU Octave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3319

개발 환경 구성: 675. Windows Octave 8.1.0 - Python 스크립트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320

개발 환경 구성: 676. WSL/Linux Octave - Python 스크립트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321

개발 환경 구성: 677. Octave에서 Excel read/write를 위한 io 패키지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3323

.NET Framework: 2108. C# - Octave의 "save -binary ..."로 생성한 바이너리 파일 분석
; https://www.sysnet.pe.kr/2/0/13324




WSL/Linux Octave - Python 스크립트 연동

지난 글에서 8.1.0 버전의 윈도우 버전 Octave로 Python 연동을 해봤는데요,

Windows Octave 8.1.0 - Python 스크립트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320

아쉽게도 (2023-04-14 기준) 리눅스 환경인 경우에는 7.1.0 버전으로만 설치가 됩니다.

WSL 2 환경에서 GNU Octave 설치
; https://www.sysnet.pe.kr/2/0/13319

그리고 해당 버전의 Octave에서는 python 명령어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 python('test.py')
sh: 1: python: not found
ans =

재미있는 건, 윈도와 마찬가지로 './usr/bin' 디렉터리에 파이썬 모듈이 있긴 합니다.

$ ll /snap/octave/306/usr/bin/py*
-rwxr-xr-x 1 root root    7815 Apr 21  2022 /snap/octave/306/usr/bin/py3clean*
-rwxr-xr-x 1 root root   12122 Apr 21  2022 /snap/octave/306/usr/bin/py3compile*
lrwxrwxrwx 1 root root      31 Oct 25  2018 /snap/octave/306/usr/bin/py3versions -> ../share/python3/py3versions.py*
lrwxrwxrwx 1 root root       8 Oct 25  2018 /snap/octave/306/usr/bin/pydoc3 -> pydoc3.6*
-rwxr-xr-x 1 root root      82 Apr 21  2022 /snap/octave/306/usr/bin/pydoc3.6*
lrwxrwxrwx 1 root root      12 Oct 25  2018 /snap/octave/306/usr/bin/pygettext3 -> pygettext3.6*
-rwxr-xr-x 1 root root   21547 Mar 15  2022 /snap/octave/306/usr/bin/pygettext3.6*
lrwxrwxrwx 1 root root       9 Oct 25  2018 /snap/octave/306/usr/bin/python3 -> python3.6*
-rwxr-xr-x 2 root root 4526456 Mar 15  2022 /snap/octave/306/usr/bin/python3.6*
-rwxr-xr-x 2 root root 4526456 Mar 15  2022 /snap/octave/306/usr/bin/python3.6m*
lrwxrwxrwx 1 root root      10 Oct 25  2018 /snap/octave/306/usr/bin/python3m -> python3.6m*
lrwxrwxrwx 1 root root      10 Oct 25  2018 /snap/octave/306/usr/bin/pyvenv -> pyvenv-3.6*
-rwxr-xr-x 1 root root     439 Apr 21  2022 /snap/octave/306/usr/bin/pyvenv-3.6*

그런데 저걸 못 찾고 있는 건데요, 혹시나 싶어, system 명령어로 bash를 실행했더니,

>> system('bash')
bash: cannot set terminal process group (1278): Inappropriate ioctl for device
bash: no job control in this shell
To run a command as administrator (user "root"), use "sudo <command>".
See "man sudo_root" for details.

$ which python3
/snap/octave/306/usr/bin/python3

$ which python
$ // 찾을 수 없어 출력이 없음

아마도 Octave의 python 명령어는 "python3"로 실행하지 않고 "python"으로만 실행하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여기서 문제는, 윈도우처럼 외부 python을 연결할 방법이 없다는 것입니다.

당연히 PYTHON 환경 변수는 안 통하고,

>> setenv PYTHON /usr/bin/python3
>> python
sh: 1: python: not found
ans =

더욱 문제는, PATH 환경 변수에는 아래와 같이 /snap 하위뿐만 아니라 /usr 디렉터리의 경로도 매핑돼 있지만,

// Octave system('bash') 환경

$ echo $PATH /snap/octave/306/usr/sbin:/snap/octave/306/usr/bin:/snap/octave/306/sbin:/snap/octave/306/bin:/usr/local/sbin:/usr/local/bin:/usr/sbin:/usr/bin:/sbin:/bin:/usr/games:/usr/local/games:/snap/octave/306/libexec/octave/7.1.0/site/exec/x86_64-pc-linux-gnu:/snap/octave/306/libexec/octave/api-v57/site/exec/x86_64-pc-linux-gnu:/snap/octave/306/libexec/octave/site/exec/x86_64-pc-linux-gnu:/snap/octave/306/libexec/octave/7.1.0/exec/x86_64-pc-linux-gnu:/snap/octave/306/bin


(존재하는) /usr/bin/python을 찾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분명히 Octave 안에서의 환경은 snap으로 영향을 받은 것 같고, 제가 snap에 대해 잘은 모르겠지만 아마도 파일 시스템을 가상화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여기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실제로 아래는 Octave의 System('bash') 내에서 확인한 /usr/bin과 Ubuntu WSL Shell 내에서 확인한 /usr/bin의 다른 모습을 보여줍니다.

python_run_on_octave_1.png




어쨌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Octave의 python 명령어가 잘 동작하도록 python3으로의 소프트 링크된 python을 만들어주면 될 텐데요, 그런데 이게 방법이 매우 제한적입니다.

우선, apt 명령어도 안 되고,

// Octave system('bash') 환경

$ sudo apt install python-is-python3
sudo: unable to set runas group vector: Operation not permitted
sudo: unable to set runas group vector: Operation not permitted
sudo: no tty present and no askpass program specified
sudo: unable to open audit system: Operation not permitted
sudo: unable to open audit system: Operation not permitted

python3.6이 있는 /snap/octave/306/usr/bin에서 python 링크를 만드는 것도 안 됩니다.

// Octave system('bash') 환경

/snap/octave/306/usr/bin$ ln -s python3.6 python
ln: failed to create symbolic link 'python': Read-only file system

그런데, 이거저거 하다 보니 /snap/octave/306 디렉터리는 read-only 제약이 없었는데요, 따라서 python3.6에 대한 소프트 링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cd /home/testusr/snap/octave/306

~/snap/octave/306$ ln -s /snap/octave/306/usr/bin/python3.6 python

~/snap/octave/306$ ll
total 28
drwxr-xr-x 2 testusr testusr 4096 Apr 12 09:30 ./
drwxr-xr-x 5 testusr testusr 4096 Apr 12 09:29 ../
...[생략]...
lrwxrwxrwx 1 testusr testusr   34 Apr 12 09:30 python -> /snap/octave/306/usr/bin/python3.6*

그다음, Octave 환경 내에서 저 링크를 찾을 수 있도록 setenv 명령을 수행합니다.

# ~/.octaverc 파일에 아래의 스크립트를 넣어두는 것도 좋겠습니다.

>> old_path = getenv('PATH')
>> new_path = ['/home/testusr/snap/octave/306:', old_path]

>> setenv('PATH', new_path)

자, 그럼 이제부터는 python이 잘 실행됩니다. ^^

>> system('cat test.py')
import sys

print(sys.version)

ans = 0
>> python test.py
ans = 3.6.9 (default, Mar 15 2022, 13:55:28)
[GCC 8.4.0]




저런 작업을 하고 싶지 않다면 system 명령어를 경유해 실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아래에서 실행한 python3.6은 사용자의 /usr/bin에 있는 것이 아니고, 
// Octave와 함께 설치된 /home/testusr/snap/octave/306/usr/bin의 것이 실행됩니다.

>> [status, output] = system('/usr/bin/python3.6 test.py')
ans = 3.6.9 (default, Mar 15 2022, 13:55:28)
[GCC 8.4.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4/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0정성태11/6/200626874    답변글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파일 다운로드1
356정성태10/7/200622424COM 개체 관련: 19. COM의 Apartment를 이해해 보자. [8]
386light10/30/200617385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9.1. [답변]: COM 객체를 글로벌마샬으로 만든후, 사용한다.
355정성태10/9/200625153개발 환경 구성: 19. Internet_Zone 하위에 새로운 코드 그룹을 추가하는 예제 [4]파일 다운로드2
353정성태12/31/200633449개발 환경 구성: 18.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3]
354정성태10/23/20063598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372정성태12/31/20063786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3]
373정성태10/24/20062925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3.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
374정성태10/25/20062652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4.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
391정성태11/7/20063065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5. 사용자 인증서 발급
392정성태11/11/20064385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6.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394정성태11/9/20062835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7.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1]
395정성태11/9/20064047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8.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414정성태12/23/20063217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428정성태12/31/20064504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106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0770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3325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2006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25775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19268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18480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0340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054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19814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19289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