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FFmpeg.AutoGen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기본 프로젝트 구성 - Windows Forms

지난 글에서는,

C# - FFmpeg.AutoGen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기본 프로젝트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2896

콘솔 프로젝트를 예로 들었으니, 이번에는 Windows Forms로 구성해 보겠습니다. 사실, 동일한 내용인데 그사이 뭔가 바뀐 것이 있을까 싶어 다시 정리합니다. ^^




우선 버전이 바뀌었군요. Windows Forms 기본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패키지 참조를 추가하면,

// https://www.nuget.org/packages/FFmpeg.AutoGen
Install-Package FFmpeg.AutoGen

현재(2023-04-20) 6.0 버전의 패키지가 참조됩니다. 이번에도 Native ffmpeg 바이너리는 포함돼 있지 않으므로 github repo에 있는 DLL들을 다운로드해,

FFmpeg.AutoGen/FFmpeg/bin/x64/
; https://github.com/Ruslan-B/FFmpeg.AutoGen/tree/master/FFmpeg/bin/x64

avcodec-60.dll
avdevice-60.dll
avfilter-9.dll
avformat-60.dll
avutil-58.dll
postproc-57.dll
swresample-4.dll
swscale-7.dll

프로젝트 경로의 ./FFmpeg/bin/x64 하위 디렉터리에 복사하고 "Copy to Output Directory" 값을 "Copy if newer"로 바꿔줍니다. 이후, "C# - FFmpeg.AutoGen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기본 프로젝트 구성" 글에서 추가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FFmpegBinariesHelper 타입을 추가해,

using FFmpeg.AutoGen;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FFmpegAutoGen;

public class FFmpegBinariesHelper
{
    internal static void RegisterFFmpegBinaries()
    {
        if (RuntimeInformation.IsOSPlatform(OSPlatform.Windows))
        {
            var current = Environment.CurrentDirectory;
            var probe = Path.Combine("FFmpeg", "bin", Environment.Is64BitProcess ? "x64" : "x86");

            while (current != null)
            {
                var ffmpegBinaryPath = Path.Combine(current, probe);

                if (Directory.Exists(ffmpegBinaryPath))
                {
                    Console.WriteLine($"FFmpeg binaries found in: {ffmpegBinaryPath}");
                    ffmpeg.RootPath = ffmpegBinaryPath;
                    return;
                }

                current = Directory.GetParent(current)?.FullName;
            }
        }
        else if (RuntimeInformation.IsOSPlatform(OSPlatform.Linux))
        {
            ffmpeg.RootPath = "/lib/x86_64-linux-gnu/";
        }
        else
        {
            throw new NotSupportedException(); // fell free add support for platform of your choose
        }
    }
}

Program.cs 파일에서 호출만 하면 됩니다.

using FFmpeg.AutoGen;
using FFmpegAutoGen;

namespace WinFormsApp1
{
    internal static class Program
    {
        [STAThread]
        static void Main()
        {
            FFmpegBinariesHelper.RegisterFFmpegBinaries();

#if DEBUG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FFmpeg version info: {ffmpeg.av_version_info()}");
#endif

            ApplicationConfiguration.Initialize();
            Application.Run(new Form1());
        }
    }
}

F5 디버깅을 하면 Output 창에 다음과 같은 디버깅 메시지가 나와야 합니다.

FFmpeg version info: 6.0-full_build-www.gyan.dev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마지막으로, 매번 저런 식으로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것이 귀찮을 것이므로, "Project" / "Export Template..." 메뉴를 선택(참고: "Make a template for your template; profit")해 현재 구성의 프로젝트를,

ffmpeg_prj_template_1.png

적당한 이름의 Project Template으로 만들어주면,

ffmpeg_prj_template_2.png

이후 "새 프로젝트"를 만들 때 다음과 같이 편하게 FFmpeg 구성의 Windows Forms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

ffmpeg_prj_template_3.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4/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4정성태12/8/201139948개발 환경 구성: 137. Visual C++ 런타임 구성요소에 대한 디버그 버전 설치하는 방법
1193정성태12/8/201126804오류 유형: 142. Windows Phone SDK 7.1 설치 시 Expression Blend 제거를 요구하는 경우
1192정성태12/8/201129694개발 환경 구성: 136. Windows 7 SP1의 IIS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로드하는 방법
1191정성태12/6/201131144.NET Framework: 280. MVC3에서 JavaScriptSerializer 재정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0정성태12/6/201134133오류 유형: 141.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75: 'xxxxx' : illegal use of this type as an expression [1]
1189정성태12/6/201141763VS.NET IDE: 70. 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 로드가 안된다면?
1188정성태12/3/201130340개발 환경 구성: 135. 마이크로소프트 TFS 호스팅 서비스 - Preview [3]
1187정성태12/2/201135408개발 환경 구성: 134. Robocopy 오류 및 종료 코드
1186정성태12/1/201137567.NET Framework: 279. WPF - 그리기 성능 및 Blurring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85정성태11/29/201126681.NET Framework: 278. WPF - Content의 Changed 이벤트에 해당하는게 뭔가요?파일 다운로드1
1184정성태11/29/201130858.NET Framework: 277. F#과 WPF가 어울리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 [2]
1183정성태11/26/201125376오류 유형: 140. Visual Studio 2010 - Floating된 에디트 윈도우가 사라지지 않는 경우 [2]
1182정성태11/25/201162221.NET Framework: 276. 중복 없는 숫자를 랜덤으로 배열하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81정성태11/24/201132156디버깅 기술: 44.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1180정성태11/23/201141933.NET Framework: 275. 레지스트리 등록 및 Interop DLL 없이 COM 개체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79정성태11/22/201132018.NET Framework: 274. ReaderWriterLockSlim은 언제 쓰는 걸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178정성태11/19/201129051.NET Framework: 273.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77정성태11/18/201134213.NET Framework: 272. 소켓 연결 시간 제한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176정성태11/17/201133785.NET Framework: 271. C#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3]파일 다운로드1
1175정성태11/16/201131725.NET Framework: 270. .NET 참조 개체 인스턴스의 Object Header를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74정성태11/15/201130859.NET Framework: 269. 일반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4]
1173정성태11/14/201126755.NET Framework: 268. .NET Array는 왜 12bytes의 기본 메모리를 점유할까? [1]
1172정성태11/13/201123503.NET Framework: 267. windbg - GC Heap에서 .NET 타입에 대한 배열을 찾는 방법
1171정성태11/12/201141001.NET Framework: 266. StringBuilder에서의 OutOfMemoryException 오류 원인 분석 [4]파일 다운로드1
1170정성태11/10/201130207.NET Framework: 265. Named 동기화 개체 생성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하는 경우
1169정성태11/10/201133128.NET Framework: 264. 다중 LAN 카드 환경에서 Dns.GetHostAddresses(local)가 반환해 주는 IP의 우선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4]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