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857. Microsoft.Data.SqlClient.SqlException - 0x80131904, 0x80131509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665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Microsoft.Data.SqlClient.SqlException - 0x80131904, 0x80131509

다음과 같이 연결 문자열을 주면,

Password=...;Integrated Security=false;User ID=...;Initial Catalog=...;Data Source=192.168.100.50;

현재의 Microsoft.Data.SqlClient에서는 이런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Microsoft.Data.SqlClient.SqlException (0x80131904): A connection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with the server, but then an error occurred during the login process. (provider: SSL Provider, error: 0 - The certificate chain was issued by an authority that is not trusted.)
---> System.ComponentModel.Win32Exception (0x80090325): The certificate chain was issued by an authority that is not trusted.
at Microsoft.Data.SqlClient.SqlInternalConnection.OnError(SqlException exception, Boolean breakConnection, Action`1 wrapCloseInAction)
at Microsoft.Data.SqlClient.TdsParser.ThrowExceptionAndWarning(TdsParserStateObject stateObj, Boolean callerHasConnectionLock, Boolean asyncClose)
...[생략]...
at Microsoft.Data.SqlClient.SqlConnection.Open()
at ConsoleApp1.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ConsoleApp1\ConsoleApp1\Program.cs:line 13


윈도우 환경에서 위와 같이 오류가 발생하는데요, "The certificate chain was issued by an authority ...." 메시지를 통해 SSL 통신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아래의 문서에 따른 해결책을 따르면 됩니다.

"The certificate chain was issued by an authority that is not trusted" error after upgrading SNAC applicat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troubleshoot/sql/database-engine/connect/certificate-chain-not-trusted

가령, 3번째 방법을 택한다면 연결 문자열에 TrustServerCertificate 설정만 추가하면 됩니다.

TrustServerCertificate=true;Password=...;Integrated Security=false;User ID=...;Initial Catalog=...;Data Source=192.168.100.50

그런데, (버전 차이일지 모르겠지만) 제가 가진 Container의 리눅스 환경에서는 오류 메시지가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Unhandled exception. Microsoft.Data.SqlClient.SqlException (0x80131904): A network-related or instance-specific error occurred while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SQL Server. The server was not found or was not accessible. Verify that the instance name is correct and that SQL Server is configured to allow remote connections. (provider: TCP Provider, error: 40 - Could not open a connection to SQL Server: Could not open a connection to SQL Server)


그래서 얼핏 오류 메시지만 봐서는 서버로의 연결에 문제가 있다고 잘못 생각할 수 있습니다. ^^;




0x80131509 오류가 발생한다면?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HResult=0x80131509
  Message=An exception has been raised that is likely due to a transient failure. Consider enabling transient error resiliency by adding 'EnableRetryOnFailure' to the 'UseSqlServer' call.
  Source=Microsoft.EntityFrameworkCore.SqlServer
  StackTrace:
   at Microsoft.EntityFrameworkCore.SqlServer.Storage.Internal.SqlServerExecutionStrategy.Execute[TState,TResult](TState state, Func`3 operation, Func`3 verifySucceeded)
   at Microsoft.EntityFrameworkCore.ExecutionStrategyExtensions.Execute[TState,TResult](IExecutionStrategy strategy, TState state, Func`2 operation, Func`2 verifySucceeded)
   at Microsoft.EntityFrameworkCore.SqlServer.Storage.Internal.SqlServerDatabaseCreator.Exists(Boolean retryOnNotExists)
   at Microsoft.EntityFrameworkCore.SqlServer.Storage.Internal.SqlServerDatabaseCreator.Exists()
   at Microsoft.EntityFrameworkCore.Storage.RelationalDatabaseCreator.EnsureCreated()
   at Microsoft.EntityFrameworkCore.Infrastructure.DatabaseFacade.EnsureCreated()
   at razor_80_sample.Program.Main(String[] args)

Inner Exception 1:
SqlException: A network-related or instance-specific error occurred while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SQL Server. The server was not found or was not accessible. Verify that the instance name is correct and that SQL Server is configured to allow remote connections. (provider: Named Pipes Provider, error: 40 - Could not open a connection to SQL Server)

Inner Exception 2:
Win32Exception: The specified network name is no longer available.

첫 번째 예외 메시지만 볼 것이 아니라, Inner Exception의 내용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와 같은 경우,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예외 메시지만으로는 오류가 뭔지 판단할 수 없지만, Inner Exception을 보면 서버로의 연결이 안 되는 것이 문제임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8/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38정성태1/20/201727543VS.NET IDE: 113.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1137정성태1/20/201724033Windows: 135. AD에 참여한 컴퓨터로 RDP 연결 시 배경 화면을 못 바꾸는 정책
11136정성태1/20/201724254오류 유형: 375. Hyper-V 내에 구성한 Active Directory 환경의 시간 구성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135정성태1/20/201725169Windows: 134. Windows Server 2016의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계가 사라졌다면? [1]
11134정성태1/20/201733315.NET Framework: 636. System.Threading.Timer를 이용해 타이머 작업을 할 때 유의할 점 [5]파일 다운로드1
11133정성태1/20/201729053.NET Framework: 635.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2) - x86 환경의 __fastcall [1]파일 다운로드1
11132정성태1/19/201741327.NET Framework: 634.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1) - x86 환경에서의 __cdecl, __stdcall에 대한 Name mangling [1]파일 다운로드1
11131정성태1/13/201730784.NET Framework: 633. C# - IL 코드 분석을 위한 팁 [2]
11130정성태1/11/201731269.NET Framework: 632. x86 실행 환경에서 SECURITY_ATTRIBUTES 구조체를 CreateEvent에 전달할 때 예외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129정성태1/11/201734925.NET Framework: 631. async/await에 대한 "There Is No Thread" 글의 부가 설명 [9]파일 다운로드1
11128정성태1/9/201727392.NET Framework: 630. C# - Interlocked.CompareExchange 사용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11127정성태1/8/201729784기타: 63. (개발자를 위한) Visual Studio의 "with MSDN" 라이선스 설명
11126정성태1/7/201734684기타: 62. Edge 웹 브라우저의 즐겨찾기(Favorites)를 편집/백업/복원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125정성태1/7/201731231개발 환경 구성: 310. IIS - appcmd.exe를 이용해 특정 페이지에 클라이언트 측 인증서를 제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
11124정성태1/4/201734343개발 환경 구성: 309. 3년짜리 유효 기간을 제공하는 StartSSL [2]
11123정성태1/3/201730162.NET Framework: 629. .NET Core의 dotnet.exe CLI 명령어 확장 방법 [1]
11122정성태1/3/201727657.NET Framework: 628. TransactionScope에 사용자 정의 트랜잭션을 참여시키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121정성태1/1/201725316개발 환경 구성: 308.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Core)"와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차이점
11120정성태12/25/201633356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11119정성태12/23/201652861개발 환경 구성: 306.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성 [2]
11118정성태12/22/201644050오류 유형: 374. Python 64비트 설치 시 0x80070659 오류 발생 [3]
11117정성태12/21/201628195웹: 35. nopCommerce 예제 사이트 구성 방법
11116정성태12/21/201630655디버깅 기술: 84. NopCommerce의 Autofac 부하(CPU, Memory) [2]
11115정성태12/21/201633608Windows: 133. 윈도우 서버 2016에서 플래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2]
11114정성태12/19/201646577Windows: 132. 역슬래시(backslash) 문자가 왜 통화 표기 문자(한글인 경우 "\")로 보일까요? [2]
11113정성태12/6/201624921오류 유형: 373.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에서 CO_E_ISOLEVELMISMATCH(0x8004E02F) 오류 발생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