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DDK: 7.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2914

개발 환경 구성: 489.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2) - UEFI/SecureBoot
; https://www.sysnet.pe.kr/2/0/12214

DDK: 10. Device Driver 테스트 설치 관련 오류 (Code 37, Code 31) 및 인증서 관련 정리
; https://www.sysnet.pe.kr/2/0/13356




Device Driver 테스트 설치 관련 오류 (Code 37, Code 31) 및 인증서 관련 정리

Device Driver 프로젝트의 빌드 이벤트를 이용해 다른 PC에서 테스트할 수 있도록 복사 명령어를 설정했는데요,

robocopy $(OutputPath) \\testpc\c$\temp\driver
exit 0

testpc 측에서 Device Manager의 "Action" / "Add legacy hardware" 메뉴를 이용해 설치를 시도했는데,

install_wdm_1.png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install_wdm_2.png

An error occurred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device.

The third-party INF does not contain digital signature information.

왜냐하면 OutputPath에는 cat 파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비록 테스트 빌드된 것이라 WHQL의 HCK를 통과해 얻은 cat 파일이 아니더라도 어쨌든 빌드 시에 얻은 cat 파일이라도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테스트를 위한 복사일 때는 OutputPath가 아닌 PackageDir 경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robocopy $(PackageDir) \\testpc\c$\temp\driver
exit 0




cat, inf, sys 파일이 모두 있어도 Code 37 오류가 발생한다면?

install_wdm_3.png

The software for this device is now installed, but may not work correctly.

Windows cannot initialize the device driver for this hardware. (Code 37)

이것은 여러 가지 원인일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DriverEntry에서 STATUS_SUCCESS를 반환하지 않아서입니다.

NTSTATUS DriverEntry(IN PDRIVER_OBJECT DriverObject, IN PUNICODE_STRING RegistryPath)
{
    // ...[생략]...

    return STATUS_SUCCESS;
}

따라서 그 중간의 코드에서 STATUS_UNSUCCESSFUL와 같은 식의 오류를 return 하는 곳이 있다면 그곳의 코드를 살펴보시면 됩니다.




유사하게 "Code 31" 오류가 발생한다면?

The software for this device is now installed, but may not work correctly.

The device is not working properly because Windows cannot load the drivers required for this device. (Code 31)

이것 역시 여러 가지 원인일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AddDevice 콜백 함수에서 오류를 반환하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중간에 STATUS_SUCCESS가 아닌 에러를 return 하는 코드를 살펴봐야 하는데요, 이런 경우 DbgPrintEx를 이용해 오류 코드를 확인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ntStatus = ...;

if (!NT_SUCCESS(ntStatus))
{
    DbgPrintEx(DPFLTR_IHVDRIVER_ID, 0, "Add Device: %8X\n", ntStatus);
}

제 경우에 IoCreateDevice를 호출했을 때 오류가 발생했는데요,

ntStatus = IoCreateDevice(DriverObject, sizeof(MYDEVICE_EXTENSION), &devName, FILE_DEVICE_UNKNOWN,
    0, FALSE, &MyDeviceObject);

// ntStatus == C0000033

header 파일로부터,

// MessageId: STATUS_OBJECT_NAME_INVALID
// MessageText:
// Object Name invalid.
#define STATUS_OBJECT_NAME_INVALID       ((NTSTATUS)0xC0000033L)

유추했을 때 3번째 인자인 Device Name을 잘못 넘겨준 듯했습니다. 실제로, 제가 넘겨준 Device Name은 이랬는데,

#define DEVICE_NAME L"\\\\.\\TEST_DEVICE"

바로 저 형식이 틀린 것입니다. ^^; 저건 User 모드 프로그램에서 해당 디바이스를 열 때 사용하는 포맷이고, Device 자체에서 이름을 지정할 때는 다음의 포맷을 따라야 합니다.

#define DEVICE_NAME L"\\Device\\TEST_DEVICE"




(EV가 아닌) 일반 소프트웨어 인증서로 서명한 드라이버를 다음과 같이 설치를 시도했는데요,

wdm_driver_install_1.png

아래와 같이 Publisher까지 잘 확인이 되었는데,

wdm_driver_install_2.png

이렇게 "Code 52"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wdm_driver_install_3.png

The software for this device is now installed, but may not work correctly.

Windows cannot verify the digital signature for the drivers required for this device. A recent hardware or software change might have installed a file that is signed incorrectly or damanaged, or that might be malicious software from an unknown source. (Code 52)

전에도 말했듯이, 이것은 Secure Boot 옵션이 켜져 있기 때문입니다. "UEFI / Secure Boot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법" 글에 설명한 대로 확인해 보시고!

그나저나, 인증서 관련해서 여러 시나리오가 있는데요, 간단하게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 테스트 인증서로 개발하는 경우 - 반드시 Test Signing 모드로 윈도우 설정을 해야 합니다.
  • 정식 소프트웨어 인증서가 있는 경우 - SecureBoot 옵션만 꺼주면 됩니다. (2025-01-16 업데이트: Windows 10부터 반드시 EV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 EV 인증서가 있고, WHQL의 HCK를 통과해 얻은 cat 파일이 있는 경우 - 모든 윈도우에 설치가 됩니다. (정식 인증 과정: WHQL 인증)

사실, 정식 소프트웨어 인증서만 있어도 테스트가 상당히 용이해지는데요, 3년에 200만 원가량 하는 인증서를 개인이 실습을 위해 구매하기에는 매우 부담스러운 가격입니다. ^^; (2025-01-16 업데이트: Windows 10부터 반드시 EV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기타 오류 하나 볼까요? ^^ ExAllocatePool의 경우 다음과 같은 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PVOID buffer = ExAllocatePool(NonPagedPool, 100);

이때 사용하는 NonPagedPool은 _POOL_TYPE enum 값의 하나입니다.

//
// Pool Allocation routines (in pool.c)
//
typedef _Enum_is_bitflag_ enum _POOL_TYPE {
    NonPagedPool,
    NonPagedPoolExecute = NonPagedPool,
    PagedPool,
    
    // ...[생략]...

    NonPagedPoolNx = 512,
    NonPagedPoolNxCacheAligned = NonPagedPoolNx + 4,
    NonPagedPoolSessionNx = NonPagedPoolNx + 32,

} _Enum_is_bitflag_ POOL_TYPE;

그런데, ExAllocatePool 함수는 현재 obsolete이기 때문에 ExAllocatePool2를 사용해야 하는데요, 이때 NonPagedPool(0)을 그대로 주면 안 됩니다. ^^;

PVOID buffer = ExAllocatePool2(NonPagedPool, 100, tag_value);

왜냐하면, ExAllocatePool2를 위한 전용 상수가 새롭게 정의돼 있기 때문인데요,

#define POOL_FLAG_REQUIRED_START          0x0000000000000001UI64
#define POOL_FLAG_USE_QUOTA               0x0000000000000001UI64     // Charge quota
#define POOL_FLAG_UNINITIALIZED           0x0000000000000002UI64     // Don't zero-initialize allocation
#define POOL_FLAG_SESSION                 0x0000000000000004UI64     // Use session specific pool
#define POOL_FLAG_CACHE_ALIGNED           0x0000000000000008UI64     // Cache aligned allocation
#define POOL_FLAG_RESERVED1               0x0000000000000010UI64     // Reserved for system use
#define POOL_FLAG_RAISE_ON_FAILURE        0x0000000000000020UI64     // Raise exception on failure
#define POOL_FLAG_NON_PAGED               0x0000000000000040UI64     // Non paged pool NX
#define POOL_FLAG_NON_PAGED_EXECUTE       0x0000000000000080UI64     // Non paged pool executable
#define POOL_FLAG_PAGED                   0x0000000000000100UI64     // Paged pool
#define POOL_FLAG_RESERVED2               0x0000000000000200UI64     // Reserved for system use
#define POOL_FLAG_RESERVED3               0x0000000000000400UI64     // Reserved for system use
#define POOL_FLAG_LAST_KNOWN_REQUIRED     POOL_FLAG_RESERVED3         // Must be set to the last known required entry.
#define POOL_FLAG_REQUIRED_END            0x0000000080000000UI64

#define POOL_FLAG_OPTIONAL_START          0x0000000100000000UI64
#define POOL_FLAG_SPECIAL_POOL            0x0000000100000000UI64     // Make special pool allocation
#define POOL_FLAG_OPTIONAL_END            0x8000000000000000UI64

#define POOL_FLAG_REQUIRED_MASK           0x00000000FFFFFFFFUI64

따라서 POOL_FLAG_NON_PAGED(0x40)을 전달해야만 합니다.

PVOID buffer = ExAllocatePool2(POOL_FLAG_NON_PAGED, 100, tag_valu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6/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3정성태11/8/200619530오류 유형: 17. Unable to start debugging - The binding handle is invalid.
371정성태10/23/200618688오류 유형: 16. STS Communication failed.
370정성태11/12/200622597.NET Framework: 75. Windows CardSpace 이야기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5정성태10/25/200624577    답변글 .NET Framework: 75.1. 개인 발행 카드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6정성태10/27/200624198    답변글 .NET Framework: 75.2. "Windows CardSpace"와 "인증서 서비스"의 만남(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7정성태10/26/200623845    답변글 .NET Framework: 75.3.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1) - CardWriter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85정성태11/6/200626467    답변글 .NET Framework: 75.4.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2) - STS 구현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7]
387정성태11/2/200627228    답변글 .NET Framework: 75.5. Windows CardSpace와 SYSNET 사이트의 만남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1]
397정성태11/11/200624769    답변글 .NET Framework: 75.6. CardWriter.csproj와 함께 알아보는 인증서 식별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8정성태11/12/200623283    답변글 .NET Framework: 75.7. 카드에 암호 거는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9정성태11/12/200625524    답변글 .NET Framework: 75.8. 인증서/스마트 카드에 기반한 Managed Card - STS 구현(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5]
369정성태10/22/200621014오류 유형: 15. 자동 업데이트 실패
367정성태10/22/200636795Windows: 3. IIS 7.0 다중 바인딩 설정하는 방법 [1]
365정성태10/21/200620502Windows: 2. 서버(build 5600)에 IIS 7.0 서비스와 .NET 3.0 설치 방법
359정성태10/17/200616664오류 유형: 14. VS.NET 빌드 오류 - FxCopCmd.exe returned error code 65.
358정성태10/17/200621866오류 유형: 13. WSE 3.0 서비스 관련 WSE101 오류 / Destination Unreachable
357정성태12/1/200624117.NET Framework: 74. WCF 이야기 [4]
378정성태10/28/200628886    답변글 .NET Framework: 74.1. WCF와 WSE 3.0의 활용 [4]파일 다운로드1
379정성태11/3/200627845    답변글 .NET Framework: 74.2. WCF로 구현하는 .NET Remoting [4]파일 다운로드1
380정성태10/28/200626746    답변글 .NET Framework: 74.3. 웹 서비스와 닷넷 리모팅으로써의 WCF 구현파일 다운로드1
381정성태10/28/200629184    답변글 .NET Framework: 74.4. WCF 서비스 참조 추가 메뉴 [2]
382정성태10/28/200635248    답변글 .NET Framework: 74.5. WCF 서비스를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383정성태10/28/200630005    답변글 .NET Framework: 74.6. IIS 6.0: 다중 Endpoint 제공파일 다운로드1
384정성태10/28/200626915    답변글 .NET Framework: 74.7. IIS 7.0: 다중 Endpoint 제공
389정성태11/11/200629707    답변글 .NET Framework: 74.8. WCF에 SSL 적용 (1) - Httpcfg.exe 도구를 이용한 SSL 설정
390정성태11/6/200626890    답변글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파일 다운로드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