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MODIFY FILE encountered operating system error 112(failed to retrieve text for this error. Reason: 15105) DB를 생성하려는 데 이런 오류가 발생한다면? TITLE: Microsoft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Create failed for Database 'TestDB'. (Microsoft.SqlServer.Smo) ------------------------------ ADDITIONAL INFORMATION: An exception occurred while executing a Transact-SQL statement or batch. (Microsoft.SqlServer.ConnectionInfo) ------------------------------ MODIFY FILE encountered operating system error 112(failed to retrieve text for this error. Reason: 15105) while attempting to expand the physical file 'C:\db\MSSQL\DATA\TestDB.mdf'. CREATE DATABASE failed. Some file names listed could not be created. Check related errors. (Microsoft SQL Server, Error: 5149) 아마도 해당 디스크의 여유 공간이 0 바이트 근처일 것입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NET Framework: 2128. C# - 윈도우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암호화 목록(Cipher Suites) 나열[이전 글] .NET Framework: 2127. C# - Ubuntu + Microsoft.Data.SqlClient + SQL Server 2008 R2 연결 방법 [최초 등록일: 6/8/2023] [최종 수정일: 6/8/2023]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32정성태11/27/20246864Windows: 274. Windows 7부터 도입한 conhost.exe13831정성태11/27/20245767Linux: 111. eBPF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BPF_MAP_TYPE_RINGBUF에 대한 다양한 용어들13830정성태11/25/20248015개발 환경 구성: 736. 파이썬 웹 앱을 Azure App Service에 배포하기13829정성태11/25/20248043스크립트: 67. 파이썬 - Windows 버전에서 함께 설치되는 py.exe13828정성태11/25/20246127개발 환경 구성: 735. Azure - 압축 파일을 이용한 web app 배포 시 디렉터리 구분이 안 되는 문제113827정성태11/25/20247153Windows: 273. Windows 환경의 파일 압축 방법 (tar, Compress-Archive)13826정성태11/21/20247475닷넷: 2313. C# - (비밀번호 등의) Console로부터 입력받을 때 문자열 출력 숨기기(echo 끄기)113825정성태11/21/20248726Linux: 110. eBPF / bpf2go - BPF_RINGBUF_OUTPUT / BPF_MAP_TYPE_RINGBUF 사용법13824정성태11/20/20246057Linux: 109. eBPF / bpf2go - BPF_PERF_OUTPUT / BPF_MAP_TYPE_PERF_EVENT_ARRAY 사용법13823정성태11/20/20247871개발 환경 구성: 734. Ubuntu에 docker, kubernetes (k3s) 설치13822정성태11/20/20247875개발 환경 구성: 733. Windbg - VirtualBox VM의 커널 디버거 연결 시 COM 포트가 없는 경우13821정성태11/18/20247456Linux: 108. Linux와 Windows의 프로세스/스레드 ID 관리 방식13820정성태11/18/20248086VS.NET IDE: 195. Visual C++ - C# 프로젝트처럼 CopyToOutputDirectory 항목을 추가하는 방법13819정성태11/15/20245827Linux: 107. eBPF - libbpf CO-RE의 CONFIG_DEBUG_INFO_BTF 빌드 여부에 대한 의존성13818정성태11/15/20248202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13817정성태11/14/20246879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13816정성태11/14/20248320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113815정성태11/13/20246342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13814정성태11/13/20247266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113813정성태11/12/20248252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113812정성태11/11/202411909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13811정성태11/11/20246884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13810정성태11/10/20248455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13809정성태11/10/20247716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13808정성태11/9/20248328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13807정성태11/9/20246356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