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683. GPU 런타임을 사용하는 Colab 노트북 설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584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GPU 런타임을 사용하는 Colab 노트북 설정

Colab 노트북을 생성하면

Google Colab
; https://colab.research.google.com/

무조건 GPU 환경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확인을 위해 다음과 같이 간단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는데요,

import torch

device = torch.device("cuda") if torch.cuda.is_available() else torch.device("cpu")
print(device)

출력이 "cpu"로 나오면 그것은 GPU를 사용하지 않는 실행 환경임을 의미합니다. 위의 스크립트가 아니어도 간단하게 확인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Colab 화면에서 "View resources"를 선택했을 때,

colab_gpu_runtime_1.png

이렇게 "System RAM"과 "Disk"만 나오면 역시나 GPU 실행환경이 아닙니다.

colab_gpu_runtime_2.png

현재의 런타임 환경을 GPU 추가로 바꾸고 싶다면, 위의 "Resources" 뷰 하단에 있는 "Change runtime type" 링크를 선택해,

colab_gpu_runtime_3.png

다음과 같이 "Hardware accelerator"를 "GPU"로 바꿔줘야 합니다.

colab_gpu_runtime_4.png

그래서 다시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cuda"가 나올 것이고, "Resources" 뷰에서도 "GPU RAM" 항목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olab_gpu_runtime_5.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09정성태1/30/201340761.NET Framework: 361. C# - 공유기 관리 웹 페이지 인증 [4]파일 다운로드1
1408정성태1/29/201335288.NET Framework: 360.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DB2 Express-C 데이터베이스 사용 (2) [1]파일 다운로드1
1407정성태1/29/201333501.NET Framework: 359.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DB2 Express-C 데이터베이스 사용 (1)
1406정성태1/22/201328004개발 환경 구성: 180. Windows Server 2012 RC 버전을 RTM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1405정성태1/16/201349687.NET Framework: 358.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MySQL(MySqlConnector) 사용 [7]파일 다운로드1
1404정성태1/15/201334292개발 환경 구성: 179. Hyper-V VM 복사는 robocopy로. [2]
1403정성태1/14/201336396.NET Framework: 357. .NET 4.5의 2GB 힙 한계 극복
1402정성태1/14/201338321오류 유형: 166. SmtpClient.Send 오류 - net_io_connectionclosed
1401정성태1/11/201335619.NET Framework: 356. (공개키를 담은) 자바의 key 파일을 닷넷의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400정성태1/10/201334970Windows: 69. 작업표시줄의 터치 키보드(Touch Keyboard) 없애는 방법 [3]
1399정성태1/9/201330183.NET Framework: 355. 닷넷 환경이 왜 C/C++보다 느릴까요? [8]
1398정성태1/8/201330003오류 유형: 165. 새로 설치한 Visual Studio 2010의 Team Explorer 실행시 비정상 종료가 된다면?
1397정성태1/3/201333680Windows: 68. 윈도우 설치 ISO 이미지를 USB 하드에 적용하는 방법 [2]
1396정성태12/27/201235076사물인터넷: 2. 넷두이노 - 4.2.0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95정성태12/26/201225909.NET Framework: 354. x64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1394정성태12/25/201226809.NET Framework: 353. x86 - AspCompat과 STA COM 개체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1393정성태12/25/201228099.NET Framework: 352. x64에서 필수로 지정하도록 바뀐 STAThread 특성 [2]
1392정성태12/21/201237919사물인터넷: 1. .NET Micro Framework - 넷두이노 플러스 [7]
1391정성태12/21/201230358.NET Framework: 351. JavaScriptSerializer, DataContractJsonSerializer, Json.NET [3]파일 다운로드1
1390정성태12/20/201228929.NET Framework: 350. String 데이터를 Stream으로 변환하는 방법 [2]
1389정성태12/12/201227417.NET Framework: 349. .NET Thread 인스턴스로부터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8정성태12/12/201228151.NET Framework: 348. .NET x64 응용 프로그램에서 Teb 주소를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7정성태12/12/201233820VC++: 64. x64 Visual C++에서 TEB 주소 구하는 방법
1386정성태12/12/201233966디버깅 기술: 53.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네이티브 DLL을 추출하는 방법 [1]
1385정성태12/12/201230358디버깅 기술: 52. Windbg - The version of SOS does not match the version of CLR you are debugging.
1384정성태12/12/201234208개발 환경 구성: 178. System32 폴더의 64비트 DLL을 32비트 Depends.exe에서 보는 방법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