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61. docker -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446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502. Portainer에 윈도우 컨테이너를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9

Linux: 32. Ubuntu 20.04 -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349

Linux: 61. docker -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386




docker -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예전에, Portainer 등의 서비스에서 관리를 하기 위해, 혹은 docker 클라이언트 측의 -H 옵션으로 접근하기 위해 daemon.json 파일의 "hosts" 옵션을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봤는데요,

Portainer에 윈도우 컨테이너를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9

리눅스의 경우에도 daemon.json 파일의 설정을 바꿔야 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접근 방법이 다소 다릅니다.

$ cat /etc/docker/daemon.json
{
  "insecure-registries" : ["192.168.100.51:5000"]
}

윈도우와는 달리 기본 IPC 통신 방법이 npipe가 아닌 리눅스 소켓이기 때문에,

$ netstat -ano | grep docker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45095    /var/run/docker.sock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228938836 /var/run/docker/metrics.sock
unix  2      [ ACC ]     STREAM     LISTENING     228931446 /var/run/docker/libnetwork/a3ed856b16e8.sock

daemon.json 파일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변경해야 합니다.

$ cat /etc/docker/daemon.json
{
  "insecure-registries" : ["192.168.100.51:5000"],
  "hosts": ["tcp://0.0.0.0:2375", "unix:///var/run/docker.sock"]
}

$ dockerd --validate --config-file=/etc/docker/daemon.json
configuration OK

그런 후, service의 설정 파일에서 ExecStart 실행 옵션을 조정해야 하는데요, 우선 기존 ExecStart의 옵션을 알아내기 위해 docker.service 위치를 알아내고,

$ sudo systemctl status docker.service
● docker.service - Docker Application Container Engine
   Loaded: loaded (/usr/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enabled; vendor preset: disabled)
   Active: active (running) since Mon 2023-06-26 16:31:48 KST; 59s ago
     Docs: https://docs.docker.com
...[생략]...

ExecStart 명령행을 확인합니다.

$ cat /usr/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Unit]
Description=Docker Application Container Engine
Documentation=https://docs.docker.com
After=network-online.target docker.socket firewalld.service containerd.service time-set.target
Wants=network-online.target containerd.service
Requires=docker.socket

[Service]
Type=notify
# the default is not to use systemd for cgroups because the delegate issues still
# exists and systemd currently does not support the cgroup feature set required
# for containers run by docker
ExecStart=/usr/bin/dockerd -H fd:// --containerd=/run/containerd/containerd.sock
ExecReload=/bin/kill -s HUP $MAINPID
TimeoutStartSec=0

...[생략]...

위의 명령행에서 "fd://"를 제거한 ExecStart를 설정해야 하는데요, 이 값을 직접 "/usr/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파일에서 편집하기보다는 다음과 같이 새롭게 override.conf 파일을 생성해 재정의하는 방식으로 진행해 보겠습니다.

$ mkdir -p /etc/systemd/system/docker.service.d

$ cd /etc/systemd/system/docker.service.d

// 이 디렉터리에 override.conf 파일을 생성 후, 다음의 내용을 갖도록 편집

$ cat override.conf
[Service]
ExecStart=
ExecStart=/usr/bin/dockerd --containerd=/run/containerd/containerd.sock

이후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 sudo systemctl daemon-reload

$ sudo systemctl restart docker.service

/etc/systemd/system/docker.service.d/override.conf 파일에 설정한 값이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 sudo systemctl status docker.service
● docker.service - Docker Application Container Engine
   Loaded: loaded (/usr/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enabled; vendor preset: disabled)
  Drop-In: /etc/systemd/system/docker.service.d
           └─override.conf
   Active: active (running) since Mon 2023-06-26 16:40:01 KST; 4s ago
     Docs: https://docs.docker.com
 Main PID: 13173 (dockerd)
    Tasks: 122
   Memory: 57.2M
   CGroup: /system.slice/docker.service
           ├─13173 /usr/bin/dockerd --containerd=/run/containerd/containerd.sock
...[생략]...
...[생략]... level=info msg="[graphdriver] using prior storage driver: overlay2"
...[생략]... level=info msg="Loading containers: start."
...[생략]... level=info msg="Default bridge (docker0) is assigned with an IP address 172.17.0.0/16. Daemon optio...d IP address"
...[생략]... level=info msg="Loading containers: done."
...[생략]... level=warning msg="WARNING: API is accessible on http://0.0.0.0:2375 without encryption.\n         Access to the...
...[생략]... level=info msg="Docker daemon" commit=659604f graphdriver=overlay2 version=24.0.2
...[생략]... level=info msg="Daemon has completed initialization"
...[생략]... level=info msg="API listen on /var/run/docker.sock"
...[생략]... systemd[1]: Started Docker Application Container Engine.
...[생략]... dockerd[23914]: time="...[생략]..." level=info msg="API listen on [::]:2375"

명령행에 "-H fd://" 옵션이 삭제되었으므로 해당 옵션을 이제 daemon.json 파일에 있는 것으로 적용하게 돼 위와 같이 메시지에 나오는 것처럼 2375 포트를 대기하는 TCP 소켓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netstat -tano | grep 2375
tcp6       0      0 :::2375                 :::*                    LISTEN      off (0.00/0/0)

"tcp6"이라고 나오기는 하지만 IPv4에 해당하는 "tcp"도 포함하고 있다고 하므로 사용에 문제가 없습니다.




위와 같이 설정했으면 이제 다른 컴퓨터에서 docker -H 명령을 내려 원격 제어가 가능합니다.

// docker host 컴퓨터의 IP가 192.168.100.50이라고 가정하고,
// 다른 컴퓨터에서 IPv4로 접속

$ docker -H 192.168.100.50:2375 info
...[생략]...

만약 로컬에서는 되는데,

$ docker -H 127.0.0.1:2375 info

원격에서만 안 된다면 방화벽을 조사해야 합니다.

Linux - 외부에서의 접속을 허용하기 위한 TCP 포트 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385




마지막으로, ExecStart의 값에서 "-H fd://"를 제거하지 않고 daemon.json에 "hosts"를 포함하게 되면, docker.service 시작에 실패하게 됩니다.

...[생략]... dockerd[29113]: unable to configure the Docker daemon with file /etc/docker/daemon.json: the following directives are specified both as a flag and in the configuration file: hosts: (from flag: [fd://], from file: [tcp://0.0.0.0:2375 unix:///var/run/docker.sock])
...[생략]...  systemd[1]: docker.service: main process exited, code=exited, status=1/FAILURE
...[생략]...  systemd[1]: Failed to start Docker Application Container Engine.
-- Subject: Unit docker.service has failed
-- Defined-By: systemd
-- Support: http://lists.freedesktop.org/mailman/listinfo/systemd-devel
-- 
-- Unit docker.service has failed.
-- 
-- The result is failed.

즉, "fd://" 옵션의 사용은 배타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10정성태5/23/201919952Math: 50. C# - MathNet.Numerics의 Matrix(행렬) 연산 [1]파일 다운로드1
11909정성태5/22/201914197.NET Framework: 837. C# - PLplot 사용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1908정성태5/22/201912711.NET Framework: 836. C# - Python range 함수 구현파일 다운로드1
11907정성태5/22/201910464오류 유형: 541. msbuild - MSB4024 The imported project file "...targets" could not be loaded
11906정성태5/21/201910409.NET Framework: 835. .NET Core/C# - 리눅스 syslog에 로그 남기는 방법
11905정성태5/21/201911045.NET Framework: 834. C# - 폴더 경로 문자열에서 "..", "." 표기를 고려한 최종 문자열을 얻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904정성태5/21/201917515.NET Framework: 833. C# - Open Hardware Monitor를 이용한 CPU 온도 정보 [1]파일 다운로드1
11903정성태5/21/201912320오류 유형: 540. .NET Core -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The named version of this synchronization primitive is not supported on this platform.
11902정성태5/21/201911473오류 유형: 539. mstest 실행 시 "The directory name is invalid." 오류 발생
11901정성태5/21/201912631오류 유형: 538. msbuild 오류 -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LOCALAPPDATA%\Temp\2\.NETFramework,Version=v4.0.AssemblyAttributes.cs'
11900정성태5/18/201911847오류 유형: 537. "sfc /scannow" 실행 중 시스템이 부팅되는 현상
11899정성태5/17/201912851Linux: 9. Linux에서 윈도우의 OutputDebugString 대신 사용할 수 있는 syslog [1]
11898정성태5/16/201914229VC++: 130. C++ string의 c_str과 data 함수의 차이점 [3]
11897정성태5/16/201921017오류 유형: 536. Visual Studio - "Developer Pack"을 설치했는데도 "대상 프레임워크" 목록에 나오지 않는 경우 [2]
11896정성태5/15/201915677개발 환경 구성: 440. C#, C++ - double의 Infinity, NaN 표현 방식파일 다운로드1
11895정성태5/12/201914052.NET Framework: 832. ML.NET Model Builder - 회귀(Regression), 다중 분류(Multi-class classification) 예제파일 다운로드1
11894정성태5/10/201915255VS.NET IDE: 135. Visual Studio - ML.NET Model Builder 소개 [5]
11893정성태5/10/201912855오류 유형: 535. C# 6.0 이상의 문법을 컴파일 시 오류가 발생한다면?
11892정성태5/10/201912891웹: 38. HTTP Cookie의 expires 시간 형식(RFC7231)
11891정성태5/9/201915414.NET Framework: 83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2 - Memory structure, attributes, handles
11890정성태5/8/201911093개발 환경 구성: 439.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메시지와 관련된 코드 기록
11889정성태5/8/201912009개발 환경 구성: 438. mstest, QTAgent의 로그 파일 설정 방법
11888정성태5/8/201927430.NET Framework: 830. C# - 비동기 호출을 취소하는 CancellationToken의 간단한 예제 코드 [1]파일 다운로드1
11887정성태5/8/201913725.NET Framework: 829. C# - yield 문을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의 조건
11886정성태5/7/201912794오류 유형: 534. mstest.exe 실행 시 "Visual Studio Enterprise is required to execute the test." 오류 [2]
11885정성태5/7/20199765오류 유형: 533. mstest.exe 실행 시 "File extension specified '.loadtest' is not a valid test extension." 오류 발생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