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870. _mysql - Commands out of sync; you can't run this command now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387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_mysql - Commands out of sync; you can't run this command now

다음의 코드를 수행하면,

# MySQLdb._mysql
# https://mysqlclient.readthedocs.io/user_guide.html#some-mysql-examples

def mysqlclient_raw2(request):
    from MySQLdb import _mysql

    mysql_ip = util.get_mysql_ip()

    con = _mysql.connect(mysql_ip, "...", "...", "...")

    con.query("SELECT SLEEP(0)")
    con.commit()

    con.close()

    return render(request, 'bbs/mysqlclient_raw.html', {'result_set': None})

(필요없는 호출이긴 하지만) con.commit()에서 이런 예외가 발생합니다.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home/kevin/.local/lib/python3.8/site-packages/django/core/handlers/exception.py", line 47, in inner
    response = get_response(request)
  File "/home/kevin/.local/lib/python3.8/site-packages/django/core/handlers/base.py", line 181, in _get_response
    response = wrapped_callback(request, *callback_args, **callback_kwargs)
  File "/mnt/d/workshop2/python-agent/testprj/myapp/./bbs/views.py", line 346, in mysqlclient_raw
    con.commit()
MySQLdb.ProgrammingError: (2014, "Commands out of sync; you can't run this command now")

관련해서 검색해 보면,

B.3.2.12 Commands out of sync
; https://dev.mysql.com/doc/refman/8.0/en/commands-out-of-sync.html

This can happen, for example, if you are using mysql_use_result() and try to execute a new query before you have called mysql_free_result(). It can also happen if you try to execute two queries that return data without calling mysql_use_result() or mysql_store_result() in betwee


con.query("SELECT SLEEP(0)") 코드 수행으로 resultset이 열려 있게 되고, 그런 와중에 con.commit()으로 인해 수행되는 또 다른 MySql 쿼리로 인해 문제가 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commit 전에 ("SELECT"를 동반한 쿼리인 경우라면) 반드시 store_result를 호출해야 합니다. (혹은, commit을 호출하지 않으면 됩니다.)

con = _mysql.connect(mysql_ip, "...", "...", "...")

con.query("SELECT SLEEP(0)")
con.store_result()
con.commit()

반면에 use_result를 쓰면,

con.query("SELECT SLEEP(0)")
r = con.use_result()
con.commit()  # 예외 발생: MySQLdb.ProgrammingError: (2014, "Commands out of sync; you can't run this command now")

다시 예외가 발생하는데, "B.3.2.12 Commands out of sync" 문서에서 설명했듯이 use_result/free_result를 쌍으로 호출해야 하지만 웬일인지 MySQLdb._mysql에는 해당 함수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MySQL측의 connector에는 free_result 함수가 제공됩니다.)

그렇다면 use_result와 store_result 간에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요?

mysqli_store_result() vs. mysqli_use_result()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9876730/mysqli-store-result-vs-mysqli-use-result

mysqli::store_result() will fetch the whole resultset from the MySQL server while mysqli::use_result() will fetch the rows one by one.


설명에 따르면 store_result의 경우 resultset을 전부 순회한 것이 되고, use_result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유형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직접 순회를 마치면,

con.query("SELECT SLEEP(0)")
r = con.use_result()
r.fetch_row()  # 2번을 호출
r.fetch_row()
con.commit()  # 정상 동작

또는, while 문으로 돌려주면,

con.query("SELECT SLEEP(0)")
r = con.use_result()

while r.fetch_row():
    pass

con.commit()  # 정상 동작

commit 호출 시 예외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참고로, 다른 의견을 보면 그 둘 간의 차이점에는 buffer가 관여한다고 합니다.

use_result returns an unbuffered result.
store_result returns a buffered result.

그렇다면 store_result의 경우에도 버퍼를 초과하는 select인 경우라면 문제가 된다는 것일까요? 딱히 버퍼의 용량을 알아내는 것도 없으니 테스트가 애매합니다.

정리해 보면, 결국 제가 _mysql의 사용법을 제대로 익히지 않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8정성태10/31/201231031개발 환경 구성: 173. Windows Phone SDK 8.0 설치
1367정성태10/30/201238109개발 환경 구성: 172. IIS 7.5부터 지원되는 웹 사이트 자동 시작 모드 [1]
1366정성태10/24/201229652개발 환경 구성: 171. GTK+를 윈도우 환경에 수작업 설치
1365정성태10/24/201228483개발 환경 구성: 170. 우분투 데스크톱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2]
1364정성태10/19/201225265Windows: 66. Hyper-V 2012에서 별도의 네트워크 카드를 이용한 Live Migration
1363정성태10/16/201232907개발 환경 구성: 169. Objective-C의 대안 - Xamarin의 Mono를 이용한 C# iOS 개발 환경 [2]
1362정성태10/16/201232988개발 환경 구성: 168. 우분투 서버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1361정성태10/12/201226294.NET Framework: 341. .NET COM+ 를 Managed/Native 클라이언트에서 각각 호출했을 때의 콜 스택 비교 [4]파일 다운로드1
1360정성태10/9/201231026.NET Framework: 340. Windows Server 2012 - .NET Framework 1.x 미지원
1359정성태10/9/201267060Windows: 65. 윈도우 8 - Internet Explorer 10을 32비트 또는 64비트로 통합 [5]
1358정성태9/27/201230293.NET Framework: 339. .NET Profiler 주의 사항 - 하나의 exe 프로세스 내에 다중 .NET 런타임 사용
1357정성태9/27/201226934Windows: 64. Hyper-V - Windows XP의 Live Migration 오류
1356정성태9/26/201233333Windows: 63.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의 새로운 기능 Live Migration [6]
1355정성태9/21/201231492Team Foundation Server: 49. TFS 2012 Express의 필수 보완 작업: 데이터베이스 백업 [1]
1354정성태9/19/201228450.NET Framework: 338. .NET CLR GC 시간 측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3정성태9/17/201229242.NET Framework: 337. Python의 생성기와 코루틴을 C#으로 표현하면. [2]파일 다운로드1
1352정성태9/13/201227177.NET Framework: 336. .NET Profiler가 COM 개체일까?
1351정성태9/13/201231943디버깅 기술: 49. windbg - .NET Framework 스레드 개체의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
1350정성태9/12/201232492개발 환경 구성: 167. (실은) 무료가 아니었던 AWS EC2 서비스 [4]
1349정성태9/11/201264446VS.NET IDE: 74. Visual Studio의 '새 파일'을 UTF-8 인코딩으로 지정하는 방법 [4]
1348정성태9/11/201231807오류 유형: 164. Active Directory - Functional Level 승격이 안 되는 문제
1347정성태9/10/201234716Windows: 62.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 서버 마이그레이션 [1]
1346정성태9/10/201234817Windows: 61. 윈도우 서버 2012 - Active Directory 서버 마이그레이션
1345정성태9/10/201239607스크립트: 12. 파이썬 - Win32 DLL 연동 [2]
1344정성태9/10/201232291오류 유형: 163. .NET Framework 4.5 제거 후 Visual Studio 2010 실행 시 Unknown Error
1343정성태9/8/201246078스크립트: 11. 파이썬(Python) 윈도우 개발 환경 [7]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