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ows - 키보드의 등호(=, Equals sign) 키가 눌리지 않는 경우

이상하군요, ^^; 다른 모든 키가 잘 눌려지는 상황에서 '=' 키만 눌리지 않습니다. 심지어 (shift를 누른 상태의) '+' 키도 잘 눌리는데! ^^; 혹시나 특정 프로그램이 키보드 매핑을 새롭게 한 것이 아닌가 싶어 레지스트리를 확인했지만 그런 설정은 없었습니다.

검색해 보면, 딱히 정확한 해결책이 없습니다. 그중에서 dism을 이용한 방법이 있어서 해봤는데요,

C:\Windows\System32> DISM.exe /Online /Cleanup-image /Scanhealth

C:\Windows\System32> DISM.exe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Deployment Image Servicing and Management tool
Version: 10.0.22621.1

Image Version: 10.0.22621.2215

[==========================100.0%==========================] The restore operation completed successfully.
The operation completed successfully.

두 번째 Restorehealth 옵션으로 실행 시 60% 근처에서 한참 멈춰 있어서 그사이 다른 걸 시도해 볼까 하다가 마침 설치해 두었던 (Window Key + Space 조합키로) 일본어 IME 모드로 변경한 다음 '=' 키를 입력했더니 잘 됩니다. ^^

이후 다시 한글 IME 모드로 변경했어도 정상 동작해서 일단은 재부팅 없이 문제는 해결했는데, 이것이 DISM.exe 실행 단계 중에 해결된 것인지, 일본어 IME로의 변경 덕분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음에 한 번 더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 정확한 해결책을 찾아보겠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9/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17정성태8/26/201021795개발 환경 구성: 86. "Routing and Remote Access"의 "Routing" 기능 활성화 방법
916정성태8/25/201021116개발 환경 구성: 85. 가상 네트워크에 LAN 어댑터 보이거나 감추는 방법
915정성태8/24/201039260개발 환경 구성: 84.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2)
913정성태8/22/201028342오류 유형: 104. Hyper-V 관리자 - VM 생성 오류 (VHD 생성 오류)
912정성태8/20/201030249.NET Framework: 183. 구조체 포인터 인자에 대한 P/Invoke 정의파일 다운로드1
911정성태8/19/201027116오류 유형: 103. System.Reflection.Target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910정성태8/19/201037936개발 환경 구성: 83.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1)
909정성태8/18/201033330오류 유형: 102.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908정성태8/17/201024329개발 환경 구성: 82.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3)
907정성태8/14/201021830개발 환경 구성: 81.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2)
906정성태8/13/201030745개발 환경 구성: 80.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1)
905정성태8/8/201032905Team Foundation Server: 39. 배치 파일로 팀 빌드 구성 [2]파일 다운로드1
904정성태8/8/201035664오류 유형: 101.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2]
903정성태8/6/201032523Team Foundation Server: 38.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4) - Branch
902정성태8/5/201024871Team Foundation Server: 37. TFS 2010의 소스 서버 수작업 구성
901정성태8/4/201024146Team Foundation Server: 36.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3) - Label
900정성태8/3/201026779Team Foundation Server: 35.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2) - Shelveset
899정성태8/2/201028858Team Foundation Server: 34.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1) - Changeset
898정성태7/31/201028384.NET Framework: 182. WCF의 InactivityTimeout [1]파일 다운로드1
897정성태7/26/201129613.NET Framework: 181. AssemblyVersion, AssemblyFileVersion, AssemblyInformationalVersion [4]
896정성태7/25/201036359.NET Framework: 180. C# Singleton 인스턴스 생성 [2]
895정성태7/25/201020247VS.NET IDE: 68. Visual Studio 2010 - .NET 1.1 원격 디버깅
894정성태7/25/201026160오류 유형: 100. Could not find the Database Engine startup handle. [1]
893정성태7/25/201027278오류 유형: 99. .NET 4.0 설치된 윈도우 7에서 SQL Server 2008 R2 설치 오류
892정성태7/9/201029057오류 유형: 98. 영문 윈도우에 한글 SQL Server 2008 R2 설치할 때 오류 [4]
891정성태7/8/201024877오류 유형: 97. MsiGetProductInfo failed to retrieve ProductVersion for package with Product Code = '{...}'. Error code: 1605. [2]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