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S.NET IDE: 73. Visual Studio 2012 - XmlCodeGenerator 마이그레이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049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Studio 2012 - XmlCodeGenerator 마이그레이션

Visual Studio에는 "Custom Tool" 기능이 제공되고 있는데요.

Registering Single File Generators
; https://docs.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visualstudio/visual-studio-2015/extensibility/internals/registering-single-file-generators

저도 위의 기능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다음의 도구를 만들었습니다.

XmlCodeGenerator 1.0.0.4 업데이트
; https://www.sysnet.pe.kr/2/0/760

그런데, 이것을 Visual Studio 2012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과정에서 애를 좀 먹었습니다.

"Registering Single File Generators" 글에서도 설명된 것처럼 IVsSingleFileGenerator 유의 소스 코드 생성기는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VisualStudio" 레지스트리 위치에 버전별로 등록하도록 되어 있는데요. 제가 만든 XmlCodeGenerator의 경우 정상적으로 그 위치에 등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2에서는 동작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유를 찾기 위해, "Process Monitor"로 살펴보아야만 했는데요. 보시는 것처럼, 전혀 엉뚱한 위치에서 plug-in DLL을 찾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odegen_vs2012_1.png

HKCU\Software\Microsoft\VisualStudio\11.0_Config\Generators\{FAE04EC1-301F-11D3-BF4B-00C04F79EFBC}\XmlCodeGenerator


여기서 재미있는 점이 하나 있는데요. 기존 Visual Studio 2010에서도 역시 HKCU 위치의 레지스트리에서 plug-in을 찾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왜? HKLM 측에 등록해도 동작이 되었냐면, Visual Studio 2010은 plug-in이 HKLM에 등록되어 있으면 실행 시에 HKCU 측으로 복사를 해주기 때문입니다. (문서에서 본 내용은 아니고, 직접 눈으로 확인한 것입니다.)

즉, Visual Studio 2012는 그 복사 과정을 해주지 않기 때문에 동작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할 수 없군요. ^^ 등록해 주는 코드를 작성해 주는 수밖에.

string visualStudioRegKeys = @"Software\Microsoft\VisualStudio\11.0_Config\Generators\{FAE04EC1-301F-11D3-BF4B-00C04F79EFBC}";

using (RegistryKey key = Registry.CurrentUser.OpenSubKey(visualStudioRegKeys, true))
{
    using (RegistryKey pluginKey = key.CreateSubKey("XmlCodeGenerator"))
    {
        pluginKey.SetValue(string.Empty, "BclExtension.XmlCodeGenerator");
        pluginKey.SetValue("CLSID", "{" + RefGuid + "}");
        pluginKey.SetValue("GeneratesDesignTimeSource", 0, RegistryValueKind.DWord);
    }
}

이를 반영하여 현재 "DeveloperToolManager"도 업데이트 시켰고, 그것을 통해서 정상적으로 등록까지 완료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07정성태7/14/202188823오류 유형: 734. MySQL -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12706정성태7/14/202120442.NET Framework: 1076. C# - AsyncLocal 기능을 CallContext만으로 구현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705정성태7/13/202121590VS.NET IDE: 168.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2704정성태7/12/202119492개발 환경 구성: 576. Azure VM의 서비스를 Azure Web App Service에서만 접근하도록 NSG 설정을 제한하는 방법
12703정성태7/11/202123917개발 환경 구성: 575. Azure VM에 (ICMP) ping을 허용하는 방법
12702정성태7/11/202121359오류 유형: 733. TaskScheduler에 등록된 wacs.exe의 Let's Encrypt 인증서 업데이트 문제
12701정성태7/9/202121203.NET Framework: 1075. C# - ThreadPool의 스레드는 반환 시 ThreadStatic과 AsyncLocal 값이 초기화 될까요?파일 다운로드1
12700정성태7/8/202121746.NET Framework: 1074. RuntimeType의 메모리 누수? [1]
12699정성태7/8/202120576VS.NET IDE: 167. Visual Studio 디버깅 중 GC Heap 상태를 보여주는 "Show Diagnostic Tools" 메뉴 사용법
12698정성태7/7/202124274오류 유형: 732. Windows 11 업데이트 시 3% 또는 0%에서 다운로드가 멈춘 경우
12697정성태7/7/202118312개발 환경 구성: 574. Windows 11 (Insider Preview) 설치하는 방법
12696정성태7/6/202120516VC++: 146. 운영체제의 스레드 문맥 교환(Context Switch)을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2695정성태7/3/202120581VC++: 145. C 언어의 setjmp/longjmp 기능을 Thread Context를 이용해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94정성태7/2/202121705Java: 24. Azure - Spring Boot 앱을 Java SE(Embedded Web Server)로 호스팅 시 로그 파일 남기는 방법 [1]
12693정성태6/30/202118482오류 유형: 731. Azure Web App Site Extension - Failed to install web app extension [...]. {1}
12692정성태6/30/202119875디버깅 기술: 180. Azure - Web App의 비정상 종료 시 남겨지는 로그 확인
12691정성태6/30/202119103개발 환경 구성: 573. 테스트 용도이지만 테스트에 적합하지 않은 Azure D1 공유(shared) 요금제
12690정성태6/28/202119869Java: 23.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Tomcat 호스팅
12689정성태6/25/202123255오류 유형: 730. Windows Forms 디자이너 - The class Form1 can be designed, but is not the first class in the file. [1]
12688정성태6/24/202122984.NET Framework: 1073. C# - JSON 역/직렬화 시 리플렉션 손실을 없애는 JsonSrcGen [2]파일 다운로드1
12687정성태6/22/202119154오류 유형: 729. Invalid data: Invalid artifact, java se app service only supports .jar artifact
12686정성태6/21/202119344Java: 22.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Java SE (Embedded Web Server) 호스팅
12685정성태6/21/202122802Java: 21. Azure Web App Service에 배포된 Java 프로세스의 메모리 및 힙(Heap) 덤프 뜨는 방법
12684정성태6/19/202121222오류 유형: 728. Visual Studio 2022부터 DTE.get_Properties 속성 접근 시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예외 발생
12683정성태6/18/202120760VS.NET IDE: 166. Visual Studio 2022 - Windows Forms 프로젝트의 x86 DLL 컨트롤이 Designer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12682정성태6/18/202117730VS.NET IDE: 165. Visual Studio 2022를 위한 Extension 마이그레이션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