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153. C# - 사용자가 빌드한 ICU dll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10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848. .NET Core/5+ - Process terminated. Couldn't find a valid ICU package installed on the system
; https://www.sysnet.pe.kr/2/0/13266

닷넷: 2153. C# - 사용자가 빌드한 ICU dll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30

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
; https://www.sysnet.pe.kr/2/0/13796

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
; https://www.sysnet.pe.kr/2/0/13797

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 https://www.sysnet.pe.kr/2/0/13800




C# - 사용자가 빌드한 ICU dll 파일을 사용하는 방법

아래와 같은 글이 있군요. ^^

How can I convert between IANA time zones and Windows registry-based time zones?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10527-00/?p=105255

위의 글에서는 icu.dll에 있는 함수 ucal_getWindowsTimeZoneID, ucal_getTimeZoneIDForWindowsID 2개를 이용해 변환을 하고 있는데요, C#에서는 .NET 6부터 그에 대응하는 TryConvertIanaIdToWindowsId, TryConvertWindowsIdToIanaId 메서드를 각각 제공합니다. (.NET 5 이하라면 P/Invoke로 대신해야 합니다.)

TimeZoneInfo.TryConvertIanaIdToWindowsId Method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timezoneinfo.tryconvertianaidtowindowsid

TimeZoneInfo.TryConvertWindowsIdToIanaId Method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timezoneinfo.tryconvertwindowsidtoianaid

// 아래의 코드는, How can I convert between IANA time zones and Windows registry-based time zones? 글에 실린 C++ 예제 코드를 C#으로 변환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갖습니다.

if (TimeZoneInfo.TryConvertIanaIdToWindowsId("America/Vancouver", out string windowsTimeZoneId))
{
    Console.WriteLine(windowsTimeZoneId); // 출력 결과: Pacific Standard Time
}

if (TimeZoneInfo.TryConvertWindowsIdToIanaId("Pacific Standard Time", out string ianaTimeZoneId))
{
    Console.WriteLine(ianaTimeZoneId); // 출력 결과: America/Vancouver
}

또한, 기존 NLS 대신 ICU를 사용하므로 아래의 코드 수행 결과도 달라집니다.

System.Threading.Thread.CurrentThread.CurrentCulture = new System.Globalization.CultureInfo("de");
string text = string.Format("{0:C}", 100);
Console.WriteLine(text); // 출력 결과: 100,00 ¤

NLS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출력 결과가 "100,00 €"였지만 ICU를 사용하면서 화폐 단위가 "¤" (scarab) 국제 통화 기호로 바뀝니다.




현재 (c:\Windows\system32 디렉터리에 위치한) icu.dll은 윈도우 서버 버전의 경우 2019 이상, 클라이언트 버전의 경우 Windows 10 1703 이상에서만 기본 포함하고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그런 탓에 TryConvertIanaIdToWindowsId, TryConvertWindowsIdToIanaId 메서드를 (예를 들어) Windows Server 2016 환경에서 호출하면 모두 false를 반환하면서 변환에 실패합니다. icu.dll을 내장하지 않은 윈도우 버전이라면, 그냥 직접 빌드한 DLL을 닷넷 응용 프로그램과 함께 배포하는 것도 가능한데요, vcpkg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빌드할 수 있고,

C:\vcpkg> vcpkg search | findstr icu
...[생략]...
icu                      72.1#3           Mature and widely used Unicode and localization library.
...[생략]...

C:\vcpkg> vcpkg install icu[core]:x64-windows
...[생략]...

그럼 다음과 같은 결과물 파일들이 나옵니다.

icudt72.dll
icuin72.dll
icuio72.dll
icutu72.dll
icuuc72.dll

보는 바와 같이 "72"라는 버전 번호가 함께 붙는데요, 심지어 내부의 API들까지 모두 버전 번호가 따라붙어 빌드가 됩니다.

C:\vcpkg\installed\x64-windows\bin> dumpbin /EXPORTS icuin72.dll | findstr ucal_getWindowsTimeZoneID
       5794 16A1 0014CEF0 ucal_getWindowsTimeZoneID_72 = ucal_getWindowsTimeZoneID_72

그래서, 우리가 직접 P/Invoke interop을 하려면 매우 귀찮아질 수 있는데요, 다행히 닷넷 런타임에서 이러한 다양성을 고려해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NET globalization and ICU 
 - App-local ICU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extensions/globalization-icu#app-local-icu

<ItemGroup>
  <RuntimeHostConfigurationOption Include="System.Globalization.AppLocalIcu"
    Value="<suffix>:<version> or <version>" />
</ItemGroup>

suffix와 version을 각각 지정할 수 있는데 vcpkg의 경우 기본 빌드에서 suffix를 붙이지는 않으므로 버전만 다음과 같이 지정하면 됩니다.

<ItemGroup>
    <RuntimeHostConfigurationOption Include="System.Globalization.AppLocalIcu" Value="72" />
</ItemGroup>

자, 그럼 통합해 볼까요? ^^ icu 빌드 후 나온 결과물 중에 테스트를 해보면 닷넷을 위해 3개(icuuc72.dll, icudt72.dll, icuin72.dll)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csproj를 구성해,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6.0</TargetFramework>
    </PropertyGroup>

    <ItemGroup>
      <None Include="..\Libs\x64\icuuc72.dll" Link="icuuc72.dll">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None>
      <None Include="..\Libs\x64\icudt72.dll" Link="icudt72.dll">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None>
      <None Include="..\Libs\x64\icuin72.dll" Link="icuin72.dll">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None>          
    </ItemGroup>

    <ItemGroup>
        <RuntimeHostConfigurationOption Include="System.Globalization.AppLocalIcu" Value="72" />
    </ItemGroup>
</Project>

(위의 경우 ..\Libs\x64 디렉터리에 DLL을 위치해 두고) 빌드 시 EXE 파일이 생성되는 위치에 dll도 함께 복사가 되므로 배포가 용이해집니다.

실제로 해당 파일들을 모두 복사해 Windows Server 2016에서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ICU 관련 메서드들이 호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문서에 보면, 반대로 ICU가 아닌 윈도우의 기본 NLS 모듈을 사용하도록 만드는 옵션도 있습니다.

Use NLS instead of ICU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extensions/globalization-icu#use-nls-instead-of-icu

따라서, 다음의 옵션을 csproj에 넣은 후,

<ItemGroup>
  <RuntimeHostConfigurationOption Include="System.Globalization.UseNls" Value="true" />
</ItemGroup>

빌드하면 이제는 Windows 11에서도 .NET 5+ 응용 프로그램은 이전과 같은 실행 결과가 나옵니다.

참고로, csproj에 지정한 RuntimeHostConfigurationOption은 결국 빌드 후 결과물로 나오는 "[exe].runtimeconfig.json" 파일에 반영되는 효과만 있는 것입니다.

{
  "runtimeOptions": {
    "tfm": "net6.0",
    "framework": {
      "name": "Microsoft.NETCore.App",
      "version": "6.0.0"
    },
    "configProperties": {
      "System.Globalization.AppLocalIcu": 72,
      "System.Globalization.UseNls": true
    }
  }
}

즉, csproj에 지정하지 않았어도 어떤 식으로든 runtimeconfig.json에 저 설정만 넣어주면 됩니다. 심지어 환경 변수(DOTNET_SYSTEM_GLOBALIZATION_USENLS, DOTNET_SYSTEM_GLOBALIZATION_APPLOCALICU)로도 가능합니다.




그나저나, 우리가 vcpkg로 직접 빌드한 3개의 모듈은 각각의 파일 용량이 icudt72.dll 30MB, icuin72.dll 2.5MB, icuuc72.dll 1.7MB로 꽤나 큽니다. 반면, 윈도우 내장 icu.dll의 경우 2.5MB에 불과한데요, "How can I convert between IANA time zones and Windows registry-based time zones?" 글에 보면, 윈도우도 처음에는 icuuc.dll, icuin.dll로 나뉘어 제공하다가 Windows 10 Version 1903부터 icu.dll 하나로 합쳤다고 합니다.

어쨌든 직접 빌드한 DLL이 적은 용량은 아니므로 배포 파일에 포함해야 한다면 아마도 윈도우 대상에 따라 셋업 파일을 제공하는 것도 고민해야 할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3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96]  197 
NoWriterDateCnt.TitleFile(s)
40정성태7/23/200321819COM 개체 관련: 10. IE BHO 개체를 개발할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탐색기에서 활성화 되는 문제 해결 [1]
41김성현7/24/200320653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0.1. [답변]: IE BHO 개체를 개발할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탐색기에서 활성화 되는 문제 해결
42정성태7/29/200318593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0.2. feedback 을 받기 위해서 답변 기능을 가능하게 해두었습니다.
39정성태7/17/200324369VS.NET IDE: 5. 원격 제어 3가지 방법
38정성태7/17/200320911.NET Framework: 8. IIS 서버 재설치와 ASP.NET 서비스의 문제점
36정성태7/17/200321578.NET Framework: 7. 시행착오 - WebService 참조 추가 오류
35정성태7/17/200322096.NET Framework: 6. Win2000에서의 .NET COM+ 자동 등록 오류 발생 해결
34정성태7/17/200320769VS.NET IDE: 4. VC++ 원격 디버깅파일 다운로드1
33정성태7/17/200320927VS.NET IDE: 3. Win2000 NAT 서비스
32정성태7/17/200322134COM 개체 관련: 9. _bstr_t, CComBSTR, string 클래스 사용 [1]
31정성태7/17/200319229COM 개체 관련: 8. IDL 구문에서 구조체를 pack 하는 방법
30정성태7/17/200336485VC++: 7. [STL] vector 사용법 및 reference 사용예 [1]파일 다운로드1
28정성태7/17/200320892스크립트: 3. Programming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 - CHM 파일
29정성태7/17/200320371    답변글 스크립트: 3.1. Programming Microsoft Internet Explorer 5 - 소스코드
27정성태7/17/200319289COM 개체 관련: 7. HTML Control에서 DELETE, 화살표 키 등이 안 먹는 문제
26정성태7/17/200320456COM 개체 관련: 6. WebBrowser 콘트롤에서 프레임을 구하는 소스
25정성태7/17/200318103COM 개체 관련: 5. C++ Attributes - Make COM Programming a Breeze with New Feature in Visual Studio .NET [2]파일 다운로드1
24정성태7/17/200321733.NET Framework: 5. (MHT 변환해서 가져온 글) .NET 의 COM+ 서비스 사용파일 다운로드1
23정성태7/17/200325419.NET Framework: 4. webservice.htc - HTML Script에서도 웹서비스 엑세스 [2]파일 다운로드1
22정성태7/17/200319952.NET Framework: 3. .NET Framework SDK 퀵 스타트 자습서
21정성태7/17/200319029.NET Framework: 2. 김현승님의 "ASP.NET & .NET EnterpriseServices & Remoting 코드 템플릿"
20정성태2/15/200526044VS.NET IDE: 2. Platform SDK 설치
19정성태7/17/200321972.NET Framework: 1. JScript.NET 강좌 사이트[영문]
18정성태7/17/200319390COM 개체 관련: 4. Exchanging Data Over the Internet Using XML [1]파일 다운로드1
17정성태7/17/200327342VC++: 6. Win32 API Hook - 소스는 "공개소스"에있습니다. [2]
16정성태7/17/200319665COM 개체 관련: 3. IE 툴밴드의 위치문제파일 다운로드1
... [196]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