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555. openssl - CA로부터 인증받은 새로운 인증서를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70

개발 환경 구성: 565. PowerShell - New-SelfSignedCertificate를 사용해 CA 인증서 생성 및 인증서 서명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588

개발 환경 구성: 654. openssl - CA로부터 인증받은 새로운 인증서를 생성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3187

개발 환경 구성: 662. openssl - 윈도우 환경의 명령행에서 SAN 적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235

개발 환경 구성: 663. openssl을 이용해 인트라넷 IIS 사이트의 SSL 인증서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236

개발 환경 구성: 681. openssl - 인증서 버전(V1 / V3)
; https://www.sysnet.pe.kr/2/0/13371

개발 환경 구성: 686. 비주얼 스튜디오로 실행한 ASP.NET Core 사이트를 WSL 2 인스턴스에서 https로 접속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42

개발 환경 구성: 687. OpenSSL로 생성한 사용자 인증서를 ASP.NET Core 웹 사이트에 적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43

Linux: 62. 리눅스/WSL에서 CA 인증서를 저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45

닷넷: 2162. ASP.NET Core 웹 사이트의 SSL 설정을 코드로 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47




OpenSSL로 생성한 사용자 인증서를 ASP.NET Core 웹 사이트에 적용하는 방법

이번 글은 IIS 버전을 새롭게 정리한 것입니다.

openssl을 이용해 인트라넷 IIS 사이트의 SSL 인증서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3236




지난 글에서,

비주얼 스튜디오로 실행한 ASP.NET Core 사이트를 WSL 2 인스턴스에서 https로 접속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42

호스팅하는 ASP.NET 웹 사이트는 기본적으로 "ASP.NET Core HTTPS development certificate" 테스트 인증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localhost"로만 (매끄럽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

이번엔, (vcpkg로 쉽게 빌드할 수 있는) openssl로 만든 인증서 파일을 활용해 그럴싸하게 호스팅 해보겠습니다. ^^




자, 그럼 우선 CA 인증서와 그것으로 서명한 "테스트 웹 사이트용 인증서"를 openssl로,

openssl - CA로부터 인증받은 새로운 인증서를 생성하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3187

이렇게 만들어 줍니다.

// 참고로, 공인 CA 업체로부터 인증서를 받는다면 아래에서 1~2번 작업만 사용자가 하고, 3번부터는 CA 측에서 담당합니다.

// 1) 웹 사이트 개인키 생성
c:\temp\cert> openssl genrsa -out test_site_cert.key 2048
// 2) CA에서 서명 받아 생성할 인증서의 요청 파일 생성
c:\temp\cert> openssl req -key test_site_cert.key -new -out test_site_cert.csr -subj "/CN=test.testhvpc.com"

// 3) CA 측에서 해당 인증서에 추가할 SAN 이름을 갖는 설정 파일 준비
c:\temp\cert> type ssl_conf.txt
subjectAltName=DNS:test.testhvpc.com,DNS:localhost,IP:127.0.0.1,IP:172.18.208.1

// 4) CA 인증서와 개인키 생성
c:\temp\cert> openssl req -newkey rsa:2048 -nodes -keyout test_ca.key -x509 -days 365 -out test_ca.crt  -subj "/CN=testca"

// 5) CA의 개인키로 인증서 요청을 승인(서명)해 인증서 생성
c:\temp\cert> openssl x509 -req -days 3650 -extfile ssl_conf.txt -in test_site_cert.csr -CA test_ca.crt -CAkey test_ca.key -CAcreateserial -out test_site_cert.crt

subjectAltName으로 다양한 값을 주었는데요, (여러분들의 환경에 맞게) 원하는 값을 다중으로 저렇게 넣으면 됩니다. 여기까지 완료했으면, 이제 생성된 파일 중 의미 있는 파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test_site_cert.crt  // 테스트 사이트 인증서 (Web 사이트에서 사용)
test_site_cert.key  // 테스트 사이트 개인키 (Web 사이트에서 사용)

test_ca.crt  // CA 인증서 (클라이언트 측에서 사용)
test_ca.key  // CA 개인키 (향후, 또 다른 인증서 요청을 수락하기 위해 사용)




ASP.NET 웹 프로젝트에 test_site_cert.crt, test_site_cert.key 파일을 복사하고 빌드 시 복사되도록 csproj에 다음과 같이 추가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Web">

    <PropertyGroup>
        <TargetFramework>net7.0</TargetFramework>
        <Nullable>enable</Nullable>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PropertyGroup>

    <ItemGroup>
        <None Update="test_site_cert.crt">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None>
        <None Update="test_site_cert.key">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None>
    </ItemGroup>

</Project>

그다음 appsettings.json 파일에 SSL 통신을 위한 인증서/개인키 파일과 Url 정보를 추가합니다.

{
    "Logging": {
        "LogLevel": {
            "Default": "Information",
            "Microsoft.AspNetCore": "Warning"
        }
    },
    "AllowedHosts": "*",
    "Kestrel": {
        "EndPoints": {
            "Http": {
                "Url": "http://0.0.0.0:5001"
            },
            "HttpsFromPem": {
                "Url": "https://0.0.0.0:7252",
                "Certificate": {
                    "Path": "test_site_cert.crt",
                    "KeyPath": "test_site_cert.key"
                }
            }
        }
    }
}

일단, 서비스하는 측에서의 준비는 끝났습니다. 마지막으로, 연결하려는 측,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로 접속한다면 그것이 실행될 컴퓨터에 "test_ca.crt" CA 공개키 인증서를 복사해 "Trusted Root Certification Authorities"에 등록해 줍니다.

여기까지 잘 마쳤으면, ^^ 이제 Visual Studio에서 F5 키를 눌러 웹 사이트를 실행한 후,

warn: Microsoft.AspNetCore.Server.Kestrel[0]
      Overriding address(es) 'https://localhost:7252, http://localhost:5001'. Binding to endpoints defined via IConfiguration and/or UseKestrel() instead.
info: Microsoft.Hosting.Lifetime[14]
      Now listening on: http://0.0.0.0:5001
info: Microsoft.Hosting.Lifetime[14]
      Now listening on: https://0.0.0.0:7252
info: Microsoft.Hosting.Lifetime[0]
      Application started. Press Ctrl+C to shut down.
info: Microsoft.Hosting.Lifetime[0]
      Hosting environment: Development
info: Microsoft.Hosting.Lifetime[0]
      Content root path: C:\temp\WebApplication1\WebApplication1

(CA 공개키 인증서를 설치한 PC 측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SAN에 설정했던 값, 제 경우에는 localhost의 IP가 172.18.208.1이기 때문에 "https://172.18.208.1:7252"로 접속하면 정상적으로 (아무 부가 작업 없이) SSL로 호스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4/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00정성태11/7/201628831개발 환경 구성: 304. Wi-Fi Direct 지원 여부 확인 방법 [1]
11099정성태11/7/201630763.NET Framework: 620. C#에서 C/C++ 함수로 콜백 함수를 전달하는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1098정성태11/7/201620104오류 유형: 368. 빌드 이벤트에서 robocopy 사용 시 $(TargetDir) 매크로를 지정하는 경우 오류 발생
11097정성태11/7/201623036오류 유형: 367. go install: no install location for directory [...경로...] outside GOPATH
11096정성태11/6/201626825디버깅 기술: 83. PDB 파일을 수동으로 다운로드하는 방법
11095정성태11/6/201623091.NET Framework: 619. C# - Cognitive Services 중의 하나인 Face API를 사용해 얼굴 인식 및 흐림(blur) 효과 적용 [1]파일 다운로드1
11094정성태11/5/201624730VC++: 105. Visual Studio 2013/2015 - Ceemple OpenCV 확장을 이용한 웹캠 영상 출력
11093정성태11/4/201624668웹: 34. Edge 브라우저도 지원하는 클립보드 복사를 위한 자바스크립트 코드
11092정성태11/3/201631609.NET Framework: 618. C# - NAudio를 이용한 MP3 파일 재생 [5]파일 다운로드1
11091정성태11/3/201626318VC++: 104. std::call_once를 이용해 thread-safe한 Singleton 객체 생성파일 다운로드1
11090정성태11/1/201627781VC++: 103. C++ CreateTimerQueue, CreateTimerQueueTimer 예제 코드 [9]파일 다운로드1
11089정성태11/1/201626715디버깅 기술: 82. Windows 10을 위한 Symbol(PDB) 파일 내려받는 방법 [2]
11088정성태11/1/201630793.NET Framework: 617. C# - AForge.NET을 이용한 MP4 동영상 파일 재생 [7]파일 다운로드1
11087정성태11/1/201625197.NET Framework: 616. AForge.Video.FFMPEG를 최신 버전의 ffmpeg 파일로 의존성을 변경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086정성태11/1/201619053오류 유형: 366. The Microsoft Passport Container service terminated with the following error: General access denied error
11085정성태10/27/201633449.NET Framework: 615. C# - AForge.NET을 이용한 웹캠 영상 출력 [2]파일 다운로드1
11084정성태10/26/201621413오류 유형: 365. The User Profile Service service failed to the sign-in.
11083정성태10/26/201627964Windows: 131. 윈도우 10에서 사라진 "Adapters and Bindings" 네트워크 우선 순위 조정 기능 [1]
11082정성태10/26/201629897.NET Framework: 614. C# - DateTime.Ticks의 정밀도 [4]파일 다운로드1
11081정성태10/26/201620390오류 유형: 364. You need to fix your Microsoft Account for apps on your other devices to be able to launch apps and continue experiences on this device.
11080정성태10/24/201623552Windows: 130. Windows Server 2016 Nano 서버 설치 방법
11079정성태10/21/201620681Windows: 129. Windows Server 2016 설치 CD에 있는 Convert-WindowsImage.ps1 사용 방법 정리
11078정성태10/21/201621993Windows: 128. Windows Server 2016 Nano 서버 VHD 이미지 만드는 방법 - TP5 기준
11077정성태10/21/201620493오류 유형: 363. Active Directory 서버의 NETLOGON 서비스가 멈췄을 때 발생하는 문제
11076정성태10/21/201620081오류 유형: 362.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0780040
11075정성태10/20/201621002Windows: 127. Convert-WindowsImage.ps1 사용 방법 정리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