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168. C# - Azure.AI.OpenAI 패키지로 OpenAI 사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382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2116. C# - OpenAI API 사용 - 지원 모델 목록
; https://www.sysnet.pe.kr/2/0/13344

닷넷: 2165. C# - Azure OpenAI API를 이용해 ChatGPT처럼 동작하는 콘솔 응용 프로그램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3451

닷넷: 2166. C# - Azure OpenAI API를 이용해 사용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대상으로 검색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52

닷넷: 2167. C# - Qdrant Vector DB를 이용한 Embedding 벡터 값 보관/조회 (Azure OpenAI)
; https://www.sysnet.pe.kr/2/0/13454

닷넷: 2168. C# - Azure.AI.OpenAI 패키지로 OpenAI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455

닷넷: 2169. C# - OpenAI를 사용해 PDF 데이터를 대상으로 OpenAI 챗봇 작성
; https://www.sysnet.pe.kr/2/0/13456




C# - Azure.AI.OpenAI 패키지로 OpenAI 사용

패키지 이름에 "Azure"가 들어가 있어서 오해할 수 있는데,

Azure.AI.OpenAI 
; https://www.nuget.org/packages/Azure.AI.OpenAI/

동일한 패키지 코드 그대로 초기화만 달리해주면 OpenAI에 접근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일례로, 지난 글에서 다룬 채팅 예제는,

C# - Azure OpenAI API를 이용해 ChatGPT처럼 동작하는 콘솔 응용 프로그램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3451

// Install-Package Azure.AI.OpenAI -Pre

string azureOpenAIKey = "...[azure openai key]...";
string azureOpenAIEndpoint = "...[azure openai endpoint]...";
string chatDeployment = "my_gpt35_turbo";

OpenAIClient openAIClient = new OpenAIClient(new System.Uri(azureOpenAIEndpoint), new AzureKeyCredential(azureOpenAIKey));

var options = new ChatCompletionsOptions
{
    DeploymentName = chatDeployment,
    MaxTokens = 400,
    Temperature = 0.2f,
    FrequencyPenalty = 0.0f, // 
    PresencePenalty = 0.0f,
    NucleusSamplingFactor = 0.95f // Top P
};

Azure OpenAI에 접근하기 위해 3개의 값을 초기화 시 사용했는데요, OpenAI에 접근하는 경우라면 키만 초기화하고,

string openAIKey = "...[openai api key]...";
OpenAIClient client = new OpenAIClient(settings.Key);

DeploymentName에 넣는 모델 이름은 OpenAI에서 지원하는 것들 중 "chat model"에 해당하는 걸로 넣으면 됩니다. 가령, 위의 Azure OpenAI와 같게 하려면 "gpt-3.5-turbo"를 선택하면 됩니다.

string chatDeployment = "gpt-3.5-turbo";

var options = new ChatCompletionsOptions
{
    DeploymentName = chatDeployment,
    // ...[생략]...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예전에 Semantic Kernel 소개를 할 때는 (Azure OpenAI 대신) OpenAI로만 예제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해당 글의 덧글로 dimohy 님 블로그 글을 소개해 드렸는데,

콘솔에서 Azure OpenAI 및 C#으로 챗봇 만들기 | Niels Swimberghe
; https://dimohy.slogger.today/create-a-chatbot-in-the-console-with-azure-openai-and-csharp

웬일인지, 현재 위의 블로그는 서비스가 안 되고 있습니다. 아마도 위의 글은 오늘의 내용과 C# - Azure OpenAI API를 이용해 ChatGPT처럼 동작하는 콘솔 응용 프로그램 제작 글을 합쳐 놓은 것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

그리고 .NET Conf 2023에 있었던,

Build Intelligent Apps with .NET and Azure
; https://youtu.be/xEFO1sQ2bUc?t=27190

내용과 비슷한 동영상이 하나 더 있습니다.

Generative AI for the .NET Developer | .NET Conf 2023
; https://youtu.be/yc0Zl_UXCY4

위의 경우 소스 코드까지 GitHub에 잘 공개돼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aaronpowell/ConsoleGPT
; https://github.com/aaronpowell/COnsoleGP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26정성태1/23/202314101.NET Framework: 2088. .NET 5부터 지원하는 GetRawSocketOption 사용 시 주의할 점
13225정성태1/21/202314530개발 환경 구성: 658. Windows에서 실행 중인 소켓 서버를 다른 PC 또는 WSL에서 접속할 수 없는 경우
13224정성태1/21/202314264Windows: 221. Windows - Private/Public/Domain이 아닌 네트워크 어댑터 단위로 방화벽을 on/off하는 방법
13223정성태1/20/202313606오류 유형: 838. RDP 연결 오류 - The two computers couldn't connect in the amount of time allotted
13222정성태1/20/202313797개발 환경 구성: 657. WSL - DockerDesktop.vhdx 파일 위치를 옮기는 방법
13221정성태1/19/202314504Linux: 57. C# - 리눅스 프로세스 메모리 정보파일 다운로드1
13220정성태1/19/202314953오류 유형: 837. NETSDK1045 The current .NET SDK does not support targeting .NET ...
13219정성태1/18/202313840Windows: 220. 네트워크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
13218정성태1/17/202313701VS.NET IDE: 178. Visual Studio 17.5 (Preview 2) - 포트 터널링을 이용한 웹 응용 프로그램의 외부 접근 허용
13217정성태1/13/202314573디버깅 기술: 185. windbg - 64비트 운영체제에서 작업 관리자로 뜬 32비트 프로세스의 덤프를 sos로 디버깅하는 방법
13216정성태1/12/202313402디버깅 기술: 184. windbg - 32비트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인 경우 !peb 명령어로 나타나지 않는 환경 변수
13215정성태1/11/202317386Linux: 56. 리눅스 - /proc/pid/stat 정보를 이용해 프로세스의 CPU 사용량 구하는 방법 [1]
13214정성태1/10/202317118.NET Framework: 2087. .NET 6부터 SourceGenerator와 통합된 System.Text.Json [1]파일 다운로드1
13213정성태1/9/202313942오류 유형: 836. docker 이미지 빌드 시 "RUN apt install ..." 명령어가 실패하는 이유
13212정성태1/8/202316409기타: 85. 단정도/배정도 부동 소수점의 정밀도(Precision)에 따른 형변환 손실
13211정성태1/6/202316576웹: 42. (https가 아닌) http 다운로드를 막는 웹 브라우저
13210정성태1/5/202315238Windows: 219. 윈도우 x64의 경우 0x00000000`7ffe0000 아래의 주소는 왜 사용하지 않을까요?
13209정성태1/4/202313087Windows: 218. 왜 윈도우에서 가상 메모리 공간은 64KB 정렬이 된 걸까요?
13208정성태1/3/202315175.NET Framework: 2086. C# - Windows 운영체제의 2MB Large 페이지 크기 할당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07정성태12/26/202216065.NET Framework: 2085. C# - gpedit.msc의 "User Rights Assignment" 특권을 코드로 설정/해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206정성태12/24/202216113.NET Framework: 2084. C# - GetTokenInformation으로 사용자 SID(Security identifiers) 구하는 방법 [4]파일 다운로드1
13205정성태12/24/202214155.NET Framework: 2083. C# - C++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체의 fixed 배열 필드 사용 (2)파일 다운로드1
13204정성태12/22/202213325.NET Framework: 2082. C# - (LSA_UNICODE_STRING 예제로) CustomMarshaler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203정성태12/22/202213358.NET Framework: 2081. C# Interop 예제 - (LSA_UNICODE_STRING 예제로) 구조체를 C++에 전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02정성태12/21/202216231기타: 84. 직렬화로 설명하는 Little/Big Endian파일 다운로드1
13201정성태12/20/202217653오류 유형: 835. PyCharm 사용 시 C 드라이브 용량 부족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