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62.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 서버 마이그레이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042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 서버 마이그레이션

Hyper-V 서버가 설치된 윈도우 2008 R2를 마이그레이션할 때는 다음과 같은 유효성 검증 실패가 나왔습니다.

Before continuing, make sure the app vendors support your applications on Windows Server 2012. Follow their specific recommendations before and after Windows installs. To make sure your app is compatible and to download tools and documentation, go to http://go.microsoft.com/fwlink/?LinkId=243105

Important: If the software isn't compatible with Windows Server 2012 or if the app vendor doesn't support the app, uninstall it before you install Windows. If you don't uninstall the applications, your system won't be supported, the app might not work, and settings or other information might be lost.


Windows won't install unless each of these things is taken care of. Close Windows Setup, take care of each one, and then restart Windows Setup to continue.


Windows needs to be restarted so necessary changes to system files can be made before continuing.


Setup has detected one or more running virtual machines. Please shut down all virtual machines, and then restart the installation.

Setup has detected that at least one of Remote Desktop Session Host (RDSH), Remote Desktop Connection Broker (RDCB), Remote Desktop Virtualization Host (RDVH) and Remote Desktop Web Access (RDWA) role is installed. To upgrade your server, uninstall these components.


제 경우에 RemoteFX를 테스트하느라 RDVH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였는데요.

RemoteFX - Windows 7 가상 머신에서 DirectX 9c 환경을 제공
; https://www.sysnet.pe.kr/2/0/999

관련해서 모두 내리고 진행을 해야만 했습니다. 또한, Hyper-V에서 호스팅 중인 모든 VM을 멈춰야 합니다. (이게 좀 크군요. ^^)

기본적으로, Hyper-V 서버의 마이그레이션은 위의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참고로, 제 경우에 2가지 응용 프로그램으로 인해 유효성 검증이 실패했는데요.


위의 프로그램들 모두 예전에 삭제했던 것임에도 불구하고 유효성 검증이 실패해서 의아해했었는데요. 가만히 보니, '마이그레이션' 작업이 "Program Files"의 프로그램들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거기에 파일이 있다는 것만으로 저런 결과가 나왔던 것이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Program Files"에 있는 관련 폴더들까지 모두 삭제해 주면 됩니다.




2012 Hyper-V는 2008 R2의 Hyper-V보다 더 업그레이드 된 "Integration Services"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Hyper-V 서버의 2012 업그레이드 후에 가상 머신을 다시 시작하게 되면 "Action" 메뉴의 "Insert Integration Services Setup Disk" 메뉴를 이용하여 IS 프로그램도 업데이트 시켜주시면 됩니다. (강제사항은 아닙니다.)

별다른 것은 아니지만, 가상 머신의 IS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하기 이전에는 다음과 같은 Hyper-V의 가상 장치 하나가 경고에 걸리게 됩니다.

These devices might not work properly in Windows. We recommend updating the drivers for these devices before you continue.
System devices: Microsoft Emulated S3 Device Cap


말 그대로 경고에 불과하니, 그냥 진행하셔도 상관없습니다. 참고로, IS 프로그램을 2012 hyper-v의 것으로 업데이트 해준다고 해서 경고가 사라지지 않습니다. 그냥 다음과 같이 바뀔 뿐입니다.

These devices might not work properly in Windows. We recommend updating the drivers for these devices before you continue.
Storage controllers: AGHRBO1U IDE Controller


역시 그냥 무시하면 됩니다.




참고로, 가상 머신의 경우에는 Hyper-V에서 호스팅 중이라면 "Snapshot"을 만들고 진행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렇게 되면, 설령 마이그레이션에 실패했더라도 원복할 수 있으니 좀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Snapshot"을 남기기 전에 주의할 것이 있다면, 디스크 여유 공간이 16GB가 안된다면 Snapshot을 뜨기 전에 VHD 디스크를 미리 확장(expand)시켜 놓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Snapshot" 이후에는 디스크 용량 확장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5-08-22 03시22분
참고로, 현재 출시된 윈도우 10의 Hyper-V부터는 "integration services"를 담은 vmguest.iso 파일이 더 이상 제공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 윈도우 업데이트로 해결한다고!

Hyper-V integration components are available through Windows Update
; https://docs.microsoft.com/en-us/virtualization/community/team-blog/2014/20141111-hyper-v-integration-components-are-available-through-windows-update

따라서, 이제 Hyper-V 올릴 때마다 일일이 수작업으로 Integration Service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습니다.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79정성태8/14/201325078오류 유형: 183. IIS - 바인딩 추가 시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 오류 [5]
1478정성태8/14/201328421오류 유형: 182. 윈도우 정품 활성화 오류 - 0x80070426
1477정성태8/14/201327257VC++: 71. codeplex의 Project Austin - 실감나게 책장 넘기는 표현
1476정성태8/13/201335732디버깅 기술: 55. Windbg - 윈도우 핸들 테이블 (2)
1475정성태8/12/201334849.NET Framework: 377.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에도 소켓이 살아있다면?파일 다운로드1
1474정성태8/10/201330879오류 유형: 181. 윈도우 8 - WmiPrvSE.exe 프로세스가 CPU 소비하는 현상
1473정성태8/8/201327745VC++: 70. Win32 socket이 Thread-safe할까? [1]파일 다운로드1
1472정성태8/7/201326145.NET Framework: 376. .NET 2.0의 유니코드 관련 문자열 비교 오류
1471정성태8/7/201330949개발 환경 구성: 193. .aspx 확장자 대신 .html 확장자를 사용하는 방법
1470정성태8/6/201326908오류 유형: 180. DISM.exe 0xc1510111 실행 오류
1469정성태8/6/201323919.NET Framework: 375. System.Net.Sockets.Socket이 Thread-safe할까? [2]파일 다운로드1
1468정성태8/6/201322071오류 유형: 179. IIS - No connection could be made because the target machine actively refused it 127.0.0.1:80
1467정성태8/5/201325520Java: 16. IE에 로드된 Java Applet의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1466정성태7/27/201331129.NET Framework: 374. C#과 비교한 C++ STL vector 성능 [7]파일 다운로드1
1465정성태7/18/201334426기타: 33. C:\Windows\Installer 폴더의 용량 줄이기 [3]
1464정성태7/15/201322705오류 유형: 178. Visual Studio 2012 Express - ImportCardinalityMismatchException
1463정성태7/15/201323382오류 유형: 177. [DBNETLIB][ConnectionOpen (Connect()).]SQL Server does not exist or access denied.
1462정성태7/5/201326643VC++: 69. geek스러운 C/C++ 퀴즈 문제 [2]
1461정성태6/27/201343208.NET Framework: 373. C# 문자열의 인코딩이란?
1460정성태6/17/201325064.NET Framework: 372. PerformanceCounter - Category does not exist. [1]
1459정성태6/15/201328771Windows: 74. 한글 키가 아닌 영문 키를 기본으로 선택하는 방법 [5]
1458정성태6/13/201329544.NET Framework: 371. CAS Lock 방식이 과연 성능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요? [1]파일 다운로드1
1457정성태6/13/201325745개발 환경 구성: 192. "Probabilistic Programming and Bayesian Methods for Hackers" 예제 코드 실행 방법
1456정성태6/5/201334390.NET Framework: 370. C# - WebKit .NET 사용 [2]파일 다운로드1
1455정성태6/1/201328218.NET Framework: 369. ThreadPool.QueueUserWorkItem의 실행 지연 [4]파일 다운로드1
1454정성태5/31/201326228Java: 15. Java 7 Control Panel 실행시키는 방법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