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86. .NET Framework Native compiler 프리뷰 버전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1563

.NET Framework: 2069. .NET 7 - AOT(ahead-of-time) 컴파일
; https://www.sysnet.pe.kr/2/0/13162

닷넷: 2175. C# - DllImport 메서드의 AOT 지원을 위한 LibraryImport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466

닷넷: 2184. C# - 하나의 resource 파일을 여러 프로그램에서 (AOT 시에도)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3

개발 환경 구성: 696. C# - 리눅스용 AOT 빌드를 docker에서 수행
; https://www.sysnet.pe.kr/2/0/13487

닷넷: 2202. C# - PublishAot의 glibc에 대한 정적 링킹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29

오류 유형: 913. C# - AOT StaticExecutable 정적 링킹 시 빌드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3669




C# - 하나의 resource 파일을 여러 프로그램에서 (AOT 시에도) 사용하는 방법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는, 비주얼 스튜디오의 경우 간편하게 "resx" 파일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리소스를 임베딩해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 간단하게 콘솔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고 "Resources File" 유형의 파일을 하나 추가합니다. 기본 이름인 경우 "Resource1.resx" 파일이 추가되는데요, 해당 파일을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열어 "Add Resource"를 이용해 "test_file.zip" 압축 파일을 추가해 봅니다.

자, 그럼 당연히 해당 ConsoleApp1에서는 Assembly를 이용해 스스로의 리소스에 접근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using System.Reflection;
using System.Resources;

namespace ConsoleApp2;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ssembly asm = Assembly.GetExecutingAssembly();
        string resName = asm.GetName().Name + ".Resource1";
        ResourceManager rm = new ResourceManager(resName, asm);
        Console.WriteLine(rm); // 출력 결과: System.Resources.ResourceManager

        var result = rm.GetObject("test_file") as byte[];
        Console.WriteLine(result.Length); // 출력 결과: 175
    }
}

이제 추가로 ConsoleApp2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고, 위의 ConsoleApp1에 포함된 리소스를 접근하고 싶다면 이번에도 Assembly.LoadFile 등의 명령어를 이용해 Assembly 인스턴스를 만들어 접근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string currentDirectory = System.AppContext.BaseDirectory.TrimEnd(Path.PathSeparator);
string filePath = Path.Combine(currentDirectory, "ConsoleApp1.dll");
Assembly asm = Assembly.LoadFile(filePath);

string resName = "ConsoleApp1.Resource1";
ResourceManager rm = new ResourceManager(resName, asm);
Console.WriteLine(rm);

var result = rm.GetObject("test_file") as byte[];
Console.WriteLine(result.Length);

별로 어렵지 않죠? ^^




그런데 AOT 빌드를 생각하면 어떨까요? 이 경우, Assembly.LoadFile은 AOT 빌드 시 경고가 발생하고,

warning IL2026: Using member 'System.Reflection.Assembly.LoadFile(String)' which has 'RequiresUnreferencedCodeAttribute' can break functionality when trimming application code. Types and members the loaded assembly depends on might be removed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Operation is not supported on this platform.
   at Internal.Reflection.Execution.AssemblyBinderImplementation.Bind(String, AssemblyBindResult&, Exception&) + 0x34
   at System.Reflection.Runtime.Assemblies.RuntimeAssemblyInfo.GetRuntimeAssemblyFromPath(String) + 0x4c
   at System.Runtime.Loader.AssemblyLoadContext.LoadFromAssemblyPath(String) + 0x6d
   at System.Reflection.Assembly.LoadFile(String) + 0x12c
   at ConsoleApp2.Program.Main(String[] args) + 0x45
   at ConsoleApp2!<BaseAddress>+0x14ccc0

Load, LoadFrom, ReflectionOnlyLoad, UnsafeLoadFrom의 모든 메서드들이 저 오류가 발생하는데, 그러니까, 일단 동적으로 어셈블리를 로드하는 것은 AOT 환경일 경우 포기해야 합니다.




다행히도, 관점을 바꿔보면 우회 해결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위의 상황에서 개발자가 원하는 것은, (내부에 구현된 타입이 아닌) 해당 어셈블리의 리소스입니다. 따라서, 어셈블리 내에 임베딩시키지 말고 별도의 "리소스 DLL"로 분리하는 것입니다.

Create resource files for .NET app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ore/extensions/create-resource-files

방법은 매우 쉽습니다. 이미 ConsoleApp1 프로젝트에 resx 확장자로 포함한 파일(예: Resource1.resx)을 resgen.exe를 이용해서 빌드만 다시 해주면 됩니다.

c:\temp\ConsoleApp1\ConsoleApp1> resgen Resource1.resx
Read in 1 resources from "Resource1.resx"
Writing resource file...  Done.

// 1) msbuild 과정 중에 진행이 되도록 csproj에 Task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2) resx 파일이 있으면 결국 프로젝트에 임베딩되기 때문에
// 별도의 Remove 설정을 해야 2중으로 리소스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럼, Resource1.resources 파일이 생성되는데요, 별도로 분리된 이 파일을 ConsoleApp1.exe와 ConsoleApp2.exe 모두에 함께 배포하면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분리된 리소스를 ResourceManager.CreateFileBasedResourceManager 메서드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string currentDirectory = System.AppContext.BaseDirectory.TrimEnd(Path.PathSeparator);

ResourceManager rm = ResourceManager.CreateFileBasedResourceManager("Resource1", currentDirectory, null);
Console.WriteLine($"{rm}");
var zipFile = rm.GetObject("test_file", CultureInfo.InvariantCulture) as byte[];
Console.WriteLine($"{zipFile?.Length}");

위의 코드는 ConsoleApp1, ConsoleApp2 모두에서 잘 동작합니다. 따라서 임베딩하지 않은 리소스, 즉 외부 파일로 분리된 리소스를 Assembly.Load 대신 가져올 수 있어 AOT 빌드에서도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4/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60정성태6/3/202118095.NET Framework: 1062. Windows Forms - 폼 내에서 발생하는 마우스 이벤트를 자식 컨트롤 영역에 상관없이 수신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659정성태6/2/202119007Linux: 40. 우분투 설치 후 MBR 디스크 드라이브 여유 공간이 인식되지 않은 경우 - Logical Volume Management
12658정성태6/2/202116774Windows: 194. Microsoft Store에 있는 구글의 공식 Youtube App
12657정성태6/2/202117599Windows: 193. 윈도우 패키지 관리자 - winget 설치
12656정성태6/1/202115902.NET Framework: 1061. 서버 유형의 COM+에 적용할 수 없는 Server GC
12655정성태6/1/202114546오류 유형: 722. windbg/sos - savemodule - Fail to read memory
12654정성태5/31/202115207오류 유형: 721. Hyper-V - Saved 상태의 VM을 시작 시 오류 발생
12653정성태5/31/202118489.NET Framework: 1060. 닷넷 GC에 새롭게 구현되는 DPAD(Dynamic Promotion And Demotion for GC)
12652정성태5/31/202115901VS.NET IDE: 164. Visual Studio - Web Deploy로 Publish 시 암호창이 매번 뜨는 문제
12651정성태5/31/202116107오류 유형: 720. PostgreSQL - ERROR: 22P02: malformed array literal: "..."
12650정성태5/17/202115416기타: 82. OpenTabletDriver의 버튼에 더블 클릭을 매핑 및 게임에서의 지원 방법
12649정성태5/16/202117662.NET Framework: 1059. 세대 별 GC(Garbage Collection) 방식에서 Card table의 사용 의미 [1]
12648정성태5/16/202116391사물인터넷: 66. PC -> FTDI -> NodeMCU v1 ESP8266 기기를 UART 핀을 연결해 직렬 통신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47정성태5/15/202116694.NET Framework: 1058. C# - C++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체의 fixed 배열 필드 사용파일 다운로드1
12646정성태5/15/202115472사물인터넷: 65. C# - Arduino IDE의 Serial Monitor 기능 구현파일 다운로드1
12645정성태5/14/202115539사물인터넷: 64. NodeMCU v1 ESP8266 - LittleFS를 이용한 와이파이 접속 정보 업데이트파일 다운로드1
12644정성태5/14/202116801오류 유형: 719. 윈도우 - 제어판의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오류 0x800736B3
12643정성태5/14/202116714오류 유형: 718. 서버 유형의 COM+ 사용 시 0x80080005(Server execution failed) 오류 발생
12642정성태5/14/202118477오류 유형: 717. The 'Microsoft.ACE.OLEDB.12.0' provider is not registered on the local machine.
12641정성태5/13/202117289디버깅 기술: 179. 윈도우용 .NET Core 3 이상에서 Windbg의 sos 사용법
12640정성태5/13/202120892오류 유형: 716. RDP 연결 - Because of a protocol error (code: 0x112f), the remote session will be disconnected. [1]
12639정성태5/12/202117271오류 유형: 715. Arduino: Open Serial Monitor - The module '...\detection.node' was compiled against a different Node.js version using NODE_MODULE_VERSION
12638정성태5/12/202117519사물인터넷: 63. NodeMCU v1 ESP8266 - 펌웨어 내 파일 시스템(SPIFFS, LittleFS) 및 EEPROM 활용
12637정성태5/10/202117717사물인터넷: 62. NodeMCU v1 ESP8266 보드의 A0 핀에 다중 아날로그 센서 연결 [1]
12636정성태5/10/202117929사물인터넷: 61. NodeMCU v1 ESP8266 보드의 A0 핀 사용법 - FSR-402 아날로그 압력 센서 연동파일 다운로드1
12635정성태5/9/202116307기타: 81. OpenTabletDriver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지 않고도) 관리자 권한의 프로그램에서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