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699. WSL에 nopCommerce 예제 구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051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SL에 nopCommerce 예제 구성

유명한 공개 소프트웨어죠 ^^

nopCommerce - Installing on Linux
; https://docs.nopcommerce.com/en/installation-and-upgrading/installing-nopcommerce/installing-on-linux.html

물론, 위의 문서에 설치 방법이 자세하게 나와 있지만 그냥 저 나름대로 Ubuntu 20.04 + WSL 2 환경에서 설치하는 정도로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우선, 런타임부터 설치하고,

$ sudo apt install -y apt-transport-https aspnetcore-runtime-7.0
// centos의 경우: yum install aspnetcore-runtime-7.0

적당한 디렉터리에 파일을 다운로드해 압축을 풉니다.

// var 하위는 sudo 권한을 요구
$ sudo mkdir /var/www
$ sudo mkdir /var/www/nopCommerce
$ cd /var/www/nopCommerce

$ sudo wget https://github.com/nopSolutions/nopCommerce/releases/download/release-4.60.5/nopCommerce_4.60.5_NoSource_linux_x64.zip

$ sudo unzip nopCommerce_4.60.5_NoSource_linux_x64.zip

$ sudo rm nopCommerce_4.60.5_NoSource_linux_x64.zip

이어서 nopCommerce 하위에 2개의 디렉터리를 더 생성해 둡니다.

/var/www/nopCommerce$ sudo mkdir bin
/var/www/nopCommerce$ sudo mkdir logs

/var/www/nopCommerce$ cd ..

아마도 대개의 경우 /var/www 디렉터리가 root 사용자에게만 권한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 ls -l
total 40
drwxr-xr-x  2 root root  4096 Dec  8 16:43 html
drwxr-xr-x 63 root root 32768 Dec 11 13:12 nopCommerce

Ubunt의 경우 기본 생성돼 있는 www-data 사용자와 그룹으로,

$ cat /etc/passwd | grep www
www-data:x:33:33:www-data:/var/www:/usr/sbin/nologin

$ cat /etc/group | grep www
www-data:x:33:

nopCommerce 디렉터리의 권한을 변경해 줍니다.

/var/www$ sudo chgrp -R www-data nopCommerce/
/var/www$ sudo chown -R www-data nopCommerce/

$ ls -l
total 40
drwxr-xr-x  2 root     root      4096 Dec  8 16:43 html
drwxr-xr-x 63 www-data www-data 32768 Dec 11 13:12 nopCommerce

이렇게 권한 조정을 했다면 당연히 nopCommerce를 구동하려는 프로세스는 www-data 사용자 권한이 있어야 합니다. 이것을 service로 등록할 때 "User" 속성을 조정해 해결할 수 있는데요,

$ cat /etc/systemd/system/nopCommerce.service
[Unit]
Description=Example nopCommerce app running on Xubuntu

[Service]
WorkingDirectory=/var/www/nopCommerce
ExecStart=/usr/bin/dotnet /var/www/nopCommerce/Nop.Web.dll
Restart=always
# Restart service after 10 seconds if the dotnet service crashes:
RestartSec=10
KillSignal=SIGINT
SyslogIdentifier=nopCommerce-example
User=www-data
Environment=ASPNETCORE_ENVIRONMENT=Production
Environment=DOTNET_PRINT_TELEMETRY_MESSAGE=false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위의 서비스 등록 방법은 systemd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WSL의 환경을 (기본값인) init에서 systemd로 변경해야 합니다.)

적절하게 설정했다면 이제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데몬 시작]
sudo systemctl start nopCommerce

[데몬 중지]
sudo systemctl stop nopCommerce

제대로 동작하는지는 WSL shell 내에서 curl을 이용하면 확인이 됩니다.

curl -L http://localhost:5000

또는 Chrome Browser를 설치해 테스트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만약, WSL이 아닌 윈도우 환경에서 접근하려고 한다면 WSL의 특수한 네트워크 상황으로 인해 "localhost:5000"으로는 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WSL 측의 IP를 구해 접속하는 것도 안 됩니다.

c:\temp> wsl hostname -I
172.19.132.144

c:\temp> curl http://172.19.132.144:5000
...[오류]...

왜냐하면, nopCommerce가 "localhost"로만 바인딩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실행 바인딩을 바꿔주든가, 아니면 (공식 설치 가이드에서처럼) nginx를 앞단에 세워줘야 합니다.

제 경우에는, 그저 간단한 닷넷 예제가 필요했기 때문에 위와 같은 정도로만 설정하고 마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9/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8정성태11/22/201231645Java: 14. 안드로이드 - Hello World 실습 [7]
1377정성태11/19/201225068.NET Framework: 344. 닷넷 프로파일러 - ICorProfilerInfo::GetILFunctionBody 함수 버그
1376정성태11/15/201230290디버깅 기술: 51.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특정 예외가 발생했을 때 풀 덤프 받는 방법 [6]
1375정성태11/15/201226032디버깅 기술: 50.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374정성태11/13/201224139개발 환경 구성: 175. Visual Studio의 "Extension Manager"에서 설치된 구성 요소들의 제거 버튼이 비활성화되었다면!
1373정성태11/13/201224646.NET Framework: 343. VB.NET 어셈블리의 .NET Reflector 소스 코드를 분석할 때 알아두면 좋은 사항
1372정성태11/1/2012119524Windows: 67. 64비트 윈도우에서 Internet Explorer 10이 항상 64비트로만 실행된다면? [57]
1371정성태10/31/201227208.NET Framework: 342. Python의 zip과 with 문 context를 C#과 비교하면. [3]파일 다운로드1
1370정성태10/31/201222459VS.NET IDE: 75. Visual Studio - "Active Solution Platform" 변경을 툴바에서 하는 방법
1369정성태10/31/201235795개발 환경 구성: 174. 윈도우에서 Mono 개발 환경 구성 [4]
1368정성태10/31/201227097개발 환경 구성: 173. Windows Phone SDK 8.0 설치
1367정성태10/30/201234797개발 환경 구성: 172. IIS 7.5부터 지원되는 웹 사이트 자동 시작 모드 [1]
1366정성태10/24/201226140개발 환경 구성: 171. GTK+를 윈도우 환경에 수작업 설치
1365정성태10/24/201225001개발 환경 구성: 170. 우분투 데스크톱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2]
1364정성태10/19/201221388Windows: 66. Hyper-V 2012에서 별도의 네트워크 카드를 이용한 Live Migration
1363정성태10/16/201228860개발 환경 구성: 169. Objective-C의 대안 - Xamarin의 Mono를 이용한 C# iOS 개발 환경 [2]
1362정성태10/16/201229171개발 환경 구성: 168. 우분투 서버 Active Directory 가입하기
1361정성태10/12/201222560.NET Framework: 341. .NET COM+ 를 Managed/Native 클라이언트에서 각각 호출했을 때의 콜 스택 비교 [4]파일 다운로드1
1360정성태10/9/201226943.NET Framework: 340. Windows Server 2012 - .NET Framework 1.x 미지원
1359정성태10/9/201263246Windows: 65. 윈도우 8 - Internet Explorer 10을 32비트 또는 64비트로 통합 [5]
1358정성태9/27/201226433.NET Framework: 339. .NET Profiler 주의 사항 - 하나의 exe 프로세스 내에 다중 .NET 런타임 사용
1357정성태9/27/201223492Windows: 64. Hyper-V - Windows XP의 Live Migration 오류
1356정성태9/26/201229635Windows: 63.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의 새로운 기능 Live Migration [6]
1355정성태9/21/201227624Team Foundation Server: 49. TFS 2012 Express의 필수 보완 작업: 데이터베이스 백업 [1]
1354정성태9/19/201224408.NET Framework: 338. .NET CLR GC 시간 측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3정성태9/17/201225760.NET Framework: 337. Python의 생성기와 코루틴을 C#으로 표현하면. [2]파일 다운로드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