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700. WSL + uwsgi - IPv6로 바인딩하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89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SL + uwsgi - IPv6로 바인딩하는 방법

--http-socket 기본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

$ uwsgi3 --http-socket :18091 --wsgi-file ./myapp/wsgi.py
...[생략]...
uwsgi socket 0 bound to TCP address :18091 fd 3
...[생략]...

$ netstat -ano | grep 18091
tcp        0      0 0.0.0.0:18091           0.0.0.0:*               LISTEN      off (0.00/0/0)

딱히 메시지에는 IPv4/IPv6에 대한 출력은 없지만 netstat로 확인한 결과에 따라 IPv4 주소만 열린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IPv6 주소로 바인딩하고 싶다면, (더 나은 방법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직접 IPv6 주소를 명시해 열어야 합니다.

// IPAddress.Any로 바인딩하고 싶다면, [::]
// IPAddress.Loopback으로 바인딩하고 싶다면, [::1]

$ uwsgi3 --http-socket [::]:18091 --wsgi-file ./myapp/wsgi.py
...[생략]...
uwsgi socket 0 bound to TCP address :18091 fd 3
...[생략]...

$ netstat -ano | grep 18091
tcp6       0      0 :::18091                :::*                    LISTEN      off (0.00/0/0)

이후 curl을 통해 간단하게 접속 테스트를 할 수 있습니다.

c:\temp> curl http://[::1]:18091/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25/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52정성태7/2/202013658.NET Framework: 921. C# - I/O 스레드를 사용한 비동기 소켓 서버/클라이언트파일 다운로드2
12251정성태7/1/202011708.NET Framework: 920. C# - 파일의 비동기 처리 유무에 따른 스레드 상황 [1]파일 다운로드2
12250정성태6/30/202014251.NET Framework: 919. C# - 닷넷에서의 진정한 비동기 호출을 가능케 하는 I/O 스레드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2249정성태6/29/202010371오류 유형: 625. Microsoft SQL Server 2019 RC1 Setup - 설치 제거 시 Warning 26003 오류 발생
12248정성태6/29/20208670오류 유형: 624. SQL 서버 오류 - service-specific error code 17051
12247정성태6/29/202010287.NET Framework: 918. C# - 불린 형 상수를 반환값으로 포함하는 3항 연산자 사용 시 단축 표현 권장(IDE0075) [2]파일 다운로드1
12246정성태6/29/202011051.NET Framework: 917. C# - USB 관련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12245정성태6/24/202011575.NET Framework: 916. C# - Task.Yield 사용법 (2) [2]파일 다운로드1
12244정성태6/24/202011448.NET Framework: 915.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닷넷 프로그램의 내부 이벤트 활용 [1]파일 다운로드1
12243정성태6/23/20208854VS.NET IDE: 147. Visual C++ 프로젝트 - .NET Core EXE를 "Debugger Type"으로 지원하는 기능 추가
12242정성태6/23/20209703오류 유형: 623. AADSTS90072 - User account '...' from identity provider 'live.com' does not exist in tenant 'Microsoft Services'
12241정성태6/23/202013038.NET Framework: 914. C# - Task.Yield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2240정성태6/23/202014345오류 유형: 622. 소켓 바인딩 시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 오류 발생
12239정성태6/21/202010939Linux: 30. (윈도우라면 DLL에 속하는) .so 파일이 텍스트로 구성된 사례 [1]
12238정성태6/21/202010659.NET Framework: 9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라이브러리
12237정성태6/20/202010450.NET Framework: 912. 리눅스 환경의 .NET Core에서 "test".IndexOf("\0")가 0을 반환
12236정성태6/19/202010869오류 유형: 621. .NET Standard 대상으로 빌드 시 dynamic 예약어에서 컴파일 오류 - error CS0656: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Microsoft.CSharp.RuntimeBinder.CSharpArgumentInfo.Create'
12235정성태6/19/202010498오류 유형: 620. Windows 10 - Inaccessible boot device 블루 스크린
12234정성태6/19/202010191개발 환경 구성: 494. NuGet - nuspec의 패키지 스키마 버전(네임스페이스) 업데이트 방법
12233정성태6/19/20209996오류 유형: 619. SQL 서버 - The transaction log for database '...' is full due to 'LOG_BACKUP'. - 두 번째 이야기
12232정성태6/19/20208802오류 유형: 618. SharePoint - StoreBusyRetryLater 오류
12231정성태6/15/202011392.NET Framework: 911. Console/Service Application을 위한 SynchronizationContext - AsyncContext
12230정성태6/15/202010703오류 유형: 617. IMetaDataImport::GetMethodProps가 반환하는 IL 코드 주소(RVA) 문제
12229정성태6/13/202012576.NET Framework: 910.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 Mouse 가상 장치 만들기 [1]
12228정성태6/12/202012681.NET Framework: 909. C# - Source Generator를 적용한 XmlCodeGenerator파일 다운로드1
12227정성태6/12/202016628오류 유형: 616. Visual Studio의 느린 업데이트 속도에 대한 원인 분석 [5]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