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196.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의 부작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987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74. 작업자 프로세스(w3wp.exe)가 재시작되는 시점을 알 수 있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841

.NET Framework: 447. w3wp.exe AppPool 재생(recycle)하는 방법 정리
; https://www.sysnet.pe.kr/2/0/1704

개발 환경 구성: 246. IIS 작업자 프로세스의 20분 자동 재생(Recycle)을 끄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74

.NET Framework: 643. 작업자 프로세스(w3wp.exe)가 재시작되는 시점을 알 수 있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145

개발 환경 구성: 702.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514

닷넷: 2196.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의 부작용
; https://www.sysnet.pe.kr/2/0/13516

닷넷: 2274. IIS - (프로세스 종료 없는) AppDomain Recycle
; https://www.sysnet.pe.kr/2/0/13672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의 부작용

지난 글에 설명한,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514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은 특정 상황에서 원치 않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이러한 좋은 예로, Web Application에서 별도의 TCP 서비스를 하나 추가해서 열어놨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아마도 이런 식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닷넷 프레임워크 기준 예제
// ...[생략]...

namespace WebApplication2
{
    public class WebApiApplication : System.Web.HttpApplication
    {
        static TcpListener _tcpListener = null;

        protected void Application_Start()
        {
            Log("Application_Start (Start)");

            AreaRegistration.RegisterAllAreas();
            GlobalConfiguration.Configure(WebApiConfig.Register);
            FilterConfig.RegisterGlobalFilters(GlobalFilters.Filters);
            RouteConfig.RegisterRoutes(RouteTable.Routes);
            BundleConfig.RegisterBundles(BundleTable.Bundles);

            if (_tcpListener == null)
            {
                _tcpListener = new TcpListener(IPAddress.Any, 18002);
                _tcpListener.Start();
            }

            Log("Application_Start (End)");
        }

        protected virtual void Application_End()
        {
            if (_tcpListener != null)
            {
                _tcpListener.Stop();
                _tcpListener = null;
            }

            Log("Application_End");
        }

        protected virtual void Application_BeginRequest()
        {
            Log("Application_BeginRequest: " + HttpContext.Current.Request.RawUrl);
        }

        public static void Log(string message)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DateTime.Now}, {ValuesController.ProcessId}] WebApplication2 - {message}");
        }
    }
}


"IIS - AppPool의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 글의 내용을 이해하셨다면 대충 감이 오실 텐데요, 실제로 위의 코드로 로그를 남기는 상태에서 Recycle을 해보면 다음과 같은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6628] [2024-01-05 오후 10:11:31, 6628] WebApplication2 - Application_Start (Start) 
[6628] [2024-01-05 오후 10:11:31, 6628] WebApplication2 - Application_Start (End) 
[6628] [2024-01-05 오후 10:11:31, 6628] WebApplication2 - Application_BeginRequest: / 
[6628] [2024-01-05 오후 10:11:31, 6628] WebApplication2 - Application_BeginRequest: /api/Values 
[1740] [2024-01-05 오후 10:12:03, 1740] WebApplication2 - Application_Start (Start) 
[6628] [2024-01-05 오후 10:12:04, 6628] WebApplication2 - Application_End 
[1740] [2024-01-05 오후 10:12:13, 1740] WebApplication2 - Application_End 

6628 w3wp.exe가 뜬 상태에서 Recycle을 시도했더니 새롭게 1740 프로세스가 떠서 Application_Start 이벤트까지 진입했습니다. 하지만, 아직 6628 프로세스에서 열고 있던 TCP 서버가 종료되지 않았으므로 _tcpListener.Start(); 코드에서 예외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 당시의 이벤트 로그를 보면 이런 항목을 보게 될 것입니다.

Exception information: 
    Exception type: HttpException 
    Exception message: Only one usage of each socket address (protocol/network address/port) is normally permitted
   at System.Web.HttpApplicationFactory.EnsureAppStartCalledForIntegratedMode(HttpContext context, HttpApplication app)
   at System.Web.HttpApplication.RegisterEventSubscriptionsWithIIS(IntPtr appContext, HttpContext context, MethodInfo[] handlers)
   at System.Web.HttpApplication.InitSpecial(HttpApplicationState state, MethodInfo[] handlers, IntPtr appContext, HttpContext context)
   at System.Web.HttpApplicationFactory.GetSpecialApplicationInstance(IntPtr appContext, HttpContext context)
   at System.Web.Hosting.PipelineRuntime.InitializeApplication(IntPtr appContext)
   ...[생략]...

비록 예외가 발생했지만, 새롭게 뜬 w3wp.exe는 비정상 종료까지는 안 합니다. 대신 예외가 발생한 Application 인스턴스의 생성은 실패하고 Application_End 이벤트 단계로 곧바로 진행해 버립니다.

그 사이, 기존의 w3wp.exe는 새로운 프로세스가 비록 Application 개체 생성에 실패했지만 더 이상의 Recycle 단계를 미루지 않고 마찬가지로 Application_End 이벤트 단계를 실행하며 종료합니다. 즉, 이때가 되어서야 (신규 프로세스의 소켓 사용을 방해했던) TCP Listener는 자원을 해제하게 되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새롭게 뜬 w3wp.exe는 전체적인 초기화를 ASP.NET 런타임의 초기 부분만 진행하는 선에서 끝이 납니다. 다행인 것은, 이후 요청(예를 들어 /Home)이 들어오면 다시 새롭게 ASP.NET Pipeline을 구축하려고 시도하고, 이 과정에서 다음의 이벤트들이 찍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740] [2024-01-05 오후 10:12:29, 1740] WebApplication2 - Application_Start (Start) 
[1740] [2024-01-05 오후 10:12:29, 1740] WebApplication2 - Application_Start (End) 
[1740] [2024-01-05 오후 10:12:29, 1740] WebApplication2 - Application_BeginRequest: /Home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preloadEnabled로 인해 발생했어야 할 "/" 요청과 "initializationPage"로 설정해 둔 페이지에 대한 방문 기회가 없어진다는 점입니다. 파이프라인 구축에 실패한 마당에 거기까지 바라는 것은 좀 무리겠죠. ^^

만약 이런 부작용을 원치 않는다면 1) "Disable Overlapped Recycle" 옵션을 true로 바꾸거나, 2) TCP Listener의 생성을 Application_Start 시점보다 미뤄야 합니다.

1번을 선택한다면, IIS는 Recycle 시 현재 서비스 중인 w3wp.exe를 확실히 종료시킨 다음에야 새로운 w3wp.exe를 실행시키는 식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TCP 포트 충돌의 위험이 없어집니다.

비록 1번 조치는 간단하지만, 이로 인해 초기 요청에 대한 응답 지연 현상이 다시 부각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1번은 임시 조치로만 대응하고, 천천히 시간을 들여 약간 귀찮더라도 2번 방법의 코드 수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최악의 조치는 예외를 잡는 것입니다.

protected void Application_Start()
{
    ...[생략]...

    try
    {
        if (_tcpListener == null)
        {
            _tcpListener = new TcpListener(IPAddress.Any, 18002);
            _tcpListener.Start();
        }
    } catch { }
}

만약 저렇게 했다면 _tcpListener는 다시 초기화를 할 수 있는 기회마저 잃어버리게 되고, 아마도 서버 관리자들한테서 "iisreset"을 해야만 동작한다던가, 작업 관리자에서 강제 종료를 한 경우에만 동작이 잘 되더라는... 이상한 피드백을 받게 될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7/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84정성태4/11/201824690.NET Framework: 737. C# - async를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83정성태4/10/201828001개발 환경 구성: 358.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2) [1]
11482정성태4/10/201820453VC++: 126. CUDA Core 수를 알아내는 방법
11481정성태4/10/201832067개발 환경 구성: 357. CUDA의 인덱싱 관련 용어 - blockIdx, threadIdx, blockDim, gridDim
11480정성태4/9/201822095.NET Framework: 736. C# - API를 사용해 Azure에 접근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479정성태4/9/201817737.NET Framework: 735. Azure - PowerShell로 Access control(IAM)에 새로운 계정 만드는 방법
11478정성태11/8/201919967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1]
11477정성태4/8/201817444오류 유형: 460. windbg - sos 명령어 수행 시 c0000006 오류 발생
11476정성태4/8/201819008디버깅 기술: 114. windbg - !threads 출력 결과로부터 닷넷 관리 스레드(System.Threading.Thread) 객체를 구하는 방법
11475정성태3/28/201821293디버깅 기술: 113. windbg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에 대한 덤프 분석
11474정성태3/27/201819416오류 유형: 459. xperf: error: TEST.Event: Invalid flags. (0x3ec).
11473정성태3/22/201824584.NET Framework: 734.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2
11472정성태3/22/201818546개발 환경 구성: 356. GTX 1070, GTX 960, GT 640M의 cudaGetDeviceProperties 출력 결과
11471정성태3/20/201821928VC++: 125. CUDA로 작성한 RGB2RGBA 성능 [1]파일 다운로드1
11470정성태3/20/201824028오류 유형: 458. Visual Studio - CUDA 프로젝트 빌드 시 오류 C1189, expression must have a constant value
11469정성태3/19/201817046오류 유형: 457. error MSB3103: Invalid Resx file.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Windows.Forms, ...' or one of its dependencies.
11468정성태3/19/201816589오류 유형: 456. 닷넷 응용 프로그램 실행 시 0x80131401 예외 발생
11467정성태3/19/201816055오류 유형: 455. Visual Studio Installer - 업데이트 실패
11466정성태3/18/201817205개발 환경 구성: 355. 한 대의 PC에서 2개 이상의 DirectX 게임을 실행하는 방법
11463정성태3/15/201819546.NET Framework: 733. 스레드 간의 read/write 시에도 lock이 필요 없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1462정성태3/14/201822398개발 환경 구성: 354. HTTPS 호출에 대한 TLS 설정 확인하는 방법 [1]
11461정성태3/13/201825025오류 유형: 454.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오류 - 0x800705b4 [1]
11460정성태3/13/201817498디버깅 기술: 112.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전역 객체의 내용을 조사하는 방법
11459정성태3/13/201818312오류 유형: 453. Debug Diagnostic Tool에서 mscordacwks.dll을 찾지 못하는 문제
11458정성태2/21/201819285오류 유형: 452. This share requires the obsolete SMB1 protocol, which is unsafe and could expose your system to attack. [1]
11457정성태2/17/201823988.NET Framework: 732. C# - Task.ContinueWith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