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197. C# - ClientWebSocket의 Ping, Pong 처리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045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닷넷: 2188. C# - ASP.NET Core SignalR로 구현하는 채팅 서비스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3504

닷넷: 2189. C# - WebSocket 클라이언트를 닷넷으로 구현하는 예제 (System.Net.WebSockets)
; https://www.sysnet.pe.kr/2/0/13505

닷넷: 2197. C# - ClientWebSocket의 Ping, Pong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3518

닷넷: 2198. C# - Reflection을 이용한 ClientWebSocket의 Ping 호출
; https://www.sysnet.pe.kr/2/0/13519




C# - ClientWebSocket의 Ping, Pong 처리

지난 글에 WebSocket의 기본 구현을 다뤄봤는데요,

C# - WebSocket 클라이언트를 닷넷으로 구현하는 예제 (System.Net.WebSockets)
; https://www.sysnet.pe.kr/2/0/13505

이번에는 Ping/Pong이 어떻게 ClientWebSocket에 구현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이를 위해 그에 앞서 우선 닷넷 WebSocket의 구조를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WebSocket을 상속한 ClientWebSocket은,

System.Net.WebSockets.ClientWebSocket ws = new System.Net.WebSockets.ClientWebSocket();

최소한의 API만 노출하고 있는, 사실상 껍데기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실질적인 작업은, 이후 ConnectAsync 시점에 불리는,

await ws.ConnectAsync(new Uri(url), connectTimeout.Token);

WebSocketHandle 인스턴스가 담당합니다.

// ClientWebSocket 타입

public Task ConnectAsync(Uri uri, HttpMessageInvoker? invoker, 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
    // ...[생략]...
    return ConnectAsyncCore(uri, invoker, cancellationToken);
}

private async Task ConnectAsyncCore(Uri uri, HttpMessageInvoker? invoker, 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
    _innerWebSocket = new WebSocketHandle();

    await _innerWebSocket.ConnectAsync(uri, invoker, cancellationToken, Options).ConfigureAwait(false);
   
    // ...[생략]...
}

또한 WebSocketHandle 타입은 내부적으로 WebSocket 필드를 하나 가지고 있는데요, 그곳에는 ConnectAsync 시점에 ManagedWebSocket 인스턴스를 생성해 담아두게 됩니다.

// WebSocketHandle 타입

public async Task ConnectAsync(Uri uri, HttpMessageInvoker? invoker, 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ClientWebSocketOptions options)
{
    // ...[생략]...
    WebSocket = WebSocket.CreateFromStream(connectedStream, new WebSocketCreationOptions
    {
        IsServer = false,
        SubProtocol = subprotocol,
        KeepAliveInterval = options.KeepAliveInterval,
        DangerousDeflateOptions = negotiatedDeflateOptions
    });
    // ...[생략]...
}

// WebSocket 타입

public static WebSocket CreateFromStream(Stream stream, WebSocketCreationOptions options)
{
    // ...[생략]...
    return new ManagedWebSocket(stream, options);
}

그러니까, WebSocket 프로토콜과 관련된 기능들은 모두 ManagedWebSocket에서 구현하고 있는 것입니다.




닷넷 ClientWebSocket의 경우, Ping/Pong 처리를 Options.KeepAliveInterval 속성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System.Net.WebSockets.ClientWebSocket ws = new System.Net.WebSockets.ClientWebSocket();
ws.Options.KeepAliveInterval = TimeSpan.FromSeconds(10); // 10초마다 서버로 Pong 전송

이후, ManagedWebSocket 내부에서는 SendKeepAliveFrameAsync 메서드가 KeepAliveInterval마다 호출이 되는데요,

// ManagedWebSocket 타입

private void SendKeepAliveFrameAsync()
{
    // This exists purely to keep the connection alive; don't wait for the result, and ignore any failures.
    // The call will handle releasing the lock.  We send a pong rather than ping, since it's allowed by
    // the RFC as a unidirectional heartbeat and we're not interested in waiting for a response.
    ValueTask t = SendFrameAsync(MessageOpcode.Pong, endOfMessage: true, disableCompression: true, ReadOnlyMemory<byte>.Empty, CancellationToken.None);

    // ...[생략]...
}

재미있는 건, 이때 Ping이 아닌 Pong을 보낸다는 점입니다. 그 이유는 위의 코드에 남겨진 주석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어차피 WebSocket의 Ping을 송신해도 서버로부터 응답이 오는 것에 관심이 없으므로, 그냥 클라이언트가 살아 있다는 Pong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역할만 하는 것입니다.

저렇게 (KeepAliveInterval로 인해) 자동 송신되는 Pong을 nodejs에서는 다음과 같이 수신할 수 있습니다.

sockserver.on('connection', ws => {
    console.log('New client connected!')

    ws.send('connection established')

    ws.on('pong', () => console.log('pong received from client!'))

    // ...[생략]...
})

따라서, nodejs 서버/닷넷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면 10초마다 닷넷 클라이언트에서 Pong을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nodejs는 ws.on('pong', ...) 코드로 인해 10초마다 "pong received..." 로그가 찍히게 됩니다.




자, 그럼 반대로 nodejs 측에서 ping 또는 pong을 전송하도록 해볼까요?

우선, ping부터 다음과 같은 코드로 전송해 보겠습니다.

sockserver.on('connection', ws => {
    interval_id = 0;

    console.log('New client connected!')

    ws.send('connection established')

    ws.on('pong', () => {
        console.log('pong received from client');
    });

    ws.on('close', () => {
        clearInterval(interval_id);
        console.log('Client has disconnected!');
    });

    ws.on('message', data => {
        sockserver.clients.forEach(client => {
            console.log(`distributing message: ${data}`)
            client.send(`echo ${data}`)
        })
    })

    ws.onerror = function () {
        console.log('websocket error')
    }

    interval_id = setInterval(() => {
        ws.ping();
    }, 1000 * 5);
})

보는 바와 같이, 5초 주기로 ws.ping을 호출하고 있고, ws.on('pong', ...)으로 (ping을 보낸 측에서 응답할) pong 수신을 처리하고 있습니다. 닷넷 클라이언트 측은, 이에 대해 KeepAliveInterval을 사용할 필요도 없이 오직 해야 할 일은 "ReceiveAsync" 메서드를 호출해 두는 것입니다.

static async Task Main(string[] args)
{
    string url = "ws://localhost:18000/";

    var connectTimeout = new CancellationTokenSource();
    connectTimeout.CancelAfter(2000);

    System.Net.WebSockets.ClientWebSocket ws = new System.Net.WebSockets.ClientWebSocket();

    await ws.ConnectAsync(new Uri(url), connectTimeout.Token);

    if (ws.State != System.Net.WebSockets.WebSocketState.Open)
    {
        Console.WriteLine($"Failed to connect: {url}");
        return;
    }

    Console.WriteLine($"Received: {await Read(ws)}");
    await ws.SendAsync(Encoding.UTF8.GetBytes("Hello"), WebSocketMessageType.Text, true, CancellationToken.None);
    Console.WriteLine($"Received: {await Read(ws)}");

    // 위의 코드까지는 Send/Receive 쌍을 맞춰 호출

    // 아래의 코드는 일방적으로 Receive를 하는 경우로 가정
    var result = await ws.ReceiveAsync(new ArraySegment<byte>(new byte[1024]), CancellationToken.None);
    if (result.MessageType == WebSocketMessageType.Close)
    {
        await ws.CloseAsync(WebSocketCloseStatus.NormalClosure, null, CancellationToken.None);
        Console.WriteLine("Received close message");
    }

    Console.WriteLine(result.MessageType);
}

이후 nodejs 서버와 닷넷 클라이언트를 실행하면, nodejs 측의 주기적인 ping 신호에 대해 닷넷 클라이언트는 위의 코드상으로는 딱히 반응은 없지만 nodejs 측의 ws.on('pong', ...) 코드가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왜 저렇게 동작하는지 한번 파악해 볼까요? ^^ 위에서 마지막에 호출한 ReceiveAsync 내에서는 nodejs로부터 수신한 Ping 신호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코드를 담고 있습니다. 우선, ReceiveAsyncPrivate에서는 다음과 같이 Ping/Pong 신호를 구분해 내고,

[AsyncMethodBuilder(typeof(PoolingAsyncValueTaskMethodBuilder<>))]
private async ValueTask<TResult> ReceiveAsyncPrivate<TResult>(Memory<byte> payloadBuffer, 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
    // ...[생략]...

    while (true) // in case we get control frames that should be ignored from the user's perspective
    {
        // ...[생략]...
        await _stream.ReadAsync(Memory<byte>.Empty, cancellationToken).ConfigureAwait(false);

        // ...[생략]...
        string? headerErrorMessage = TryParseMessageHeaderFromReceiveBuffer(out header);

        // ...[생략]...
        if (header.Opcode == MessageOpcode.Ping || header.Opcode == MessageOpcode.Pong)
        {
            await HandleReceivedPingPongAsync(header, cancellationToken).ConfigureAwait(false);
            continue;
        }

        // ...[생략]...
    }

    // ...[생략]...
}

private string? TryParseMessageHeaderFromReceiveBuffer(out MessageHeader resultHeader)
{
    // ...[생략]...
    Span<byte> receiveBufferSpan = _receiveBuffer.Span;

    // ...[생략]...

    header.Opcode = (MessageOpcode)(receiveBufferSpan[_receiveBufferOffset] & 0xF);

    // ...[생략]...

    // Do basic validation of the header
    switch (header.Opcode)
    {
        // ...[생략]...
        case MessageOpcode.Ping:
        case MessageOpcode.Pong:
            if (header.PayloadLength > MaxControlPayloadLength || !header.Fin)
            {
                // Invalid control messgae
                resultHeader = default;
                return SR.net_Websockets_InvalidControlMessage;
            }
            break;

        // ...[생략]...
    }

    // ...[생략]...
}

Pong 신호인 경우에는 무시하지만, Ping 신호인 경우에는 응답으로 Pong을 송신하는 절차를 거칩니다.

private async ValueTask HandleReceivedPingPongAsync(MessageHeader header, CancellationToken cancellationToken)
{
    // ...[생략]...

    // If this was a ping, send back a pong response.
    if (header.Opcode == MessageOpcode.Ping)
    {
        // ...[생략]...
        await SendFrameAsync(
            MessageOpcode.Pong,)
            endOfMessage: true,
            disableCompression: true,
            _receiveBuffer.Slice(_receiveBufferOffset, (int)header.PayloadLength),
            cancellationToken).ConfigureAwait(false);
    }

    // ...[생략]...
}

비록 ManagedWebSocket 자신은 KeepAliveInterval에 대해 Pong 전송만 하는 형식이었지만, 서버의 ping 신호에 대해서는 약속에 따라 Pong으로 응답하고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만약 nodejs 측의 ping을 pong으로 바꾸면,

sockserver.on('connection', ws => {
    // ..[생략]...
    ws.on('pong', () => {
        console.log('log after pong'); // 이 코드가 실행되지 않음
    });

    // ..[생략]...

    interval_id = setInterval(() => {
        ws.pong(); // pong을 송신하므로 닷넷 클라이언트는 무응답!
    }, 1000 * 5);
})

ManagedWebSocket의 ReceiveAsyncPrivate 메서드에서는 Pong 수신을 무시하므로 nodejs의 ws.on('pong', ...) 코드도 (ping을 보냈던 것과는 달리) 더 이상 실행되지 않게 됩니다.




위의 소스코드를 정리해 보면, C#의 ClientWebSocket 자체는 Timeout 기능이 없다는 점입니다. 즉, (ReceiveAsync 내부적으로) Ping/Pong을 수신했다고 해서 어떠한 시간을 늘리거나 하는 등의 코드는 전혀 없습니다. 또한 ClientWebSocket은 그 패킷을 받았다는 것을 인지하기 위한 이벤트 핸들러같은 것도 제공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KeepAliveInterval조차도 단지 서버에 내가 살아 있으니 끊지 말라는 식으로 Pong 응답을 주기적으로 보내는 것에 불과하고!

그렇다면 왜 이런 식으로 만든 것일까요?

제가 아직 WebSocket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몰라서 확신할 수는 없지만, 어쩌면 이것은 Client의 자원 부담이 상대적으로 Server보다는 덜하다는 점에서 나온 특징인 듯합니다. 즉, Client는 굳이 (WebSocket 수준에서의) Timeout 기능이 없어도 문제 될 가능성이 크지 않지만, Server는 필요 없는 연결 자원에 대해 가능한 빠르게 끊는 것이 더 바람직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Socket 자체의 Timeout 기능도 있고 WebSocket 역시 Send/Receive에서의 연결 해제 감지가 되므로 Client 입장에서 Ping/Pong을 이용한 timeout 체크가 간절하지 않기도 합니다.

반면 서버는, 응용 프로그램 측에서의 프로토콜 결정에 따라 좀 더 공격적으로 연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혹시 이에 대해 자세한 이력을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다시 간단하게 정리해 보면, 2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1. ClientWebSocket은 KeepAliveInterval을 설정한 경우 서버로 Pong만 전송
  2. 서버로부터 Ping을 수신하면 Pong 응답, 반면 Pong을 수신하면 응답 없음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36정성태7/28/202115252오류 유형: 743. Active Azure Directory에서 "API permissions"의 권한 설정이 "Not granted for ..."로 나오는 문제
12735정성태7/27/202115158.NET Framework: 1081. C# - Azure AD 인증을 지원하는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예제(Windows Forms) [2]파일 다운로드1
12734정성태7/26/202131965스크립트: 20. 특정 단어로 시작하거나/끝나는 문자열을 포함/제외하는 정규 표현식 - Look-around
12733정성태7/23/202119844.NET Framework: 1081. Self-Contained/SingleFile 유형의 .NET Core/5+ 실행 파일을 임베딩한다면? [1]파일 다운로드2
12732정성태7/23/202113297오류 유형: 742. SharePoint - The super user account utilized by the cache is not configured.
12731정성태7/23/202115318개발 환경 구성: 584. Add Internal URLs 화면에서 "Save" 버튼이 비활성화 된 경우
12730정성태7/23/202116764개발 환경 구성: 583. Visual Studio Code - Go 코드에서 입력을 받는 경우
12729정성태7/22/202115252.NET Framework: 1080. xUnit 단위 테스트에 메서드/클래스 수준의 문맥 제공 - Fixture
12728정성태7/22/202115275.NET Framework: 1079. MSTestv2 단위 테스트에 메서드/클래스/어셈블리 수준의 문맥 제공
12727정성태7/21/202116459.NET Framework: 1078. C# 단위 테스트 - MSTestv2/NUnit의 Assert.Inconclusive 사용법(?) [1]
12726정성태7/21/202116232VS.NET IDE: 169. 비주얼 스튜디오 - 단위 테스트 선택 시 MSTestv2 외의 xUnit, NUnit 사용법 [1]
12725정성태7/21/202114694오류 유형: 741. Failed to find the "go" binary in either GOROOT() or PATH
12724정성태7/21/202117588개발 환경 구성: 582. 윈도우 환경에서 Visual Studio Code + Go (Zip) 개발 환경 [1]
12723정성태7/21/202114512오류 유형: 740. SharePoint - Alternate access mappings have not been configured 경고
12722정성태7/20/202114258오류 유형: 739. MSVCR110.dll이 없어 exe 실행이 안 되는 경우
12721정성태7/20/202115412오류 유형: 738.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station and the primary domain failed. - 세 번째 이야기
12720정성태7/19/202114677Linux: 43. .NET Core/5+ 응용 프로그램의 Ubuntu (Debian) 패키지 준비
12719정성태7/19/202113870오류 유형: 737. SharePoint 설치 시 "0x800710D8 The object identifier does not represent a valid object." 오류 발생
12718정성태7/19/202113899개발 환경 구성: 581. Windows에서 WSL로 파일 복사 시 root 소유권으로 적용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2717정성태7/18/202114095Windows: 195. robocopy에서 파일의 ADS(Alternate Data Stream) 정보 복사를 제외하는 방법
12716정성태7/17/202115230개발 환경 구성: 580. msbuild의 Exec Task에 robocopy를 사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715정성태7/17/202122430오류 유형: 736. Windows - MySQL zip 파일 버전의 "mysqld --skip-grant-tables" 실행 시 비정상 종료 [1]
12714정성태7/16/202115795오류 유형: 735. VCRUNTIME140.dll, MSVCP140.dll, VCRUNTIME140.dll, VCRUNTIME140_1.dll이 없어 exe 실행이 안 되는 경우
12713정성태7/16/202117181.NET Framework: 1077. C# - 동기 방식이면서 비동기 규약을 따르게 만드는 Task.FromResult파일 다운로드1
12712정성태7/15/202116106개발 환경 구성: 579. Azure - 리눅스 호스팅의 Site Extension 제작 방법
12711정성태7/15/202116123개발 환경 구성: 578. Azure - Java Web App Service를 위한 Site Extension 제작 방법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