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windbg - .NET Framework 스레드 개체의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


.NET 스레드 개체의 COM Apartment 유형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검색해 보니, 다음의 글이 나왔습니다.

How to get the current apartment for a thread
; http://chenlailin.blogspot.kr/2008/02/how-to-get-current-apartment-for-thread.html

제 경우에는, Windows 8 x64 + .NET 2.0 x86 환경으로 windbg를 이용하여 실습해보았는데 약간 달라서 기록을 남겨 봅니다.




우선, windbg를 실행해서 .NET 2.0 x86 응용 프로그램에 "attach to process"로 디버거를 연결한 후, TEB 내용을 확인했습니다. (Ctrl + S 키를 눌러 심벌 경로를 미리 설정해 둡니다. SRV*c:\Symbols*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0:000> !teb
TEB at 7f1bf000
    ExceptionList:        0050eb88
    StackBase:            00510000
    StackLimit:           004e6000
    SubSystemTib:         00000000
    FiberData:            00001e00
    ArbitraryUserPointer: 00000000
    Self:                 7f1bf000
    EnvironmentPointer:   00000000
    ClientId:             000077f4 . 00003ae0
    RpcHandle:            00000000
    Tls Storage:          7f1bf02c
    PEB Address:          7f1b5000
    LastErrorValue:       2
    LastStatusValue:      c0000135
    Count Owned Locks:    0
    HardErrorMode:        0

TEB 주소를 알았으니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0:000> dt _TEB 7f1bf000
ntdll!_TEB
   +0x000 NtTib            : _NT_TIB
   +0x01c EnvironmentPointer : (null) 
...[생략]...
   +0xf80 ReservedForOle   : 0x006fc720 Void
...[생략]...
   +0xfe4 ReservedForWdf   : (null) 

ReservedForOle 필드의 옵셋값이 여전히 0xf80으로 변함이 없군요. ^^ 좋은 소식입니다. 해당 필드의 타입이 "Void"라고 나오지만, How to get the current apartment for a thread 글에 따르면 "SOleTlsData"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명령을 내려 보았는데... 오류가 나는군요. ^^

0:000> dt SOleTlsData 0x006fc720
Symbol SOleTlsData not found.

검색해 보니, 없어질 만한 구조체는 아닌 것 같았습니다.

SOleTlsData structure
; https://learn.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desktop/legacy/ms690269(v=vs.85)

How to get the current apartment for a thread 글을 자세히 보니, "dt SOleTlsData"의 출력 결과에 ole32!SOleTlsData라는 것이 보이는군요. ^^ 이를 힌트 삼아 dll을 명시해 주니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0:000> dt ole32!SOleTlsData 0x006fc720
...[생략]...
   +0x030 pObjServer       : (null) 
   +0x034 dwTIDCaller      : 0
   +0x038 pCurrentCtxForNefariousReaders : 0x006fcdb0 Void
   +0x03c pCurrentContext  : 0x006fcdb0 CObjectContext
   +0x040 pEmptyCtx        : 0x006fcdb0 CObjectContext
   +0x048 ContextId        : 2
   +0x050 pNativeApt       : 0x00700680 CComApartment
...[생략]...

본문에서는 이상하게도 pCurrentContext를 추적해서 들어가는데요. 그럴 필요 없이 0x50 옵셋에 위치한 CComApartment 구조체를 바로 추적하는 것이 더 낫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CComApartment Class
; https://learn.microsoft.com/en-us/cpp/atl/reference/ccomapartment-class

최종적으로 우리가 원하는 Apartment 유형을 구할 수 있습니다.

0:000> dt CComApartment 0x00700680 
ole32!CComApartment
   +0x000 __VFN_table : 0x77573dac 
   +0x004 _cRefs           : 4
   +0x008 _dwState         : 0
   +0x00c _AptKind         : 2 ( APTKIND_MULTITHREADED )
   ...[생략]...
   =76e20000 s_ulApartmentIdentifierCounter : 0x905a4d
   =76e20000 s_ShutdownRegLock : COleStaticMutexSem

0x0c 옵셋에 있는 _AptKind의 값으로는 다음과 같은 유형들이 있습니다.

// combase.h
// ; http://www.brandonfa.lk/win8/win8_devrel_head_x86/combase.h

enum tagAPTKIND {
    APTKIND_NEUTRALTHREADED = 1,
    APTKIND_MULTITHREADED = 2,
    APTKIND_APARTMENTTHREADED = 4,
    APTKIND_APPLICATION_STA = 8
};

본문에서는 명령어 하나로 알아내는 것이 다음과 같이 복잡했는데요.

// FIELD_OFFSET
// ; https://jeho.page/programming/2011/03/01/FIELD_OFFSET-%EB%A7%A4%ED%81%AC%EB%A1%9C.html

dt ole32!CComApartment poi(@@C++(#FIELD_OFFSET(ole32!CObjectContext,_pApartment))+poi(poi($thread+@@C++(#FIELD_OFFSET(ole32!_TEB, ReservedForOle)))+@@C++(#FIELD_OFFSET(ole32!SOleTlsData,pCurrentContext))))))

이것을 다음과 같이 좀 더 간단하게 고쳐줄 수 있습니다. ^^

dt ole32!CComApartment poi(@@C++(#FIELD_OFFSET(ole32!SOleTlsData,pNativeApt))+poi($thread+@@C++(#FIELD_OFFSET(ole32!_TEB, ReservedForOle))))




이 과정을 이용해서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쉽게 결과를 구할 수 있습니다.

TEB 구하는 것은 예전에도 한번 언급해 드렸죠? ^^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244

이를 이용한 전체 소스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class Program
{
    [DllImport("ntdll.dll")]
    static extern IntPtr NtCurrentTeb();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f (IntPtr.Size == 8)
        {
            return; // not supported yet.
        }

        IntPtr pTeb = NtCurrentTeb();
        Console.WriteLine("TEB: " + pTeb.ToInt64().ToString("x"));
        Console.WriteLine("dt _TEB " + pTeb.ToInt64().ToString("x"));

        IntPtr reservedForOle = new IntPtr(pTeb.ToInt64() + 0xf80);
        int ReservedForOle = Marshal.ReadInt32(reservedForOle); // TEB.ReservedForOle
        Console.WriteLine("TEB.ReservedForOle: " + ReservedForOle.ToString("x"));
        Console.WriteLine("dt ole32!SOleTlsData " + ReservedForOle.ToString("x"));

        IntPtr pNativeApt = new IntPtr(ReservedForOle + 0x50);
        int NativeApt = Marshal.ReadInt32(pNativeApt); // SOleTlsData.pNativeApt
        Console.WriteLine("SOleTlsData.pNativeApt: " + NativeApt.ToString("x"));
        Console.WriteLine("dt CComApartment " + NativeApt.ToString("x"));

        IntPtr pAptKind = new IntPtr(NativeApt + 0x0c);
        int AptKind = Marshal.ReadInt32(pAptKind); // CComApartment._AptKind
        Console.WriteLine("CComApartment._AptKind: " + AptKind.ToString("x"));

        Console.WriteLine("Press any key to exit...");
        Console.ReadLine();
    }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9/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77정성태8/14/201327234VC++: 71. codeplex의 Project Austin - 실감나게 책장 넘기는 표현
1476정성태8/13/201335721디버깅 기술: 55. Windbg - 윈도우 핸들 테이블 (2)
1475정성태8/12/201334828.NET Framework: 377.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에도 소켓이 살아있다면?파일 다운로드1
1474정성태8/10/201330856오류 유형: 181. 윈도우 8 - WmiPrvSE.exe 프로세스가 CPU 소비하는 현상
1473정성태8/8/201327726VC++: 70. Win32 socket이 Thread-safe할까? [1]파일 다운로드1
1472정성태8/7/201326107.NET Framework: 376. .NET 2.0의 유니코드 관련 문자열 비교 오류
1471정성태8/7/201330916개발 환경 구성: 193. .aspx 확장자 대신 .html 확장자를 사용하는 방법
1470정성태8/6/201326881오류 유형: 180. DISM.exe 0xc1510111 실행 오류
1469정성태8/6/201323879.NET Framework: 375. System.Net.Sockets.Socket이 Thread-safe할까? [2]파일 다운로드1
1468정성태8/6/201322024오류 유형: 179. IIS - No connection could be made because the target machine actively refused it 127.0.0.1:80
1467정성태8/5/201325500Java: 16. IE에 로드된 Java Applet의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
1466정성태7/27/201331121.NET Framework: 374. C#과 비교한 C++ STL vector 성능 [7]파일 다운로드1
1465정성태7/18/201334388기타: 33. C:\Windows\Installer 폴더의 용량 줄이기 [3]
1464정성태7/15/201322664오류 유형: 178. Visual Studio 2012 Express - ImportCardinalityMismatchException
1463정성태7/15/201323356오류 유형: 177. [DBNETLIB][ConnectionOpen (Connect()).]SQL Server does not exist or access denied.
1462정성태7/5/201326613VC++: 69. geek스러운 C/C++ 퀴즈 문제 [2]
1461정성태6/27/201343154.NET Framework: 373. C# 문자열의 인코딩이란?
1460정성태6/17/201325047.NET Framework: 372. PerformanceCounter - Category does not exist. [1]
1459정성태6/15/201328766Windows: 74. 한글 키가 아닌 영문 키를 기본으로 선택하는 방법 [5]
1458정성태6/13/201329508.NET Framework: 371. CAS Lock 방식이 과연 성능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요? [1]파일 다운로드1
1457정성태6/13/201325727개발 환경 구성: 192. "Probabilistic Programming and Bayesian Methods for Hackers" 예제 코드 실행 방법
1456정성태6/5/201334356.NET Framework: 370. C# - WebKit .NET 사용 [2]파일 다운로드1
1455정성태6/1/201328204.NET Framework: 369. ThreadPool.QueueUserWorkItem의 실행 지연 [4]파일 다운로드1
1454정성태5/31/201326195Java: 15. Java 7 Control Panel 실행시키는 방법
1453정성태5/22/201325207기타: 32. Microsoft FTP 사이트에 접속하는 방법
1452정성태5/21/201332926Windows: 73. TabProcGrowth 값 삭제 후 IE를 실행시키면 다시 복원되는 경우 [3]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