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windbg - .NET Framework 스레드 개체의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


.NET 스레드 개체의 COM Apartment 유형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검색해 보니, 다음의 글이 나왔습니다.

How to get the current apartment for a thread
; http://chenlailin.blogspot.kr/2008/02/how-to-get-current-apartment-for-thread.html

제 경우에는, Windows 8 x64 + .NET 2.0 x86 환경으로 windbg를 이용하여 실습해보았는데 약간 달라서 기록을 남겨 봅니다.




우선, windbg를 실행해서 .NET 2.0 x86 응용 프로그램에 "attach to process"로 디버거를 연결한 후, TEB 내용을 확인했습니다. (Ctrl + S 키를 눌러 심벌 경로를 미리 설정해 둡니다. SRV*c:\Symbols*http://msdl.microsoft.com/download/symbols;)

0:000> !teb
TEB at 7f1bf000
    ExceptionList:        0050eb88
    StackBase:            00510000
    StackLimit:           004e6000
    SubSystemTib:         00000000
    FiberData:            00001e00
    ArbitraryUserPointer: 00000000
    Self:                 7f1bf000
    EnvironmentPointer:   00000000
    ClientId:             000077f4 . 00003ae0
    RpcHandle:            00000000
    Tls Storage:          7f1bf02c
    PEB Address:          7f1b5000
    LastErrorValue:       2
    LastStatusValue:      c0000135
    Count Owned Locks:    0
    HardErrorMode:        0

TEB 주소를 알았으니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0:000> dt _TEB 7f1bf000
ntdll!_TEB
   +0x000 NtTib            : _NT_TIB
   +0x01c EnvironmentPointer : (null) 
...[생략]...
   +0xf80 ReservedForOle   : 0x006fc720 Void
...[생략]...
   +0xfe4 ReservedForWdf   : (null) 

ReservedForOle 필드의 옵셋값이 여전히 0xf80으로 변함이 없군요. ^^ 좋은 소식입니다. 해당 필드의 타입이 "Void"라고 나오지만, How to get the current apartment for a thread 글에 따르면 "SOleTlsData"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명령을 내려 보았는데... 오류가 나는군요. ^^

0:000> dt SOleTlsData 0x006fc720
Symbol SOleTlsData not found.

검색해 보니, 없어질 만한 구조체는 아닌 것 같았습니다.

SOleTlsData structure
; https://learn.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desktop/legacy/ms690269(v=vs.85)

How to get the current apartment for a thread 글을 자세히 보니, "dt SOleTlsData"의 출력 결과에 ole32!SOleTlsData라는 것이 보이는군요. ^^ 이를 힌트 삼아 dll을 명시해 주니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0:000> dt ole32!SOleTlsData 0x006fc720
...[생략]...
   +0x030 pObjServer       : (null) 
   +0x034 dwTIDCaller      : 0
   +0x038 pCurrentCtxForNefariousReaders : 0x006fcdb0 Void
   +0x03c pCurrentContext  : 0x006fcdb0 CObjectContext
   +0x040 pEmptyCtx        : 0x006fcdb0 CObjectContext
   +0x048 ContextId        : 2
   +0x050 pNativeApt       : 0x00700680 CComApartment
...[생략]...

본문에서는 이상하게도 pCurrentContext를 추적해서 들어가는데요. 그럴 필요 없이 0x50 옵셋에 위치한 CComApartment 구조체를 바로 추적하는 것이 더 낫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CComApartment Class
; https://learn.microsoft.com/en-us/cpp/atl/reference/ccomapartment-class

최종적으로 우리가 원하는 Apartment 유형을 구할 수 있습니다.

0:000> dt CComApartment 0x00700680 
ole32!CComApartment
   +0x000 __VFN_table : 0x77573dac 
   +0x004 _cRefs           : 4
   +0x008 _dwState         : 0
   +0x00c _AptKind         : 2 ( APTKIND_MULTITHREADED )
   ...[생략]...
   =76e20000 s_ulApartmentIdentifierCounter : 0x905a4d
   =76e20000 s_ShutdownRegLock : COleStaticMutexSem

0x0c 옵셋에 있는 _AptKind의 값으로는 다음과 같은 유형들이 있습니다.

// combase.h
// ; http://www.brandonfa.lk/win8/win8_devrel_head_x86/combase.h

enum tagAPTKIND {
    APTKIND_NEUTRALTHREADED = 1,
    APTKIND_MULTITHREADED = 2,
    APTKIND_APARTMENTTHREADED = 4,
    APTKIND_APPLICATION_STA = 8
};

본문에서는 명령어 하나로 알아내는 것이 다음과 같이 복잡했는데요.

// FIELD_OFFSET
// ; https://jeho.page/programming/2011/03/01/FIELD_OFFSET-%EB%A7%A4%ED%81%AC%EB%A1%9C.html

dt ole32!CComApartment poi(@@C++(#FIELD_OFFSET(ole32!CObjectContext,_pApartment))+poi(poi($thread+@@C++(#FIELD_OFFSET(ole32!_TEB, ReservedForOle)))+@@C++(#FIELD_OFFSET(ole32!SOleTlsData,pCurrentContext))))))

이것을 다음과 같이 좀 더 간단하게 고쳐줄 수 있습니다. ^^

dt ole32!CComApartment poi(@@C++(#FIELD_OFFSET(ole32!SOleTlsData,pNativeApt))+poi($thread+@@C++(#FIELD_OFFSET(ole32!_TEB, ReservedForOle))))




이 과정을 이용해서 .NET 응용 프로그램에서도 쉽게 결과를 구할 수 있습니다.

TEB 구하는 것은 예전에도 한번 언급해 드렸죠? ^^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244

이를 이용한 전체 소스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class Program
{
    [DllImport("ntdll.dll")]
    static extern IntPtr NtCurrentTeb();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f (IntPtr.Size == 8)
        {
            return; // not supported yet.
        }

        IntPtr pTeb = NtCurrentTeb();
        Console.WriteLine("TEB: " + pTeb.ToInt64().ToString("x"));
        Console.WriteLine("dt _TEB " + pTeb.ToInt64().ToString("x"));

        IntPtr reservedForOle = new IntPtr(pTeb.ToInt64() + 0xf80);
        int ReservedForOle = Marshal.ReadInt32(reservedForOle); // TEB.ReservedForOle
        Console.WriteLine("TEB.ReservedForOle: " + ReservedForOle.ToString("x"));
        Console.WriteLine("dt ole32!SOleTlsData " + ReservedForOle.ToString("x"));

        IntPtr pNativeApt = new IntPtr(ReservedForOle + 0x50);
        int NativeApt = Marshal.ReadInt32(pNativeApt); // SOleTlsData.pNativeApt
        Console.WriteLine("SOleTlsData.pNativeApt: " + NativeApt.ToString("x"));
        Console.WriteLine("dt CComApartment " + NativeApt.ToString("x"));

        IntPtr pAptKind = new IntPtr(NativeApt + 0x0c);
        int AptKind = Marshal.ReadInt32(pAptKind); // CComApartment._AptKind
        Console.WriteLine("CComApartment._AptKind: " + AptKind.ToString("x"));

        Console.WriteLine("Press any key to exit...");
        Console.ReadLine();
    }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9/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812정성태8/28/202116599.NET Framework: 1108. C# 10 - (10) 개선된 #line 지시자
12811정성태8/27/202116479Linux: 44. 윈도우 개발자를 위한 리눅스 fork 동작 방식 설명 (파이썬 코드)
12810정성태8/27/202115492.NET Framework: 1107. .NET Core/5+에서 동적 컴파일한 C# 코드를 (Breakpoint도 활용하며) 디버깅하는 방법 - #line 지시자파일 다운로드1
12809정성태8/26/202115447.NET Framework: 1106. .NET Core/5+에서 C# 코드를 동적으로 컴파일/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808정성태8/25/202117105오류 유형: 758. go: ...: missing go.sum entry; to add it: go mod download ...
12807정성태8/25/202117878.NET Framework: 1105. C# 10 - (9) 비동기 메서드가 사용할 AsyncMethodBuilder 선택 가능파일 다운로드1
12806정성태8/24/202114423개발 환경 구성: 601. PyCharm - 다중 프로세스 디버깅 방법
12805정성태8/24/202116132.NET Framework: 1104. C# 10 - (8) 분해 구문에서 기존 변수의 재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2804정성태8/24/202116303.NET Framework: 1103. C# 10 - (7) Source Generator V2 APIs
12803정성태8/23/202116806개발 환경 구성: 600. pip cache 디렉터리 옮기는 방법
12802정성태8/23/202117228.NET Framework: 1102. .NET Conf Mini 21.08 - WinUI 3 따라해 보기 [1]
12801정성태8/23/202116809.NET Framework: 1101. C# 10 - (6) record class 타입의 ToString 메서드를 sealed 처리 허용파일 다운로드1
12800정성태8/22/202117189개발 환경 구성: 599. PyCharm - (반대로) 원격 프로세스가 PyCharm에 디버그 연결하는 방법
12799정성태8/22/202117483.NET Framework: 1100. C# 10 - (5) 속성 패턴의 개선파일 다운로드1
12798정성태8/21/202118821개발 환경 구성: 598. PyCharm - 원격 프로세스를 디버그하는 방법
12797정성태8/21/202116192Windows: 197. TCP의 MSS(Maximum Segment Size) 크기는 고정된 것일까요?
12796정성태8/21/202117185.NET Framework: 1099. C# 10 - (4) 상수 문자열에 포맷 식 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2795정성태8/20/202117511.NET Framework: 1098. .NET 6에 포함된 신규 BCL API - 스레드 관련
12794정성태8/20/202116883스크립트: 23. 파이썬 - WSGI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구현 코드 및 PyCharm에서의 디버깅 방법 [1]
12793정성태8/20/202117684.NET Framework: 1097. C# 10 - (3) 개선된 변수 초기화 판정파일 다운로드1
12792정성태8/19/202118789.NET Framework: 1096. C# 10 - (2) 전역 네임스페이스 선언파일 다운로드1
12791정성태8/19/202115603.NET Framework: 1095. C# COM 개체를 C++에서 사용하는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12790정성태8/18/202119549.NET Framework: 1094. C# 10 - (1) 구조체를 생성하는 record struct파일 다운로드1
12789정성태8/18/202118201개발 환경 구성: 597. PyCharm - 윈도우 환경에서 WSL을 이용해 파이썬 앱 개발/디버깅하는 방법
12788정성태8/17/202115746.NET Framework: 1093. C# - 인터페이스의 메서드가 다형성을 제공할까요? (virtual일까요?)파일 다운로드1
12787정성태8/17/202116133.NET Framework: 1092. (책 내용 수정) "4.5.1.4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와 다형성"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