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Unable to resolve service for type 'Microsoft.Extensions.ObjectPool.ObjectPool`....'

UseHttpLogging을 활성화하는 경우,

namespace WebApplication1;

public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r builder = WebApplication.CreateBuilder(args);

        // Add services to the container.

        builder.Services.AddControllers();

        var app = builder.Build();

        // Configure the HTTP request pipeline.

        app.UseAuthorization();
        app.UseHttpLogging();

        app.MapControllers();

        app.Run();
    }
}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HResult=0x80131509
  Message=Unable to resolve service for type 'Microsoft.Extensions.ObjectPool.ObjectPool`1[Microsoft.AspNetCore.HttpLogging.HttpLoggingInterceptorContext]' while attempting to activate 'Microsoft.AspNetCore.HttpLogging.HttpLoggingMiddleware'.
  Source=Microsoft.AspNetCore.Http.Abstractions
  StackTrace:
   at Microsoft.Extensions.Internal.ActivatorUtilities.ConstructorMatcher.CreateInstance(IServiceProvider provider) in /_/src/Shared/ActivatorUtilities/ActivatorUtilities.cs:line 158
   at Microsoft.Extensions.Internal.ActivatorUtilities.CreateInstance(IServiceProvider provider, Type instanceType, Object[] parameters) in /_/src/Shared/ActivatorUtilities/ActivatorUtilities.cs:line 54
   at Microsoft.AspNetCore.Builder.UseMiddlewareExtensions.ReflectionMiddlewareBinder.CreateMiddleware(RequestDelegate next) in /_/src/Http/Http.Abstractions/src/Extensions/UseMiddlewareExtensions.cs:line 130
   at Microsoft.AspNetCore.Builder.ApplicationBuilder.Build() in /_/src/Http/Http/src/Builder/ApplicationBuilder.cs:line 197
   at Microsoft.AspNetCore.Builder.ApplicationBuilder.Build() in /_/src/Http/Http/src/Builder/ApplicationBuilder.cs:line 197
   at Microsoft.AspNetCore.Hosting.GenericWebHostService.<StartAsync>d__40.MoveNext() in /_/src/Hosting/Hosting/src/GenericHost/GenericWebHostService.cs:line 143
   at Microsoft.Extensions.Hosting.Internal.Host.<<StartAsync>b__15_1>d.MoveNext() in /_/src/libraries/Microsoft.Extensions.Hosting/src/Internal/Host.cs:line 136
   at Microsoft.Extensions.Hosting.Internal.Host.<ForeachService>d__18`1.MoveNext() in /_/src/libraries/Microsoft.Extensions.Hosting/src/Internal/Host.cs:line 390
   at Microsoft.Extensions.Hosting.Internal.Host.<StartAsync>d__15.MoveNext() in /_/src/libraries/Microsoft.Extensions.Hosting/src/Internal/Host.cs:line 145
   at Microsoft.Extensions.Hosting.HostingAbstractionsHostExtensions.<RunAsync>d__4.MoveNext() in /_/src/libraries/Microsoft.Extensions.Hosting.Abstractions/src/HostingAbstractionsHostExtensions.cs:line 67
   at Microsoft.Extensions.Hosting.HostingAbstractionsHostExtensions.<RunAsync>d__4.MoveNext() in /_/src/libraries/Microsoft.Extensions.Hosting.Abstractions/src/HostingAbstractionsHostExtensions.cs:line 79
   at Microsoft.Extensions.Hosting.HostingAbstractionsHostExtensions.Run(IHost host) in /_/src/libraries/Microsoft.Extensions.Hosting.Abstractions/src/HostingAbstractionsHostExtensions.cs:line 53
   at WebApplication1.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WebApplication1\WebApplication1\Program.cs:line 23

builder.Services.AddHttpLogging 호출을 잊으면 안 됩니다. ^^

// HTTP logging in ASP.NET Core
// https://learn.microsoft.com/en-us/aspnet/core/fundamentals/http-logging/

var builder = WebApplication.CreateBuilder(args);

builder.Services.AddHttpLogging(o => {
    o.LoggingFields = HttpLoggingFields.All & ~HttpLoggingFields.Duration;
});

builder.Services.AddControllers();




하지만, 위와 같이 해도 일반적인 Request/Response 내용은 콘솔 화면에 출력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appSettings.json에 ASP.NET Core 관련 로그 레벨을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Logging": {
    "LogLevel": {
        "Default": "Information",
        "Microsoft.AspNetCore": "Warning",
        "Microsoft.AspNetCore.HttpLogging.HttpLoggingMiddleware": "Information"
    }
  },
  "AllowedHosts": "*"
}

참고로, Microsoft.AspNetCore.HttpLogging.HttpLoggingMiddleware (뿐만 아니라 대개의 마이크로소프트 구성요소의) 로깅 레벨은 "Warning"이 기본값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4-10-11 09시46분
Revisiting improved HTTP logging in ASP.NET Core 8
; https://blog.elmah.io/revisiting-improved-http-logging-in-asp-net-core-8/
정성태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2정성태3/1/201225372Windows: 55. 윈도우 8 베타 설치 과정 [1]
1251정성태2/27/201229311VC++: 60. C/C++ Native 스레드 콜 스택 덤프를 얻는 공개 라이브러리 [2]파일 다운로드1
1250정성태2/27/201231434VC++: 59. C/C++ 프로젝트 빌드 속도 개선 - UnityBuild를 아세요? [3]
1249정성태2/26/201231119.NET Framework: 31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2]파일 다운로드3
1248정성태2/25/201242625.NET Framework: 310. C#의 Shift 비트 연산 정리파일 다운로드1
1247정성태2/25/201225290.NET Framework: 309. .NET 응용 프로그램에 기본 생성되는 스레드들에 대한 탐구 [1]파일 다운로드1
1246정성태2/25/201224875개발 환경 구성: 145. 한영 변환은 되지만, 정작 한글 입력이 안되는 경우
1245정성태2/25/201235586개발 환경 구성: 144. 윈도우에서도 유닉스처럼 명령행으로 원격 접속하는 방법
1244정성태2/24/201232779.NET Framework: 308.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1]파일 다운로드1
1243정성태2/23/201232736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1]
1242정성태2/20/201239594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7]파일 다운로드1
1241정성태2/20/201226420.NET Framework: 30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ILMerge
1240정성태2/19/201232709디버깅 기술: 48. C/C++ JNI DLL을 Visual Studio로 디버깅하는 방법 [2]
1239정성태2/19/201224326.NET Framework: 306. 컴퓨터에 실행된 프로세스 중에 닷넷 응용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는 방법 - C# [1]파일 다운로드1
1238정성태2/19/201228186.NET Framework: 305. GetPrivateProfileSection / WritePrivateProfileSection의 C# 버전파일 다운로드1
1237정성태2/18/201232526개발 환경 구성: 142. Windows Embedded POSReady 7 설치 [1]
1236정성태2/17/201228334개발 환경 구성: 141. Windows 2008 R2 RDP 라이선스 서버 설치하는 방법
1235정성태2/16/201226782.NET Framework: 304. Hyper-V의 가상 머신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4정성태2/16/201227180.NET Framework: 303. 원본 파일의 공백/라인을 유지한 체 XML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3정성태2/16/201233305.NET Framework: 302. supportedRuntime 옵션과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 [5]
1232정성태2/9/201229212VC++: 57. 웹 브라우저에서 Flash만 빼고 다른 ActiveX를 차단할 수 있을까? [3]파일 다운로드1
1231정성태2/8/201238731VC++: 56. Win32 API 후킹 - Trampoline API Hooking [5]파일 다운로드1
1230정성태2/6/201224070개발 환경 구성: 140.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1229정성태2/4/201229092.NET Framework: 301. P/Invoke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C++/CLI가 선택되려면? [5]파일 다운로드1
1228정성태2/4/201278384.NET Framework: 300. C#으로 만드는 음성인식/TTS 프로그램 [47]파일 다운로드1
1227정성태2/3/201229268.NET Framework: 299. 해당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