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Unable to resolve service for type 'Microsoft.Extensions.ObjectPool.ObjectPool`....'

UseHttpLogging을 활성화하는 경우,

namespace WebApplication1;

public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r builder = WebApplication.CreateBuilder(args);

        // Add services to the container.

        builder.Services.AddControllers();

        var app = builder.Build();

        // Configure the HTTP request pipeline.

        app.UseAuthorization();
        app.UseHttpLogging();

        app.MapControllers();

        app.Run();
    }
}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HResult=0x80131509
  Message=Unable to resolve service for type 'Microsoft.Extensions.ObjectPool.ObjectPool`1[Microsoft.AspNetCore.HttpLogging.HttpLoggingInterceptorContext]' while attempting to activate 'Microsoft.AspNetCore.HttpLogging.HttpLoggingMiddleware'.
  Source=Microsoft.AspNetCore.Http.Abstractions
  StackTrace:
   at Microsoft.Extensions.Internal.ActivatorUtilities.ConstructorMatcher.CreateInstance(IServiceProvider provider) in /_/src/Shared/ActivatorUtilities/ActivatorUtilities.cs:line 158
   at Microsoft.Extensions.Internal.ActivatorUtilities.CreateInstance(IServiceProvider provider, Type instanceType, Object[] parameters) in /_/src/Shared/ActivatorUtilities/ActivatorUtilities.cs:line 54
   at Microsoft.AspNetCore.Builder.UseMiddlewareExtensions.ReflectionMiddlewareBinder.CreateMiddleware(RequestDelegate next) in /_/src/Http/Http.Abstractions/src/Extensions/UseMiddlewareExtensions.cs:line 130
   at Microsoft.AspNetCore.Builder.ApplicationBuilder.Build() in /_/src/Http/Http/src/Builder/ApplicationBuilder.cs:line 197
   at Microsoft.AspNetCore.Builder.ApplicationBuilder.Build() in /_/src/Http/Http/src/Builder/ApplicationBuilder.cs:line 197
   at Microsoft.AspNetCore.Hosting.GenericWebHostService.<StartAsync>d__40.MoveNext() in /_/src/Hosting/Hosting/src/GenericHost/GenericWebHostService.cs:line 143
   at Microsoft.Extensions.Hosting.Internal.Host.<<StartAsync>b__15_1>d.MoveNext() in /_/src/libraries/Microsoft.Extensions.Hosting/src/Internal/Host.cs:line 136
   at Microsoft.Extensions.Hosting.Internal.Host.<ForeachService>d__18`1.MoveNext() in /_/src/libraries/Microsoft.Extensions.Hosting/src/Internal/Host.cs:line 390
   at Microsoft.Extensions.Hosting.Internal.Host.<StartAsync>d__15.MoveNext() in /_/src/libraries/Microsoft.Extensions.Hosting/src/Internal/Host.cs:line 145
   at Microsoft.Extensions.Hosting.HostingAbstractionsHostExtensions.<RunAsync>d__4.MoveNext() in /_/src/libraries/Microsoft.Extensions.Hosting.Abstractions/src/HostingAbstractionsHostExtensions.cs:line 67
   at Microsoft.Extensions.Hosting.HostingAbstractionsHostExtensions.<RunAsync>d__4.MoveNext() in /_/src/libraries/Microsoft.Extensions.Hosting.Abstractions/src/HostingAbstractionsHostExtensions.cs:line 79
   at Microsoft.Extensions.Hosting.HostingAbstractionsHostExtensions.Run(IHost host) in /_/src/libraries/Microsoft.Extensions.Hosting.Abstractions/src/HostingAbstractionsHostExtensions.cs:line 53
   at WebApplication1.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WebApplication1\WebApplication1\Program.cs:line 23

builder.Services.AddHttpLogging 호출을 잊으면 안 됩니다. ^^

// HTTP logging in ASP.NET Core
// https://learn.microsoft.com/en-us/aspnet/core/fundamentals/http-logging/

var builder = WebApplication.CreateBuilder(args);

builder.Services.AddHttpLogging(o => {
    o.LoggingFields = HttpLoggingFields.All & ~HttpLoggingFields.Duration;
});

builder.Services.AddControllers();




하지만, 위와 같이 해도 일반적인 Request/Response 내용은 콘솔 화면에 출력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appSettings.json에 ASP.NET Core 관련 로그 레벨을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Logging": {
    "LogLevel": {
        "Default": "Information",
        "Microsoft.AspNetCore": "Warning",
        "Microsoft.AspNetCore.HttpLogging.HttpLoggingMiddleware": "Information"
    }
  },
  "AllowedHosts": "*"
}

참고로, Microsoft.AspNetCore.HttpLogging.HttpLoggingMiddleware (뿐만 아니라 대개의 마이크로소프트 구성요소의) 로깅 레벨은 "Warning"이 기본값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4-10-11 09시46분
Revisiting improved HTTP logging in ASP.NET Core 8
; https://blog.elmah.io/revisiting-improved-http-logging-in-asp-net-core-8/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35정성태5/9/202116308기타: 81. OpenTabletDriver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지 않고도) 관리자 권한의 프로그램에서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
12634정성태5/9/202114783개발 환경 구성: 572. .NET에서의 필수 무결성 제어 - 외부 Manifest 파일을 두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33정성태5/7/202117688개발 환경 구성: 571. UAC - 관리자 권한 없이 UIPI 제약을 없애는 방법
12632정성태5/7/202118912기타: 80. (WACOM도 지원하는) Tablet 공통 디바이스 드라이버 - OpenTabletDriver
12631정성태5/5/202117733사물인터넷: 60. ThingSpeak 사물인터넷 플랫폼에 ESP8266 NodeMCU v1 + 조도 센서 장비 연동파일 다운로드1
12630정성태5/5/202118518사물인터넷: 59. NodeMCU v1 ESP8266 보드의 A0 핀 사용법 - CdS Cell(GL3526) 조도 센서 연동파일 다운로드1
12629정성태5/5/202120245.NET Framework: 1057. C# - CoAP 서버 및 클라이언트 제작 (UDP 소켓 통신) [1]파일 다운로드1
12628정성태5/4/202118176Linux: 39. Eclipse 원격 디버깅 - Cannot run program "gdb": Launching failed
12627정성태5/4/202118278Linux: 38. 라즈베리 파이 제로 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Eclipse C/C++ 윈도우 환경 설정
12626정성태5/3/202118372.NET Framework: 1056. C#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 (2)파일 다운로드1
12625정성태5/3/202116850오류 유형: 714. error CS5001: Program does not contain a static 'Main' method suitable for an entry point
12624정성태5/2/202121321.NET Framework: 1055. C# - struct/class가 스택/힙에 할당되는 사례 정리 [10]파일 다운로드1
12623정성태5/2/202117663.NET Framework: 1054. C# 9 최상위 문에 STAThread 사용 [1]파일 다운로드1
12622정성태5/2/202113491오류 유형: 713. XSD 파일을 포함한 프로젝트 - The type or namespace name 'TypedTableBase<>' does not exist in the namespace 'System.Data'
12621정성태5/1/202118404.NET Framework: 1053. C# - 특정 레지스트리 변경 시 알림을 받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620정성태4/29/202121514.NET Framework: 1052. C# - 왜 구조체는 16 바이트의 크기가 적합한가? [1]파일 다운로드1
12619정성태4/28/202121530.NET Framework: 1051. C# - 구조체의 크기가 16바이트가 넘어가면 힙에 할당된다? [2]파일 다운로드1
12618정성태4/27/202119777사물인터넷: 58. NodeMCU v1 ESP8266 CP2102 Module을 이용한 WiFi UDP 통신 [1]파일 다운로드1
12617정성태4/26/202117054.NET Framework: 1050. C# - ETW EventListener의 Keywords별 EventId에 따른 필터링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16정성태4/26/202116737.NET Framework: 1049. C# - ETW EventListener를 상속받았을 때 초기화 순서파일 다운로드1
12615정성태4/26/202114009오류 유형: 712. Microsoft Live 로그인 - 계정을 선택하는(Pick an account) 화면에서 진행이 안 되는 문제
12614정성태4/24/202118297개발 환경 구성: 570. C# - Azure AD 인증을 지원하는 ASP.NET Core/5+ 웹 애플리케이션 예제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613정성태4/23/202116652.NET Framework: 1048.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2) 관리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612정성태4/23/202116541.NET Framework: 1047. C# - ETW 이벤트의 Keywords에 속한 EventId 구하는 방법 (1) PInvoke파일 다운로드1
12611정성태4/22/202115438오류 유형: 711. 닷넷 EXE 실행 오류 - Mixed mode assembly is build against version 'v2.0.50727' of the runtime
12610정성태4/22/202115378.NET Framework: 1046. C# - 컴파일 시점에 참조할 수 없는 타입을 포함한 이벤트 핸들러를 Reflection을 이용해 구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