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 Web Application을 실행하지 못하는 IISExpress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ASP.NET 4.8 웹 애플리케이션을 F5 키로 실행했더니, 그냥 웹 브라우저가 하나 뜨고 이런 오류 메시지만 보입니다.

Hmmm… can't reach this page The connection was reset.
Try:

Running network diagnostics with Get Help
Checking the connection
Checking the proxy and the firewall
ERR_CONNECTION_RESET

그 와중에 "Debug" 창에는 이런 식의 메시지가 나오는데요,

Verbose logs are written to:
%USERPROFILE%\AppData\Local\Temp\visualstudio-js-debugger.txt
Uncaught SyntaxError SyntaxError: Unexpected token 'export'
    at (program) (chrome-error://chromewebdata/:1847:1)
Uncaught SyntaxError SyntaxError: Cannot use import statement outside a module
    at (program) (chrome-error://chromewebdata/:1977:1)
Uncaught ReferenceError ReferenceError: loadTimeData is not defined
    at (program) (chromewebdata/(index)꞉2025:11:2289:31)

일단 IISExpress가 실행은 되었는데, 명령행으로 보면 딱히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C:\Program Files\IIS Express\iisexpress.exe"  /config:"C:\temp\TestWebApp\.vs\TestWebApp\config\applicationhost.config" /site:"TestWebApp" /apppool:"Clr4IntegratedAppPool"

혹시나 싶어 저 명령어를 콘솔에서 직접 실행했더니 이렇게 나옵니다.

C:\temp> "C:\Program Files\IIS Express\iisexpress.exe"  /config:"C:\temp\TestWebApp\.vs\TestWebApp\config\applicationhost.config" /site:"TestWebApp" /apppool:"Clr4IntegratedAppPool"
Starting IIS Express ...
Successfully registered URL "https://localhost:8000/" for site "TestWebApp" application "/"
Successfully registered URL "http://localhost:57089/" for site "TestWebApp" application "/"
Registration completed for site "TestWebApp"
IIS Express is running.
Enter 'Q' to stop IIS Express

아하~~~ 가만 보니까, https를 위해 8000, http를 위해 57089를 열고 있는데 실제로 csproj 프로젝트 파일에 저렇게 설정돼 있습니다.

...[생략]...

  <ProjectExtensions>
    <VisualStudio>
      <FlavorProperties GUID="{349c5851-65df-11da-9384-00065b846f21}">
        <WebProjectProperties>
          <UseIIS>True</UseIIS>
          <AutoAssignPort>True</AutoAssignPort>
          <DevelopmentServerPort>57089</DevelopmentServerPort>
          <DevelopmentServerVPath>/</DevelopmentServerVPath>
          <IISUrl>https://localhost:8000/</IISUrl>
          <NTLMAuthentication>False</NTLMAuthentication>
          <UseCustomServer>False</UseCustomServer>
          <CustomServerUrl>
          </CustomServerUrl>
          <SaveServerSettingsInUserFile>False</SaveServerSettingsInUserFile>
        </WebProjectProperties>
      </FlavorProperties>
    </VisualStudio>
  </ProjectExtensions>

...[생략]...

그래서 프로젝트 속성 창을 통해 들어가 "Web" 범주의 "Servers"에서 "Project Url"을 "http://localhost:8000/"으로 변경 후 저장을 했더니 다음과 같이 묻는 창이 뜹니다.

The local IIS Express URL http://localhost:8000/ specified for Web project TestWebApp has not been configured. To keep these settings you need to configure the virtual directory. Would you like to create the virtual directory now?


OK 버튼을 누르면 이제부터 정상적으로 F5 디버깅이 잘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5/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351정성태5/11/202314889VS.NET IDE: 185. Visual Studio - 원격 Docker container 내에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1]
13350정성태5/11/202314679오류 유형: 859. Windows Date and Time - Unable to continue.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perform this task
13349정성태5/11/202314172.NET Framework: 2120. C# - Semantic Kernel의 Skill과 Function 사용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3348정성태5/10/202315862.NET Framework: 2119. C# - Semantic Kernel의 "Basic Loading of the Kernel" 예제
13347정성태5/10/202316112.NET Framework: 2118. C# - Semantic Kernel의 Prompt chaining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346정성태5/10/202315610오류 유형: 858. RDP 원격 환경과 로컬 PC 간의 Ctrl+C, Ctrl+V 복사가 안 되는 문제
13345정성태5/9/202317742.NET Framework: 2117. C# - (OpenAI 기반의) Microsoft Semantic Kernel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 [1]파일 다운로드1
13344정성태5/9/202318689.NET Framework: 2116. C# - OpenAI API 사용 - 지원 모델 목록 [1]파일 다운로드1
13343정성태5/9/202316409디버깅 기술: 192. Windbg - Hyper-V VM으로 이더넷 원격 디버깅 연결하는 방법
13342정성태5/8/202313559.NET Framework: 2115. System.Text.Json의 역직렬화 시 필드/속성 주의
13341정성태5/8/202313766닷넷: 2114. C# 12 - 모든 형식의 별칭(Using aliases for any type)
13340정성태5/8/202313934오류 유형: 857. Microsoft.Data.SqlClient.SqlException - 0x80131904
13339정성태5/6/202315907닷넷: 2113. C# 12 - 기본 생성자(Primary Constructors)
13338정성태5/6/202313517닷넷: 2112. C# 12 - 기본 람다 매개 변수파일 다운로드1
13337정성태5/5/202315516Linux: 59. dockerfile - docker exec로 container에 접속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코드 적용
13336정성태5/4/202314931.NET Framework: 2111. C# - 바이너리 출력 디렉터리와 연관된 csproj 설정
13335정성태4/30/202316772.NET Framework: 2110. C# - FFmpeg.AutoGen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기본 프로젝트 구성 - Windows Forms파일 다운로드1
13334정성태4/29/202315426Windows: 250. Win32 C/C++ - Modal 메시지 루프 내에서 SetWindowsHookEx를 이용한 Thread 메시지 처리 방법
13333정성태4/28/202312248Windows: 249. Win32 C/C++ - 대화창 템플릿을 런타임에 코딩해서 사용파일 다운로드1
13332정성태4/27/202313219Windows: 248. Win32 C/C++ - 대화창을 위한 메시지 루프 사용자 정의파일 다운로드1
13331정성태4/27/202312222오류 유형: 856. dockerfile - 구 버전의 .NET Core 이미지 사용 시 apt update 오류
13330정성태4/26/202314234Windows: 247. Win32 C/C++ - CS_GLOBALCLASS 설명
13329정성태4/24/202314187Windows: 246. Win32 C/C++ - 직접 띄운 대화창 템플릿을 위한 Modal 메시지 루프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328정성태4/19/202313813VS.NET IDE: 184. Visual Studio - Fine Code Coverage에서 동작하지 않는 Fake/Shim 테스트
13327정성태4/19/202314320VS.NET IDE: 183. C# - .NET Core/5+ 환경에서 Fakes를 이용한 단위 테스트 방법
13326정성태4/18/202317696.NET Framework: 2109.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QLite 사용 (System.Data.SQLite) [1]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