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201. C# - Facebook 연동 / 사용자 탈퇴 처리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356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193. 페이스북(Facebook)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 https://www.sysnet.pe.kr/2/0/953

.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 https://www.sysnet.pe.kr/2/0/970

.NET Framework: 245. ASP.NET 서버 측 코드에서 페이스북 계정 연동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3

개발 환경 구성: 313. Nuget Facebook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ASP.NET 웹 폼과 로그인 연동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182

개발 환경 구성: 436. 페이스북 HTTPS 인증을 localhost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55

개발 환경 구성: 482. Facebook OAuth 처리 시 상태 정보 전달 방법과 "유효한 OAuth 리디렉션 URI" 설정 규칙
; https://www.sysnet.pe.kr/2/0/12189

닷넷: 2201. C# - Facebook 연동 / 사용자 탈퇴 처리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26




C# - Facebook 연동 / 사용자 탈퇴 처리 방법

제 웹 사이트처럼 페이스북 연동을 해서 사용자 가입을 하면, 탈퇴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 이런 경우, 사용자는 페이스북 계정 관리 페이지에 접속해,

페이스북 - 내가 사용 중인 어플리케이션 설정 페이지
; https://www.facebook.com/settings?tab=applications

자신이 가입한 서비스 목록에서 선택해 탈퇴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페이스북 측은 당연히 해당 계정이 서비스 이용을 해제했다는 알림을 해야만 그 서비스 측에서는 해당 계정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제공하는 설정이 바로 "승인 취소" - "콜백 URL 승인 취소" 링크입니다.

facebook_user_withdraw_2.png

Visual Studio의 경우라면, 개발 과정에서는 Dev Tunnels를 이용해 로컬 PC에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다음 "콜백 URL 승인 취소"에 "https://[생략].asse.devtunnels.ms/" 경로를 입력해 두는 식으로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해보면,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 중지를 하는 경우 페이스북 측에서는 아래와 같은 형식의 요청이 날아옵니다.

Accept: */*
Host: localhost:5153
User-Agent: facebookexternalua
Accept-Encoding: deflate, gzip
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Content-Length: 163

signed_request=okeW...[생략]...MjR9

signed_request의 형식은 facebook에서 공개하고 있어,

Signed Requests
; https://developers.facebook.com/docs/reference/login/signed-request/
; https://developers.facebook.com/docs/games/build/legacy-web-games/get-started/login#parsingsr

저대로 디코딩을 할 수 있지만, ^^ 당연히 여러분이 사용 중인 언어에 해당하는 예제가 이미 웹에는 있을 것입니다.

How to get the facebook signed request in c#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9046207/how-to-get-the-facebook-signed-request-in-c-sharp

string appSecret = "[...app_secret...]";
string signedRequest = Request.Form["signed_request"];

string data = DecodeSignedRequest(signedRequest, appSecret);

public static string DecodeSignedRequest(string signed_request, string app_secret)
{
    try
    {
        if (signed_request.Contains("."))
        {
            string[] split = signed_request.Split('.');

            string signatureRaw = FixBase64String(split[0]);
            string dataRaw = FixBase64String(split[1]);

            // the decoded signature
            byte[] signature = Convert.FromBase64String(signatureRaw);

            byte[] dataBuffer = Convert.FromBase64String(dataRaw);

            // JSON object
            string data = Encoding.UTF8.GetString(dataBuffer);

            byte[] appSecretBytes = Encoding.UTF8.GetBytes(app_secret);
            System.Security.Cryptography.HMAC hmac = new System.Security.Cryptography.HMACSHA256(appSecretBytes);
            byte[] expectedHash = hmac.ComputeHash(Encoding.UTF8.GetBytes(split[1]));
            if (expectedHash.SequenceEqual(signature))
            {
                return data;
            }
        }
    }
    catch
    {
        // error
    }
    return "";
}

private static string FixBase64String(string str)
{
    while (str.Length % 4 != 0)
    {
        str = str.PadRight(str.Length + 1, '=');
    }
    return str.Replace("-", "+").Replace("_", "/");
}

위의 과정을 거쳐 signed_request를 해독하면 이런 결과가 나옵니다.

{"user_id":"520333434958903","algorithm":"HMAC-SHA256","issued_at":1705146378}

바로 저 "user_id"를 기준으로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사용자 계정 해제에 이와 유사한 메뉴가 하나 더 있습니다.

facebook_user_withdraw_1.png

위의 화면처럼, "사용자 데이터 삭제"이기 때문에 "데이터 삭제 콜백 URL"로 선택하고 주소를 등록하면 그쪽으로 콜백이 있을 것 같은데, 실제로 테스트를 해보면 아무런 요청도 없습니다.

공식 문서에 보면,

데이터 삭제 요청 콜백
; https://developers.facebook.com/docs/development/create-an-app/app-dashboard/data-deletion-callback/

데이터 삭제 콜백은 앱 사용자가 앱을 삭제하거나 Facebook 계정 설정에서 앱과 공유하는 데이터(예: 이메일 주소)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삭제할 때마다 호출됩니다.


아마도, 스마트폰의 앱과 연동하는 유형에서 해당 앱을 삭제하는 것만으로 콜백을 전달하는 걸로 보입니다. 나중에 이런 앱을 만들어 테스트해 보면 알 수 있겠지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4/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439정성태4/18/201330501VS.NET IDE: 76. Visual Studio 2012와 Itanium 빌드 옵션 [2]
1438정성태4/17/201330474.NET Framework: 366. 다른 프로세스에 환경 변수 설정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437정성태4/17/201330372VC++: 67. CRT(C Runtime DLL: msvcr...dll)에 대한 의존성 제거
1436정성태4/17/201335046.NET Framework: 365. Local SYSTEM 권한으로 코드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35정성태4/15/201344657Windows: 71. ad-hoc 보다 더 편리한 "가상 Wifi" 를 이용한 인터넷 공유 [2]
1434정성태4/9/201325865오류 유형: 173. TFS 서버의 이벤트 로그 오류 - WebHost failed to process a request. Parameter name: certificate
1433정성태4/9/201326304개발 환경 구성: 189. TFS에 설치된 SharePoint 의 PowerShell 콘솔 띄우는 방법
1432정성태4/5/201326938오류 유형: 172. System.Web.PipelineModuleStepContainer.GetEventCount 에서 NullReferenceException 이 발생한다면?
1431정성태4/5/201327613기타: 29. 부팅 가능한 (외장) HDD를 기존 부팅 메뉴에 추가하는 방법
1430정성태4/4/201329803제니퍼 .NET: 23. 모바일용 웹 사이트에서 발생하는 응답 시간 지연 현상 [5]파일 다운로드1
1429정성태3/29/201325841개발 환경 구성: 188. SCOM 2012 - ASP.NET 모니터링 방법
1428정성태3/29/201326976개발 환경 구성: 187. SCOM 2012 환경 구성 - Management Packs
1427정성태3/29/201323794오류 유형: 171. SCOM 2012 - 원격 에이전트 설치 오류
1426정성태3/29/201326532개발 환경 구성: 186. SCOM 2012 환경 구성 - 관리 대상 추가
1424정성태3/21/201328711개발 환경 구성: 185. System Center 2012 Operations Manager 설치
1423정성태3/18/201323724오류 유형: 170. The specified domain either does not exist or could not be contacted.
1422정성태3/14/201326016오류 유형: 169. Windows 8/2012에 .NET 3.5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
1421정성태3/13/201343185.NET Framework: 364. WCF RIA 서비스 + Silverlight 사용 예제
1420정성태3/12/201326870오류 유형: 168. ORA-12514: TNS:listener does not currently know of service requested in connect descriptor
1419정성태3/12/201324237Windows: 70. 관리 도구에서 "Windows Server Backup" 항목이 없는 경우
1418정성태2/28/201334182오류 유형: 167. Internet Explorer 10 설치 후 Flash 객체의 메서드/속성 접근 오류가 발생한다면?
1417정성태2/25/201330286.NET Framework: 363. ASP.NET AJAX PageMethods - ASPX.cs의 static 메서드를 AJAX로 호출파일 다운로드1
1416정성태2/22/201332030개발 환경 구성: 184. Xamarin 2.0 - Visual Studio에서 Android 앱을 폰으로 직접 배포하는 방법
1415정성태2/21/201340417개발 환경 구성: 183. Xamarin 2.0 - 윈도우 환경의 Visual Studio에서 C#으로 iOS/Android 응용 프로그램 개발 [4]파일 다운로드1
1414정성태2/21/201335244개발 환경 구성: 182. JMeter로 XML 웹 서비스 호출에 대한 부하 테스트 방법파일 다운로드2
1413정성태2/19/201334988VC++: 66. Chromium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