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487. Socket.Receive 메서드의 SocketFlags.Peek 동작을 이용해 소켓 연결 유무를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824

.NET Framework: 488. TCP 소켓 연결의 해제를 알 수 있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825

닷넷: 2204. C# - TCP KeepAlive에 새로 추가된 Retry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531

닷넷: 2206. C# - TCP KeepAlive의 서버 측 구현
; https://www.sysnet.pe.kr/2/0/13533

Windows: 255. (디버거의 영향 등으로) 대상 프로세스가 멈추면 Socket KeepAlive로 연결이 끊길까요?
; https://www.sysnet.pe.kr/2/0/13546

Windows: 256. C# - Server socket이 닫히면 Accept 시켰던 자식 소켓이 닫힐까요?
; https://www.sysnet.pe.kr/2/0/13550




(디버거의 영향 등으로) 대상 프로세스가 멈추면 Socket KeepAlive로 연결이 끊길까요?

예전에 소개한

C# - TCP KeepAlive에 새로 추가된 Retry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531

KeepAlive는 코드에서 봤던 것처럼 사용자 코드(Send/Receive)와 무관하게 전달되고, ACK 응답을 받게 됩니다. 그렇다면, 프로세스(EXE)가 멈춘 경우에도 KeepAlive에 대한 처리는 잘 되고 있는 걸까요? 예를 들어, 가끔 비주얼 스튜디오로 디버깅하다 보면 한참 동안 프로세스가 멈춰 있을 수도 있는데, 그런 경우 KeepAlive가 동작하지 않아 TCP 연결이 끊길 수 있을까요?

원칙에 기반해 사실을 따져보면, 답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코드가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은, 운영체제 측의 TCP device driver 수준에서 구현되었을 것이므로 사용자 프로세스(EXE)가 멈춘다고 해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과연 정말 그런지, 어떻게 테스트를 할 수 있을까요?

우선, 지난 "C# - TCP KeepAlive에 새로 추가된 Retry 옵션" 글에서 했던 테스트를 상기해 보겠습니다. 해당 글에서는 다음과 같은 KeepAlive 설정을 하고,

TcpKeepAliveTime == 1
TcpKeepAliveInterval == 3
TcpKeepAliveRetryCount == 10

Hyper-V가 올라간 2대의 물리 PC에, 다시 그 각각의 VM에 소켓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배포한 다음, VM을 Pause 시켰을 때 30초 정도만에 연결이 끊기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즉, "운영체제"가 멈추면, 다시 말해 device driver의 코드가 멈추면 KeepAlive가 동작한다는 것까지는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사실 우리가 원하는 테스트도 이와 유사하게 할 수 있는데요, 이때 필요한 도구가 바로 Process Explorer입니다. ^^

Process Explorer
; https://learn.microsoft.com/en-us/sysinternals/downloads/process-explorer

// 또는,

PsSuspend 
; https://learn.microsoft.com/en-us/sysinternals/downloads/pssuspend

KeepAlive의 응답을 보내야 하는 측에 Process Explorer를 실행시킨 다음, 해당 프로세스를 선택하고 우측 버튼을 누르면 "Suspend" 메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즉, 프로세스(EXE)를 멈추게 하는 건데요, 딱 우리가 원하는 바로 그 상황입니다.

결과는 어떨까요? ^^

Ping은 당연히 잘 되므로 그로 인한 연결 끊김 메시지도 안 나오고, 30초가 지나도 여전히 KeepAlive를 사용 중인 소켓은 연결이 끊기지 않고 잘 붙어 있습니다.

이론상 그러지 않을 거라고 알고는 있었지만, 그래도 이렇게 꼭 확인하지 않으면 직성이 안 풀려 어쩔 수가 없군요. ^^




혹시 윈도우의 절전 모드인 경우 KeepAlive가 동작이 가능할까요?

위에서 언급한 대로 KeepAlive는 응용 프로그램 레벨이 아닌 device driver 레벨에서 동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절전 모드로 빠진 경우에는 device driver의 코드가 실행되지 않을 것이므로 동작을 안 해야 합니다. 그런데, KeepAlive 정도의 ACK 정도라면 NIC 레벨에서 offload로 반응하는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요? ^^

어쨌든 실제로 테스트해보면 절전 모드인 경우에는 KeepAlive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즉, ACK는 순수하게 device driver에서 처리되고 있는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311정성태9/4/202018904.NET Framework: 937. C# - 간단하게 만들어 보는 리눅스의 nc(netcat), json_pp 프로그램 [1]
12310정성태9/3/202018158오류 유형: 644. Windows could not start the Elasticsearch 7.9.0 (elasticsearch-service-x64) service on Local Computer.
12309정성태9/3/202017438개발 환경 구성: 507. Elasticsearch 6.6부터 기본 추가된 한글 형태소 분석기 노리(nori) 사용법
12308정성태9/2/202019272개발 환경 구성: 506. Windows - 단일 머신에서 단일 바이너리로 여러 개의 ElasticSearch 노드를 실행하는 방법
12307정성태9/2/202020141오류 유형: 643. curl - json_parse_exception / Invalid UTF-8 start byte
12306정성태9/1/202017411오류 유형: 642. SQL Server 시작 오류 - error code 10013
12305정성태9/1/202019240Windows: 172. "Administered port exclusions"이 아닌 포트 범위 항목을 삭제하는 방법
12304정성태8/31/202017649개발 환경 구성: 505. 윈도우 - (네트워크 어댑터의 우선순위로 인한) 열거되는 IP 주소 순서를 조정하는 방법
12303정성태8/30/202017984개발 환경 구성: 504. ETW - 닷넷 프레임워크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명령행 도구 etrace 소개
12302정성태8/30/202018100.NET Framework: 936.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5) - Private Logger파일 다운로드1
12301정성태8/30/202017730오류 유형: 641. error MSB4044: The "Fody.WeavingTask" task was not given a value for the required parameter "IntermediateDir".
12300정성태8/29/202017987.NET Framework: 935.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4) CLR ETW Consumer파일 다운로드1
12299정성태8/27/202018798.NET Framework: 934.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3) ETW Consumer 구현파일 다운로드1
12298정성태8/27/202018235오류 유형: 640. livekd - Could not resolve symbols for ntoskrnl.exe: MmPfnDatabase
12297정성태8/25/202017718개발 환경 구성: 503. SHA256 테스트 인증서 생성 방법
12296정성태8/24/202018816.NET Framework: 933.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2) NT Kernel Logger파일 다운로드1
12295정성태8/24/202017694오류 유형: 639. Bitvise - Address is already in use; bind() in ListeningSocket::StartListening() failed: Windows error 10013: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
12293정성태8/24/202018667Windows: 171. "Administered port exclusions" 설명
12292정성태8/20/202021687.NET Framework: 932. C# - ETW 관련 Win32 API 사용 예제 코드 (1)파일 다운로드2
12291정성태8/15/202018672오류 유형: 638. error 1297: Device driver does not install on any devices, use primitive driver if this is intended.
12290정성태8/11/202019811.NET Framework: 931. C# - IP 주소에 따른 국가별 위치 확인 [8]파일 다운로드1
12289정성태8/6/202016765개발 환경 구성: 502. Portainer에 윈도우 컨테이너를 등록하는 방법
12288정성태8/5/202015995오류 유형: 637. WCF - The protocol 'net.tcp' does not have an implementation of HostedTransportConfiguration type registered.
12287정성태8/5/202017404오류 유형: 636. C# - libdl.so를 DllImport로 연결 시 docker container 내에서 System.Dll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12286정성태8/5/202018733개발 환경 구성: 501. .NET Core 용 container 이미지 만들 때 unzip이 필요한 경우
12285정성태8/4/202018404오류 유형: 635. 윈도우 10 업데이트 - 0xc1900209 [2]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