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401.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1708

개발 환경 구성: 402.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docker로 실행/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09

VS.NET IDE: 143. Visual Studio -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의 "Enable Docker Support" 옵션으로 달라지는 점
; https://www.sysnet.pe.kr/2/0/12171

VS.NET IDE: 144.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197

VS.NET IDE: 185. Visual Studio - 원격 Docker container 내에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3351

닷넷: 2156. .NET 7 이상의 콘솔 프로그램을 (dockerfile 없이) 로컬 docker에 배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37

개발 환경 구성: 704. Visual Studio - .NET 8 프로젝트부터 dockerfile에 추가된 "USER app"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3547




Visual Studio - .NET 8 프로젝트부터 dockerfile에 추가된 "USER app" 설정

.NET 8 프로젝트부터 Visual Studio가 기본 생성하는 dockerfile이 살짝 바뀌었습니다. 예를 들어, Console App 프로젝트를 (.NET 7 이하가 아닌) .NET 8용으로 생성한 다음 "Add" / "Docker Support..." 메뉴를 선택해 dockerfile을 추가하면 대략 아래와 같은 식의 내용을 갖게 됩니다.

#See https://aka.ms/customizecontainer to learn how to customize your debug container and how Visual Studio uses this Dockerfile to build your images for faster debugging.

FROM mcr.microsoft.com/dotnet/runtime:8.0 AS base
USER app
WORKDIR /app

FROM mcr.microsoft.com/dotnet/sdk:8.0 AS build
ARG BUILD_CONFIGURATION=Release
WORKDIR /src
COPY ["ConsoleApp1/ConsoleApp1.csproj", "ConsoleApp1/"]
RUN dotnet restore "./ConsoleApp1/./ConsoleApp1.csproj"
COPY . .
WORKDIR "/src/ConsoleApp1"
RUN dotnet build "./ConsoleApp1.csproj" -c $BUILD_CONFIGURATION -o /app/build

FROM build AS publish
ARG BUILD_CONFIGURATION=Release
RUN dotnet publish "./ConsoleApp1.csproj" -c $BUILD_CONFIGURATION -o /app/publish /p:UseAppHost=false

FROM base AS final
WORKDIR /app
COPY --from=publish /app/publish .
ENTRYPOINT ["dotnet", "ConsoleApp1.dll"]

이전과 비교해 달라진 점이 있다면, 바로 "USER app" 설정이 추가되었다는 점입니다. 이 옵션을 윈도우 환경과 비교하자면, 예전처럼 저 옵션이 제거된 상태가 "Run as Administrator" 모드였다면 "USER app"이 적용된 이후로는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Pre-announcement: dotnet/samples breaking changes (port 8080, ...)
; https://github.com/dotnet/dotnet-docker/discussions/4764

Running container images with non-root users
; https://andrewlock.net/exploring-the-dotnet-8-preview-updates-to-docker-images-in-dotnet-8/#running-container-images-with-non-root-users

이로 인해, 컨테이너 내부에서 apt udpate 등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Permission denied" 오류가 발생합니다.

$ apt update
Reading package lists... Done
E: List directory /var/lib/apt/lists/partial is missing. - Acquire (13: Permission denied)

$ sudo apt update
bash: sudo: command not found

만약 root 권한이 필요하다면 명시적으로 docker exec로 접속할 때 "-u 0"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temp> dock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fe06635e05e7   consoleapp1:dev   "tail -f /dev/null"   16 minutes ago   Up 16 minutes             ConsoleApp1

C:\temp> docker exec -u 0 -it ConsoleApp1 /bin/bash

혹은, 매번 docker exec로 접속하는 것이 귀찮다 싶으면 개발 시에만, 혹은 한시적으로 "USER app" 설정을 주석 처리해도 됩니다.




참고로, "Running container images with non-root users" 글에서 언급한 chiseled containers는 저도 예전에 아래의 글에서 다룬 적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

.NET 7 이상의 콘솔 프로그램을 (dockerfile 없이) 로컬 docker에 배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37#chiseled_container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3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05정성태1/23/201421224개발 환경 구성: 212. Visual Studio Online과 "Monaco" 서비스 연동
1604정성태1/23/201421560오류 유형: 216.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2)
1603정성태1/23/201433627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1]
1602정성태1/22/201423817디버깅 기술: 62. windbg - 사용자 모드 원격 디버깅
1601정성태1/22/201427432오류 유형: 215. windbg - Symbol file could not be found. Defaulted to export symbols
1600정성태1/19/201424084.NET Framework: 410.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을 Paralle.For와 함께? [1]파일 다운로드1
1599정성태1/18/201432193.NET Framework: 409. C# - 재귀호출을 스택 자료구조와 반복문을 이용해 대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98정성태1/17/201425521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1597정성태1/17/201424111Phone: 9. Xamarin Android에 구글 AdMob 사용하는 방법 [1]
1596정성태1/17/201423046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20043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2190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0821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1108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3278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3942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89정성태1/14/201432887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
1588정성태1/14/201429678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1587정성태1/14/201425581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1586정성태1/14/201427301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
1585정성태1/14/201430195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
1584정성태1/13/201432501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1583정성태1/13/201430505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
1582정성태1/12/201428965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
1581정성태1/12/201430312.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
1580정성태1/12/201440333.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