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401.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 https://www.sysnet.pe.kr/2/0/11708

개발 환경 구성: 402.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docker로 실행/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09

VS.NET IDE: 143. Visual Studio -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의 "Enable Docker Support" 옵션으로 달라지는 점
; https://www.sysnet.pe.kr/2/0/12171

VS.NET IDE: 144. .NET Core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publish) 시 docker image 자동 생성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197

VS.NET IDE: 185. Visual Studio - 원격 Docker container 내에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3351

닷넷: 2156. .NET 7 이상의 콘솔 프로그램을 (dockerfile 없이) 로컬 docker에 배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37

개발 환경 구성: 704. Visual Studio - .NET 8 프로젝트부터 dockerfile에 추가된 "USER app"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3547




Visual Studio - .NET 8 프로젝트부터 dockerfile에 추가된 "USER app" 설정

.NET 8 프로젝트부터 Visual Studio가 기본 생성하는 dockerfile이 살짝 바뀌었습니다. 예를 들어, Console App 프로젝트를 (.NET 7 이하가 아닌) .NET 8용으로 생성한 다음 "Add" / "Docker Support..." 메뉴를 선택해 dockerfile을 추가하면 대략 아래와 같은 식의 내용을 갖게 됩니다.

#See https://aka.ms/customizecontainer to learn how to customize your debug container and how Visual Studio uses this Dockerfile to build your images for faster debugging.

FROM mcr.microsoft.com/dotnet/runtime:8.0 AS base
USER app
WORKDIR /app

FROM mcr.microsoft.com/dotnet/sdk:8.0 AS build
ARG BUILD_CONFIGURATION=Release
WORKDIR /src
COPY ["ConsoleApp1/ConsoleApp1.csproj", "ConsoleApp1/"]
RUN dotnet restore "./ConsoleApp1/./ConsoleApp1.csproj"
COPY . .
WORKDIR "/src/ConsoleApp1"
RUN dotnet build "./ConsoleApp1.csproj" -c $BUILD_CONFIGURATION -o /app/build

FROM build AS publish
ARG BUILD_CONFIGURATION=Release
RUN dotnet publish "./ConsoleApp1.csproj" -c $BUILD_CONFIGURATION -o /app/publish /p:UseAppHost=false

FROM base AS final
WORKDIR /app
COPY --from=publish /app/publish .
ENTRYPOINT ["dotnet", "ConsoleApp1.dll"]

이전과 비교해 달라진 점이 있다면, 바로 "USER app" 설정이 추가되었다는 점입니다. 이 옵션을 윈도우 환경과 비교하자면, 예전처럼 저 옵션이 제거된 상태가 "Run as Administrator" 모드였다면 "USER app"이 적용된 이후로는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Pre-announcement: dotnet/samples breaking changes (port 8080, ...)
; https://github.com/dotnet/dotnet-docker/discussions/4764

Running container images with non-root users
; https://andrewlock.net/exploring-the-dotnet-8-preview-updates-to-docker-images-in-dotnet-8/#running-container-images-with-non-root-users

이로 인해, 컨테이너 내부에서 apt udpate 등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Permission denied" 오류가 발생합니다.

$ apt update
Reading package lists... Done
E: List directory /var/lib/apt/lists/partial is missing. - Acquire (13: Permission denied)

$ sudo apt update
bash: sudo: command not found

만약 root 권한이 필요하다면 명시적으로 docker exec로 접속할 때 "-u 0"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temp> dock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fe06635e05e7   consoleapp1:dev   "tail -f /dev/null"   16 minutes ago   Up 16 minutes             ConsoleApp1

C:\temp> docker exec -u 0 -it ConsoleApp1 /bin/bash

혹은, 매번 docker exec로 접속하는 것이 귀찮다 싶으면 개발 시에만, 혹은 한시적으로 "USER app" 설정을 주석 처리해도 됩니다.




참고로, "Running container images with non-root users" 글에서 언급한 chiseled containers는 저도 예전에 아래의 글에서 다룬 적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

.NET 7 이상의 콘솔 프로그램을 (dockerfile 없이) 로컬 docker에 배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37#chiseled_container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3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20정성태9/1/201034748오류 유형: 105. WMI - The RPC server is unavailable [2]
919정성태8/30/201040877DDK: 1. Visual Studio 2010 - Device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918정성태8/28/201026988개발 환경 구성: 87.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3)
917정성태8/26/201021989개발 환경 구성: 86. "Routing and Remote Access"의 "Routing" 기능 활성화 방법
916정성태8/25/201021189개발 환경 구성: 85. 가상 네트워크에 LAN 어댑터 보이거나 감추는 방법
915정성태8/24/201039297개발 환경 구성: 84.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2)
913정성태8/22/201028450오류 유형: 104. Hyper-V 관리자 - VM 생성 오류 (VHD 생성 오류)
912정성태8/20/201030365.NET Framework: 183. 구조체 포인터 인자에 대한 P/Invoke 정의파일 다운로드1
911정성태8/19/201027220오류 유형: 103. System.Reflection.Target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910정성태8/19/201038032개발 환경 구성: 83. Hyper-V의 네트워크 유형 (1)
909정성태8/18/201033378오류 유형: 102. System.MissingMethodException
908정성태8/17/201024434개발 환경 구성: 82.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3)
907정성태8/14/201021984개발 환경 구성: 81.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2)
906정성태8/13/201030830개발 환경 구성: 80. Windows Virtual PC의 네트워크 유형 (1)
905정성태8/8/201032965Team Foundation Server: 39. 배치 파일로 팀 빌드 구성 [2]파일 다운로드1
904정성태8/8/201035756오류 유형: 101. SignTool Error: No certificates were found that met all the given criteria. [2]
903정성태8/6/201032631Team Foundation Server: 38.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4) - Branch
902정성태8/5/201024992Team Foundation Server: 37. TFS 2010의 소스 서버 수작업 구성
901정성태8/4/201024269Team Foundation Server: 36.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3) - Label
900정성태8/3/201026960Team Foundation Server: 35.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2) - Shelveset
899정성태8/2/201028981Team Foundation Server: 34. TFS 소스 코드 관리 기능 (1) - Changeset
898정성태7/31/201028486.NET Framework: 182. WCF의 InactivityTimeout [1]파일 다운로드1
897정성태7/26/201129692.NET Framework: 181. AssemblyVersion, AssemblyFileVersion, AssemblyInformationalVersion [4]
896정성태7/25/201036514.NET Framework: 180. C# Singleton 인스턴스 생성 [2]
895정성태7/25/201020403VS.NET IDE: 68. Visual Studio 2010 - .NET 1.1 원격 디버깅
894정성태7/25/201026313오류 유형: 100. Could not find the Database Engine startup handle. [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