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dows - Symbolic (hard/soft) Link 및 Junction 차이점
윈도우에 내장한 mklink를 이용하면 특정 디렉터리에 대한 Symbolic Link 및 Junction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 우선 기존에 사용하던 디렉터리를 가정해 "C:\temp\testdir1"을 만듭니다.
c:\temp> mkdir testdir1
// 실습을 위해 임의 파일도 하나 만듭니다.
c:\temp>echo "TEST" > c:\temp\testdir1\test.txt
이제 우리가 원하는 것은 해당 디렉터리에 대해 "C:\temp\testdir2"라는 새로운 이름을 만들어 연결하는 것입니다. (
이때 "C:\temp\testdir2" 경로는 존재하지 않아야 합니다.)
c:\temp> mklink /J "testdir2" "testdir1"
c:\temp> dir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015B-B1A4
Directory of c:\temp
2024-02-17 오후 02:38 <DIR> .
2024-02-17 오후 02:31 <DIR> testdir1
2024-02-17 오후 02:35 <JUNCTION> testdir2 [c:\temp\testdir1]
0 File(s) 0 bytes
3 Dir(s) 340,979,662,848 bytes free
보는 바와 같이 새롭게 명명한 "testdir2"로 "JUCTION" 항목이 하나 추가되고, 탐색기에서 살펴보면 "폴더" 아이콘에 "화살표"가 하나 추가된 것으로 그것이 JUNCTION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후부터는 testdir2 경로를 마치 testdir1을 다루듯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testdir2의 파일을 나열하도록 명령하면 그것과 연결된 testdir1의 파일을 나열
c:\temp> dir .\testdir2 /b
test.txt
그렇다면 삭제는 어떻게 할까요? 왠지 걱정이 드는 것은, 저렇게 연결되었다는 점에서 혹시 testdir2를 삭제하면 원본인 testdir1도 통째로 날아가는 것은 아닐까요? ^^
재미있게도, 삭제만큼은 연결 기능을 하지 않아 그냥 안전하게 rd 명령어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 testdir2 junction만 삭제
c:\temp> rd testdir2
// 기존에 연결되었던 디렉터리는 그대로 존재
c:\temp> dir /b
testdir1
물론, rd 명령어가 아닌 "윈도우 탐색기"에서 해당 항목을 삭제해도 됩니다.
Junction에 대해 봤으니, 이제 mklink의 "/D" 옵션으로 연결할 수 있는 symbolic link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일례로, C:\Users 디렉터리에서 dir /a 명령을 내려보면,
c:\Users> dir /a
Volume in drive C has no label.
Volume Serial Number is 015B-B1A4
Directory of c:\Users
2024-02-17 오후 11:18 <DIR> .
2024-02-17 오후 11:28 <DIR> ..
2022-05-07 오후 02:41 <SYMLINKD> All Users [C:\ProgramData]
2022-09-27 오후 06:48 <DIR> Default
2022-05-07 오후 02:41 <JUNCTION> Default User [C:\Users\Default]
...[생략]...
Junction 외에도 SYMLINKD로 표시되는 항목이 있습니다. 윈도우 탐색기에서는 아이콘이 동일하므로 구분이 안 되는데요, 대신 속성창을 띄워보면 Symolic Link의 경우에는 "Shortcut" 탭이 하나 더 있는 걸로 알아낼 수는 있습니다.
기본적인 수준에서의 동작은 Junction과 (삭제까지도) 다른 점이 없습니다.
그런데, 도대체 그 둘 간의 차이가 뭘까요? 이에 대해 검색해 보면 다음의 글을 찾을 수 있습니다.
Pete Hinchley: Junctions and Symbolic Links
; https://hinchley.net/articles/junctions-and-symbolic-links
가장 뚜렷한 기능상의 차이점은, Junction은 로컬 PC 내에서만 연결을 할 수 있는 반면 Symbolic Link는 원격으로 연결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연결 결과가 대상에서 이뤄지느냐 로컬에서 이뤄지느냐로 나뉩니다.
가령, 다음과 같이 Junction으로 연결된 상태인 경우,
mklink /J c:\alias c:\target
만약 원격에서 위와 같이 Junction으로 연결된 "\\remote\c
$\alias"로 요청을 하면 자동으로 "\\remote\c
$\target"에 대한 결과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만약 Symbolic Link로 연결했다면,
mklink /D c:\alias c:\target
원격에서 "\\remote\c
$\alias"로 요청을 한 경우, 서버는 "c:\target"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보내게 되고, 결국 (서버 측의 "\\remote\c
$\target"이 아닌) 요청한 측의 "c:\target" 디렉터리를 접근하려고 시도하게 됩니다.
참고로, Junction은 (Windows 2000부터 적용한) NTFS 3.0부터 지원한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Symbolic Link는 유형에 따라 "hard-link"와 "soft-link"로 나뉘는데, hard-link는 원본에 참조 카운트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구현하기 때문에 실제 파일을 삭제하려면 원본 및 hard-link를 모두 삭제해야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반면, soft-link (및 junction)은 일종의 shortcut처럼 동작하기 때문에 원본을 삭제하면 soft-link와 junction은 더 이상 가리킬 곳이 없는 상태로 존재만 하게 됩니다. 이 외에도 hard-link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오직 파일 연결만 가능하고,
- 연결 대상의 파일이 hard-link를 생성하는 시점에 반드시 존재해야 하고,
- 같은 볼륨 내에서만 생성 가능 (즉, C:\ 드라이브의 파일을 D:\ 드라이브에서 연결할 수 없음)
그리고 Symbolic link의 연결은 fsutil을 이용해 제어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C:\Windows\System32> fsutil behavior set symlinkevaluation /?
Usage: fsutil behavior set symlinkEvaluation {L2L|L2R|R2L|R2R}:{0|1} [...]
Controls the class of symbolic links that can be traversed when opening files.
Values: L2L:{0|1} - Controls local-to-local symbolic link evaluation (default ENABLED)
L2R:{0|1} - Controls local-to-remote symbolic link evaluation (default ENABLED)
R2L:{0|1} - Controls remote-to-local symbolic link evaluation (default DISABLED)
R2R:{0|1} - Controls remote-to-remote symbolic link evaluation (default DISABLED)
Eg: fsutil behavior set symlinkEvaluation L2L:1 L2R:0
- Enables local-to-local symbolic link evaluation
- Disables local-to-remote symbolic link evaluation
- Does not change the evaluation state of remote-to-remote or remote-to-local links.
This operation takes effect immediately (no reboot required)
보는 바와 같이, Local 내에서의 연결과 Local에서 Remote로의 연결은 기본적으로 활성화돼 있어 fsutil로 변경할 필요 없이 곧바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