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TFS 2012 Express의 필수 보완 작업: 데이터베이스 백업

며칠 전에, 집에 있는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 하나가 장애가 발생했습니다. RAID 1로 묶여져 있는 하드라서 다행히 데이터 손실 없이 지나갈 수 있었는데요. 이처럼, 항상 컴퓨터 부품은 어느 때든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음을 기본으로 가정해야 한다는 것을 잊으면 안됩니다. ^^

이런 이유로, 보통 TFS Express를 로컬 소스 세이프처럼 사용하는 '노트북 사용자'라면 '백업'이 필수라고 할 수 있는데, TFS는 이런 상황에 대한 쉬운 해결책으로 "Power Tools"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침 "TFS 2012" 버전에 대해서도 얼마 전에 공개가 되어 소개해 드립니다. ^^

Microsoft Visual Studio Team Foundation Server 2012 Power Tools
;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items?itemName=TFSPowerToolsTeam.MicrosoftVisualStudioTeamFoundationServer2012Power

백업 방법에 관해서는 다음의 글에서 2010을 기준으로 설명을 하고 있지만 2012와 비교해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TFS 2010 Power Tools + TFS Backup and Restore Hands on Lab
; http://myalmblog.com/2010/09/12/tfs-2010-power-tools-tfs-backup-and-restore-hands-on-lab/

이 프로그램을 "TFS 2012 Power Tools"를 TFS 2012 Express가 있는 컴퓨터에 설치하면 "Team Foundation Server Express Administration Console"에 "Database Backup Tools"라는 항목이 더 추가됩니다.

howto_tfs_backup_1.png

어차피 저도 백업 수단을 강구해야 하므로, 위의 글을 보면서 따라 했는데요. 백업 파일이 놓일 경로는 UNC 경로이긴 하지만, 어쨌든 형식만 맞추면 되므로 그냥 "\\[로컬컴퓨터이름]\..."와 같은 식으로 지정할 수 있어서 반드시 네트워크 컴퓨터일 필요는 없습니다.

그런데, 모든 설정을 완료한 후 "Readiness Checks Validate that Your System is Ready to Configure" 단계에서 꼭 마지막 단계의 "Permissions" 확인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Account [계정명] failed to create backups using path \\targetpc\tfs_backup

[Info   @02:44:15.403] +-+-+-+-+-| Verify backups can be created |+-+-+-+-+-
[Info   @02:44:15.403] Starting Node: VerifyTestBackupCreated
[Info   @02:44:15.403] NodePath : Container/Progress/VerifyTestBackupCreated
[Info   @02:44:15.407] Creating dummy database to test backup.
[Info   @02:44:22.046] Node returned: Error
[Error  @02:44:22.046] Account [계정명] failed to create backups using path \\targetpc\tfs_backup
[Info   @02:44:22.046] Completed VerifyDummyBackupCreation: Error
[Info   @02:44:22.046] -----------------------------------------------------

이와 관련해서 많은 질의/응답들이 있는데 참고하시고요.

Creating a backup in Team Foundation Server 2010 using the Power Tools
; http://blog.hinshelwood.com/creating-a-backup-in-team-foundation-server-2010-using-the-power-tools/

이벤트 로그를 살펴보니, 제 경우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눈에 띕니다.

BackupDiskFile::CreateMedia: Backup device '\\targetpc\tfs_backup\temp_20120920204415.bak' failed to create. Operating system error 5(Access is denied.).
BACKUP failed to complete the command BACKUP DATABASE temp_20120920204415. Check the backup application log for detailed messages.


조사 결과, 제 SQL 서버 프로세스 - sqlservr.exe가 "NETWORK Service" 계정으로 실행 중임을 작업관리자를 통해서 알게 되었습니다. 즉, (로컬) 공유 폴더에는 그 계정으로 권한이 없었기 때문에 이런 오류가 났던 것입니다.

해결은 일단, 공유 폴더 측에 "NETWORK Service" 계정으로 권한을 주었습니다.




백업을 했다면 복원을 해야겠지요. 최악의 경우로, 제 노트북이 망가진 걸로 가정하고 작업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TFS Power Tools의 "Database Backup Tools" 기능을 이용해서 백업을 한 경우, 다음의 글에서 설명한 방법을 따르면 쉽게 복원이 가능합니다.

Restore the Databases
; https://docs.microsoft.com/en-us/azure/devops/server/admin/backup/tut-single-svr-restore-dbs

우선, 새롭게 운영체제를 설치한 컴퓨터에 SQL Server 2012 Express를 설치한 후, SSMS 도구를 실행해서 백업했던 모든 DB를 "Restore Database" 메뉴를 이용해서 복원합니다.

보통, bak (Full 백업) 파일과 trn (트랜잭션) 파일로 백업이 되어 있을 텐데요. SQL 서버의 DB 복원 방법을 모른다면 꼭 Restore the Databases 글에 나온 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안 그러면, 저처럼 ^^ 트랜잭션 파일을 복원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를 만나게 됩니다.

The log or differential backup cannot be restored because no files are ready to rollforward. 
; http://justgeeks.blogspot.kr/2009/03/log-or-differential-backup-cannot-be.html

일단, DB 복원만 되었으면 다음 절차는 간단합니다. TFS Express를 설치하고, "Configuration Center" 창이 뜨면 "Application-Tier Only" 옵션으로 마법사를 시작해서 설정 작업을 마무리 해주시면 됩니다.

모든 설정이 완료되고, "http://localhost:8080/tfs"로 접속하면 정상적으로 Web Access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즉, Active Directory가 아니어도, 아무런 계정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백업/복원이 가능하다는 것!

참고로, 제 경우에는 TFS DB를 로컬 PC에 백업하고, 그 백업 폴더를 윈도우 8의 백업 기능에 포함시켜 두었습니다. 역시... 백업이 되어야 안심하고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4-07-28 05시11분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56정성태2/15/201521264.NET Framework: 493. TypeRef 메타테이블에 등록되는 타입의 조건파일 다운로드1
1855정성태2/10/201520803개발 환경 구성: 256. WebDAV Redirector - Sysinternals 폴더 연결 시 "The network path was not found" 오류 해결 방법
1854정성태2/10/201521800Windows: 104. 폴더는 삭제할 수 없지만, 그 하위 폴더/파일은 생성/삭제/변경하는 보안 설정
1853정성태2/6/201552060웹: 29. 여신금융협회 웹 사이트의 "Netscape 6.0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메시지 [5]
1852정성태2/5/201522486.NET Framework: 492. .NET CLR Memory 성능 카운터의 의미파일 다운로드1
1851정성태2/5/201523401VC++: 88. 하룻밤의 꿈 - 인텔 하스웰의 TSX Instruction 지원 [2]
1850정성태2/4/201544264Windows: 103. 작업 관리자에서의 "Commit size"가 가리키는 메모리의 의미 [4]
1849정성태2/4/201524189기타: 51. DropBox의 CPU 100%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848정성태2/4/201519432.NET Framework: 491. 닷넷 Generic 타입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 알아내는 방법 [2]
1847정성태2/3/201522742기타: 50. C# - 윈도우에서 dropbox 동기화 폴더 경로 및 종료하는 방법
1846정성태2/2/201532016Windows: 102.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항목을 수동으로 실행하고 싶다면? [1]
1845정성태1/26/201532900Windows: 101. 제어판의 "Windows 자격 증명 관리(Manage your credentials)"를 금지시키는 방법
1844정성태1/26/201530856오류 유형: 269. USB 메모리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보여진다면? [7]
1843정성태1/24/201521917VC++: 87. 무시할 수 없는 Visual C++ 런타임 함수 성능
1842정성태1/23/201544426개발 환경 구성: 255. 노트북 키보드에 없는 BREAK 키를 다른 키로 대체하는 방법
1841정성태1/21/201519401오류 유형: 268. Win32 핸들 관련 CLR4 보안 오류 사례
1840정성태1/8/201527618오류 유형: 267. Visual Studio - CodeLens 사용 시 CPU 100% 현상
1839정성태1/5/201520531디버깅 기술: 69.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2)
1838정성태1/4/201540236기타: 49. 윈도우 내레이터(Narrator) 기능 끄는 방법(윈도우에 파란색의 굵은 테두리 선이 나타난다면?) [4]
1837정성태1/4/201526353디버깅 기술: 68. windbg 분석 사례 - 메모리 부족 [1]
1836정성태1/4/201526357디버깅 기술: 67. windbg - 덤프 파일과 handle 정보
1835정성태1/3/201526853개발 환경 구성: 254. SQL 서버 역시 SSL 3.0/TLS 1.0만을 지원하는 듯!
1834정성태1/3/201551481개발 환경 구성: 253. TLS 1.2를 적용한 IIS 웹 사이트 구성
1833정성태1/3/201527560.NET Framework: 490. System.Data.SqlClient는 SSL 3.0/TLS 1.0만 지원하는 듯! [3]
1832정성태1/2/201520649오류 유형: 266. Azure에 응용 프로그램 게시 중 로그인 오류
1831정성태1/1/201528531디버깅 기술: 66.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1)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