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2개 있습니다.)
Windows: 63.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의 새로운 기능 Live Migration
; https://www.sysnet.pe.kr/2/0/1356

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603

개발 환경 구성: 236.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42

개발 환경 구성: 317. Hyper-V 내의 VM에서 다시 Hyper-V를 설치: Nested Virtualization
; https://www.sysnet.pe.kr/2/0/11218

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720

.NET Framework: 798.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
; https://www.sysnet.pe.kr/2/0/11722

디버깅 기술: 169. Hyper-V의 VM에 대한 메모리 덤프를 뜨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4

개발 환경 구성: 608. Hyper-V 가상 머신에 Console 모드로 로그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59

개발 환경 구성: 664.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246

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64

개발 환경 구성: 718. Hyper-V - 리눅스 VM에 새로운 디스크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706

Windows: 280. Hyper-V의 3가지 Thread Scheduler (Classic, Core, Root)
; https://www.sysnet.pe.kr/2/0/13901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이에 관해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옵니다.

Hyper-V upgrade generation 1 to generation 2
; https://www.savernova.com/en/docs/manuals/activeimage-protector/hyper-v-upgrade-generation-1-to-generation-2-en

정리해 볼까요? ^^




Gen1에서 Gen2로 바꾸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건은 (VM의) 하드 디스크가 MBR 파티션이 아닌 GPT 파티션이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GPT 파티션으로 바꾸는 것은,

Convert an MBR disk into a GPT disk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server/storage/disk-management/change-an-mbr-disk-into-a-gpt-disk

윈도우의 "Disk Management"나 diskpart.exe로도 가능하지만, 여기서 문제는 앞선 2가지 방법은 기존 디스크의 내용을 모두 초기화해야 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우리는 동작하던 VM의 디스크를 바꾸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초기화해서는 안 되는데, 다행히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이런 경우를 위한 변환 도구를 제공하므로,

MBR2GPT.EX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deployment/mbr-to-gpt

이것을 사용해 기존 VM의 vhdx 디스크를 (내부 자료 초기화 없이) 변환해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다시 문제가 있습니다. ^^ GPT로 변환하려면 해당 디스크를 offline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는 곧, 현재 해당 VM이 부팅 중에는 mbr2gpt.exe를 실행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Convert an MBR disk into a GPT disk" 글에서는, GPT 변환 작업을 위해 Recovery 모드로 부팅을 하는데요, 재미있는 건 ISO 설치 디스크 이미지 중에서 mbr2gpt.exe를 내장한 것은 Windows 10/11이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Windows Server 2012가 설치된 VM을 Gen2로 바꾸고 싶어도 Windows 10+ (최소 1909 버전 이상의) 설치 이미지를 구해야 합니다. (아마도 윈도우 서버 버전의 경우 2019부터 제공할 텐데, 2019 VM 정도면 애당초 Gen2로 만들었을 것입니다. ^^) 일단, 어떻게든 mbr2gpt가 있는 이미지를 구했으면 VM에 CD 이미지로 연결한 다음 재부팅해 설치 모드로 진입합니다.

이후 ("Install" 버튼 대신) "Repair your computer" 링크를 통해 "Troubleshoot" / "Command Prompt"를 띄운 후,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mbr2gpt 실행을 합니다.

X:\Srouces> cd X:\Windows\System32

X:\Windows\System32> mbr2gpt /validate /disk:0
MBR2GPT: Attempting to validate disk 0
MBR2GPT: Retrieving layout of disk
MBR2GPT: Validating layout, disk sector size is: 512 bytes
MBR2GPT: Validation completed successfully

X:\Windows\System32> mbr2gpt /validate /disk:0
If conversion is successful the disk can only be booted in GPT mode.
These changes cannot be done!

MBR2GPT: Attempting to convert disk 0
MBR2GPT: Retrieving layout of disk
MBR2GPT: Validating layout, disk sector size is: 512 bytes
MBR2GPT: Backing up the system partition
MBR2GPT: Creating the EFI system partition
MBR2GPT: Installing the new boot files
MBR2GPT: Performing the layout conversion
MBR2GPT: Migrating default boot entry
MBR2GPT: Adding recovery boot entry
MBR2GPT: Fixing driver letter mapping
MBR2GPT: Conversion completed successfully
Call WinReRepair to repair WinRE
MBR2GPT: Failed to update ReAgent.xml, please try to manually disable and enable WinRE.
MBR2GPT: Before the new system can boot properly you need to switch the firmware to boot to UEFI mode!

혹은, 제가 해보진 않았지만 VM의 vhdx 이미지를 분리해 Hyper-V에 설치된 또 다른 Windows 10 VM에 붙인 다음 그 안에서 디스크를 offline 시키고 mbr2gpt.exe를 실행해도... 아마 될 것입니다. ^^

이렇게 디스크가 준비되었으면, 남은 작업은 새롭게 Generation 2 VM을 껍데기만 새롭게 생성한 다음 (mbr2gpt로 변환한) Gen1 VM의 디스크 이미지(vhdx)를 연결하면 됩니다.




참고로, Gen2로 바꾼 경우의 장/단점은 아래의 글에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Should You create a generation 1 or 2 virtual machine in Hyper-V?
; https://www.linkedin.com/pulse/should-you-create-generation-1-2-virtual-machine-gaby-machaalany/

  • Faster boot times: Generation 2 virtual machines use UEFI firmware, which allows them to boot faster than generation 1 virtual machines.
  • Improved hardware support: Generation 2 virtual machines support a wider range of hardware devices, including those that require UEFI support, such as some network adapters and storage controllers.
  • Enhanced security features: Generation 2 virtual machines support features such as Secure Boot and Trusted Platform Module (TPM), which can help to secure the virtual machine and the host system.
  • Improved performance: Generation 2 virtual machines may offer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to generation 1 virtual machines, particularly for workloads that rely on hardware acceleration or require high I/O throughput.

다른 건 상관없는데, 성능이 나아진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Gen2로 옮길 충분한 이유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mbr2gpt를 offline 시키지 않은 디스크에 대해 실행하면 이런 오류 메시지가 나옵니다.

C:\Windows\system32> mbr2gpt /validate /disk:0
ERROR: MBR2GPT can only be used from the Windows Preinstallation Environment. Use /allowFullOS to override.

C:\Windows\system32> mbr2gpt /validate /disk:0 /allowFullOS
MBR2GPT: Attempting to validate disk 0
MBR2GPT: Retrieving layout of disk
MBR2GPT: Validating layout, disk sector size is: 512 bytes
Disk layout validation failed for disk 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29정성태11/5/201323323오류 유형: 192. SQL 서버 - The transaction log for database '...' is full due to 'LOG_BACKUP'.
1528정성태11/5/201328925디버깅 기술: 58. windbg 분석 사례 - WPF 응용 프로그램의 UI가 반응하지 않는 문제 [5]
1527정성태11/4/201326524VC++: 72. error MIDL2311 - mktyplib compatability mode 컴파일 오류
1526정성태11/3/201323258디버깅 기술: 57. C# - double 값에 대한 windbg 확인
1525정성태11/2/201329635.NET Framework: 391. C# - EXE/DLL로부터 추출한 이미지/아이콘의 배경색 투명 처리 [8]
1524정성태11/2/201330486기타: 37. 프로그램에 보여지는 리소스(예: 아이콘) 추출하는 방법 [1]
1523정성태11/2/201326806VS.NET IDE: 81. Visual Studio 확장 도구 AttachToW3WP - w3wp.exe에 대한 디버거 연결을 자동화하는 도구 [2]
1522정성태11/1/201323410VS.NET IDE: 80. IIS 8.0/8.5 - Global.asax.cs처럼 초기에 실행되는 코드에 Breakpoint를 잡는 방법
1521정성태11/1/201329296VS.NET IDE: 79. IIS 7.5 - Global.asax.cs처럼 초기에 실행되는 코드에 Breakpoint를 잡는 방법
1520정성태10/31/201323706오류 유형: 191. Visual Studio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The project type is not supported by this installation." 오류 발생 해결
1519정성태10/31/201349223기타: 36. SYSTEM 또는 TrustedInstaller 소유로 되어 있는 폴더/파일을 삭제하는 방법 [5]
1518정성태10/30/201326875VS.NET IDE: 78. Visual Studio 확장으로 XmlCodeGenerator 제작하는 방법
1517정성태10/28/201326457디버깅 기술: 56. 덤프 파일에 핸들/스레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
1516정성태10/28/201331743.NET Framework: 390. FolderBrowserDialog보다 더 쓸만한 대화창이 필요하다면? [1]
1515정성태10/24/201334441VS.NET IDE: 77. Visual Studio 확장(VSIX) 만드는 방법 [5]
1514정성태10/24/201367801개발 환경 구성: 202. Internet Explorer 11을 7, 8, 9, 10 버전으로 인식시키는 방법 [9]파일 다운로드1
1513정성태10/23/201324334개발 환경 구성: 201. Azure Blob Storage의 DNS 경로를 사용자 DNS로 바꾸는 방법 [1]
1512정성태10/18/201327567개발 환경 구성: 200. IIS AppPool의 실행 계정을 변경하는 방법
1511정성태10/12/201325696.NET Framework: 389. The 3n + 1 problem의 C#/Java 버전 풀이 [2]
1510정성태10/8/201326584오류 유형: 190. 윈도우 서버 2012 R2 설치 후 인텔 NIC으로 인한 WMI 오류 발생
1509정성태10/8/201331781오류 유형: 189. Windows Server 8.1/2012 R2 - IME 비정상 종료 현상 [1]
1508정성태10/4/201326844.NET Framework: 388. 일반 닷넷 프로젝트에서 WinRT API를 호출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507정성태9/30/201324694오류 유형: 188. The key 'LocalizedPerfCounter' does not exist in the appSettings configuration section.
1506정성태9/30/201326846오류 유형: 187. Parameter "basePath" cannot be a relative path
1505정성태9/26/201375354기타: 35. Microsoft Office 2007 인증 생략하는 방법 [10]
1504정성태9/24/201330260.NET Framework: 387. UDP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해 서비스 측의 IP 주소를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