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2개 있습니다.)
Windows: 63.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의 새로운 기능 Live Migration
; https://www.sysnet.pe.kr/2/0/1356

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603

개발 환경 구성: 236.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42

개발 환경 구성: 317. Hyper-V 내의 VM에서 다시 Hyper-V를 설치: Nested Virtualization
; https://www.sysnet.pe.kr/2/0/11218

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720

.NET Framework: 798.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
; https://www.sysnet.pe.kr/2/0/11722

디버깅 기술: 169. Hyper-V의 VM에 대한 메모리 덤프를 뜨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4

개발 환경 구성: 608. Hyper-V 가상 머신에 Console 모드로 로그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59

개발 환경 구성: 664.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246

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64

개발 환경 구성: 718. Hyper-V - 리눅스 VM에 새로운 디스크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706

Windows: 280. Hyper-V의 3가지 Thread Scheduler (Classic, Core, Root)
; https://www.sysnet.pe.kr/2/0/13901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이에 관해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옵니다.

Hyper-V upgrade generation 1 to generation 2
; https://www.savernova.com/en/docs/manuals/activeimage-protector/hyper-v-upgrade-generation-1-to-generation-2-en

정리해 볼까요? ^^




Gen1에서 Gen2로 바꾸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건은 (VM의) 하드 디스크가 MBR 파티션이 아닌 GPT 파티션이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GPT 파티션으로 바꾸는 것은,

Convert an MBR disk into a GPT disk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server/storage/disk-management/change-an-mbr-disk-into-a-gpt-disk

윈도우의 "Disk Management"나 diskpart.exe로도 가능하지만, 여기서 문제는 앞선 2가지 방법은 기존 디스크의 내용을 모두 초기화해야 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우리는 동작하던 VM의 디스크를 바꾸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초기화해서는 안 되는데, 다행히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이런 경우를 위한 변환 도구를 제공하므로,

MBR2GPT.EXE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deployment/mbr-to-gpt

이것을 사용해 기존 VM의 vhdx 디스크를 (내부 자료 초기화 없이) 변환해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다시 문제가 있습니다. ^^ GPT로 변환하려면 해당 디스크를 offline으로 만들어야 하는데, 이는 곧, 현재 해당 VM이 부팅 중에는 mbr2gpt.exe를 실행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Convert an MBR disk into a GPT disk" 글에서는, GPT 변환 작업을 위해 Recovery 모드로 부팅을 하는데요, 재미있는 건 ISO 설치 디스크 이미지 중에서 mbr2gpt.exe를 내장한 것은 Windows 10/11이라는 점입니다.

따라서, Windows Server 2012가 설치된 VM을 Gen2로 바꾸고 싶어도 Windows 10+ (최소 1909 버전 이상의) 설치 이미지를 구해야 합니다. (아마도 윈도우 서버 버전의 경우 2019부터 제공할 텐데, 2019 VM 정도면 애당초 Gen2로 만들었을 것입니다. ^^) 일단, 어떻게든 mbr2gpt가 있는 이미지를 구했으면 VM에 CD 이미지로 연결한 다음 재부팅해 설치 모드로 진입합니다.

이후 ("Install" 버튼 대신) "Repair your computer" 링크를 통해 "Troubleshoot" / "Command Prompt"를 띄운 후,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mbr2gpt 실행을 합니다.

X:\Srouces> cd X:\Windows\System32

X:\Windows\System32> mbr2gpt /validate /disk:0
MBR2GPT: Attempting to validate disk 0
MBR2GPT: Retrieving layout of disk
MBR2GPT: Validating layout, disk sector size is: 512 bytes
MBR2GPT: Validation completed successfully

X:\Windows\System32> mbr2gpt /validate /disk:0
If conversion is successful the disk can only be booted in GPT mode.
These changes cannot be done!

MBR2GPT: Attempting to convert disk 0
MBR2GPT: Retrieving layout of disk
MBR2GPT: Validating layout, disk sector size is: 512 bytes
MBR2GPT: Backing up the system partition
MBR2GPT: Creating the EFI system partition
MBR2GPT: Installing the new boot files
MBR2GPT: Performing the layout conversion
MBR2GPT: Migrating default boot entry
MBR2GPT: Adding recovery boot entry
MBR2GPT: Fixing driver letter mapping
MBR2GPT: Conversion completed successfully
Call WinReRepair to repair WinRE
MBR2GPT: Failed to update ReAgent.xml, please try to manually disable and enable WinRE.
MBR2GPT: Before the new system can boot properly you need to switch the firmware to boot to UEFI mode!

혹은, 제가 해보진 않았지만 VM의 vhdx 이미지를 분리해 Hyper-V에 설치된 또 다른 Windows 10 VM에 붙인 다음 그 안에서 디스크를 offline 시키고 mbr2gpt.exe를 실행해도... 아마 될 것입니다. ^^

이렇게 디스크가 준비되었으면, 남은 작업은 새롭게 Generation 2 VM을 껍데기만 새롭게 생성한 다음 (mbr2gpt로 변환한) Gen1 VM의 디스크 이미지(vhdx)를 연결하면 됩니다.




참고로, Gen2로 바꾼 경우의 장/단점은 아래의 글에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Should You create a generation 1 or 2 virtual machine in Hyper-V?
; https://www.linkedin.com/pulse/should-you-create-generation-1-2-virtual-machine-gaby-machaalany/

  • Faster boot times: Generation 2 virtual machines use UEFI firmware, which allows them to boot faster than generation 1 virtual machines.
  • Improved hardware support: Generation 2 virtual machines support a wider range of hardware devices, including those that require UEFI support, such as some network adapters and storage controllers.
  • Enhanced security features: Generation 2 virtual machines support features such as Secure Boot and Trusted Platform Module (TPM), which can help to secure the virtual machine and the host system.
  • Improved performance: Generation 2 virtual machines may offer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to generation 1 virtual machines, particularly for workloads that rely on hardware acceleration or require high I/O throughput.

다른 건 상관없는데, 성능이 나아진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Gen2로 옮길 충분한 이유가 됩니다.




마지막으로, mbr2gpt를 offline 시키지 않은 디스크에 대해 실행하면 이런 오류 메시지가 나옵니다.

C:\Windows\system32> mbr2gpt /validate /disk:0
ERROR: MBR2GPT can only be used from the Windows Preinstallation Environment. Use /allowFullOS to override.

C:\Windows\system32> mbr2gpt /validate /disk:0 /allowFullOS
MBR2GPT: Attempting to validate disk 0
MBR2GPT: Retrieving layout of disk
MBR2GPT: Validating layout, disk sector size is: 512 bytes
Disk layout validation failed for disk 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457정성태2/8/200726163.NET Framework: 80. LINQ 관련 용어 정리 및 리소스 소개 [2]
456정성태2/6/200724421Windows: 22. 가상화에 대해서.
455정성태2/4/200719305오류 유형: 25. 원격 데스크톱 환경에서의 Virtual Server 관리 환경 제어
454정성태2/4/200716766오류 유형: 24. VPC에서의 Vista 네트워킹 문제
509손대성6/24/200718863    답변글 오류 유형: 24.1. [답변]: 오류 유형 : 23. VPC 에서의 Vista 네트워킹 문제
453정성태2/4/200724978개발 환경 구성: 21. 서버 측 SoapExtension을 클라이언트에 알리고 싶다
452정성태1/31/200724698VC++: 31. 비스타에서 VS.NET 2005로 COM 프로젝트 빌드시 오류 [2]
451정성태1/31/200723818Windows: 21. Preview Handler 소개
450정성태1/30/200732127VS.NET IDE: 43. .NET에서의 필수 무결성 제어 조절하는 방법 - Manifest 파일 이용파일 다운로드2
449정성태2/4/200728923Windows: 20. UAC 이모저모 [2]
448정성태1/28/200724594Windows: 19. 3가지 유형의 가젯 프로그램
447정성태1/27/200721763Windows: 18. 비스타 도구 - 사양 정보 및 도구(Performance Information and Tools)
446정성태1/27/200730729VC++: 30. 필수 무결성 제어를 조절하는 방법(2) - 직접 코딩파일 다운로드1
445정성태2/8/200729309VC++: 29. 필수 무결성 제어를 조절하는 방법(1) - Manifest 파일 이용파일 다운로드2
444정성태1/27/200722750VC++: 28. 비스타 응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VS.NET 2005 환경 설정
443정성태1/26/200721199VC++: 27. COM 개체로 인해 IE 7 비스타 버전이 종료될 때 오류 화면이 뜬다면?파일 다운로드1
442정성태1/24/200724194.NET Framework: 79. 새로운 암호화 클래스 (ECDsaCng, ECDiffieHellmanCng) 소개 [1]
441정성태1/23/200728921Windows: 17. 보안 데스크톱에서 활성화되지 않은 UAC 창이 안전할까?
440정성태1/24/200723023.NET Framework: 78. C# 3.0 - Anonymous types [1]
439정성태1/25/200724010.NET Framework: 77. C# 3.0 - Lambda 표현식 [1]
438정성태1/24/200723509.NET Framework: 76. C# 3.0 - 확장 함수
437정성태1/23/200730976Windows: 16. 개발자를 위한 UAC 환경 설정 [3]
436정성태1/17/200720161VS.NET IDE: 42. Orcas 2007년 1월 CTP 버전 설치 [5]
435정성태1/14/200719832기타: 17. 베타 제품과 최종 제품은 다르다 [2]
434정성태2/4/200723385Windows: 15. MIC 환경 구성 - Windows XP와 유사한 보안 설정 [4]
433정성태1/12/200732928Windows: 14. 보호 모드와 필수 무결성 제어(MIC: Mandatory Integrity Control) [3]파일 다운로드1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