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230. C# - 덮어쓰기 가능한 환형 큐 (Circular queue)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34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덮어쓰기 가능한 환형 큐 (Circular queue)

간혹, 환형 큐인데 최대 크기를 채운 경우 마지막에 추가했던 값을 덮어쓰는 식의 동작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List<T> 등을 기반으로 구현하면 편리하긴 한데 내부적으로 Append, Delete(0)을 하는 과정에 자꾸만 배열 복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GC를 괴롭히게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어차피 환형 큐이고 덮어쓰기를 허용한다면 연속적인 배열로 처리하는 것이 좋은데요, 여기서 유의할 점은 적절한 head/tail의 index 위치에 대한 연산입니다. 물론, 이미 그런 연산을 잘 해주는 코드는 검색만 하면 나오기 때문에, ^^

C# program to implement circular queue using array
; https://www.includehelp.com/dot-net/implement-circular-queue-using-array-using-c-sharp-program.aspx

이를 기반으로 몇 가지 기능을 추가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CircularQueue<T>
{
    private T[] _elements;
    private int _front;
    private int _rear;
    private int _max;
    private int _count;

    public int Count => _count;
    public int Size => _max;

    public CircularQueue(int size)
    {
        _elements = new T[size];
        _front = 0;
        _rear = -1;
        _max = size;
        _count = 0;
    }

    public T PeekHead()
    {
        if (_count == 0)
        {
            return default(T);
        }

        return _elements[_rear];
    }

    public T PeekTail()
    {
        if (_count == 0)
        {
            return default(T);
        }

        return _elements[_front];
    }


    public void Enqueue(T item)
    {
        if (_count == _max)
        {
            Dequeue();
        }

        _rear = (_rear + 1) % _max;
        _elements[_rear] = item;

        _count++;
    }

    public T Dequeue()
    {
        if (_count == 0)
        {
            return default(T);
        }
        else
        {
            T elem = _elements[_front];

            _front = (_front + 1) % _max;
            _count--;

            return elem;
        }
    }

    public T[] GetElements(bool reverse = false)
    {
        T[] values = new T[_count];
        CopyTo(values, reverse);
        return values;
    }

    public void CopyTo(T[] targetArray, bool reverse = false)
    {
        int targetPos = 0;

        int j = 0;
        for (int i = _front; j < _count;)
        {
            targetArray[targetPos++] = _elements[i];
            i = (i + 1) % _max;
            j++;
        }

        if (reverse)
        {
            Array.Reverse(targetArray);
        }
    }

    public override string ToString()
    {
        if (_count == 0)
        {
            return string.Empty;
        }

        T[] values = GetElements();
        return string.Join(",", values);
    }
}

아울러, 단위 테스트 등으로 다음과 같은 식의 코드를 추가하면 안정성도 높일 수 있습니다. ^^

using System.Diagnostics;
using System.Linq;

namespace ConsoleApp2
{
    internal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ircularQueue<int?> cq = new CircularQueue<int?>(3);

            {
                Debug.Assert(cq.Capacity == 3);
                Debug.Assert(cq.PeekHead() == null);
                Debug.Assert(cq.PeekTail() == null);
                Debug.Assert(cq.Count == 0);
                Debug.Assert(Enumerable.SequenceEqual(cq.GetElements(), []));
                Debug.Assert(cq.Dequeue() == null);
            }

            {
                cq.Enqueue(0);
                Debug.Assert(cq.PeekHead() == 0);
                Debug.Assert(cq.PeekTail() == 0);
                Debug.Assert(cq.ToString() == "0");
            }

            {
                cq.Enqueue(1);
                cq.Enqueue(2);
                cq.Enqueue(3);
                cq.Enqueue(4);
                Debug.Assert(cq.PeekHead() == 4);
                Debug.Assert(cq.PeekTail() == 2);
                Debug.Assert(cq.ToString() == "2,3,4");
            }

            {
                int? elem = cq.Dequeue();
                Debug.Assert(elem == 2);
            }

            {
                cq.Enqueue(5);

                int?[] values = new int?[cq.Count];
                cq.CopyTo(values, reverse: true);
                Debug.Assert(Enumerable.SequenceEqual(values, [5, 4, 3]));
            }

            {
                cq.Enqueue(6);
                int?[] values = cq.GetElements();
                Debug.Assert(Enumerable.SequenceEqual(values, [4, 5, 6]));
            }
        }
    }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6정성태2/13/200730040오류 유형: 18. "Automatic Updates" 서비스 CPU 100% 점유 현상
393정성태11/8/200619568오류 유형: 17. Unable to start debugging - The binding handle is invalid.
371정성태10/23/200618757오류 유형: 16. STS Communication failed.
370정성태11/12/200622646.NET Framework: 75. Windows CardSpace 이야기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5정성태10/25/200624661    답변글 .NET Framework: 75.1. 개인 발행 카드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6정성태10/27/200624237    답변글 .NET Framework: 75.2. "Windows CardSpace"와 "인증서 서비스"의 만남(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77정성태10/26/200623893    답변글 .NET Framework: 75.3.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1) - CardWriter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85정성태11/6/200626529    답변글 .NET Framework: 75.4. Managed Card 발행에 대한 Microsoft 예제 실습 (2) - STS 구현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7]
387정성태11/2/200627314    답변글 .NET Framework: 75.5. Windows CardSpace와 SYSNET 사이트의 만남 (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1]
397정성태11/11/200624796    답변글 .NET Framework: 75.6. CardWriter.csproj와 함께 알아보는 인증서 식별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8정성태11/12/200623315    답변글 .NET Framework: 75.7. 카드에 암호 거는 방법(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399정성태11/12/200625605    답변글 .NET Framework: 75.8. 인증서/스마트 카드에 기반한 Managed Card - STS 구현(이 글의 내용은 재작성되어질 예정입니다.) [5]
369정성태10/22/200621088오류 유형: 15. 자동 업데이트 실패
367정성태10/22/200636878Windows: 3. IIS 7.0 다중 바인딩 설정하는 방법 [1]
365정성태10/21/200620614Windows: 2. 서버(build 5600)에 IIS 7.0 서비스와 .NET 3.0 설치 방법
359정성태10/17/200616700오류 유형: 14. VS.NET 빌드 오류 - FxCopCmd.exe returned error code 65.
358정성태10/17/200621909오류 유형: 13. WSE 3.0 서비스 관련 WSE101 오류 / Destination Unreachable
357정성태12/1/200624156.NET Framework: 74. WCF 이야기 [4]
378정성태10/28/200628978    답변글 .NET Framework: 74.1. WCF와 WSE 3.0의 활용 [4]파일 다운로드1
379정성태11/3/200627888    답변글 .NET Framework: 74.2. WCF로 구현하는 .NET Remoting [4]파일 다운로드1
380정성태10/28/200626843    답변글 .NET Framework: 74.3. 웹 서비스와 닷넷 리모팅으로써의 WCF 구현파일 다운로드1
381정성태10/28/200629205    답변글 .NET Framework: 74.4. WCF 서비스 참조 추가 메뉴 [2]
382정성태10/28/200635274    답변글 .NET Framework: 74.5. WCF 서비스를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383정성태10/28/200630091    답변글 .NET Framework: 74.6. IIS 6.0: 다중 Endpoint 제공파일 다운로드1
384정성태10/28/200626947    답변글 .NET Framework: 74.7. IIS 7.0: 다중 Endpoint 제공
389정성태11/11/200629812    답변글 .NET Framework: 74.8. WCF에 SSL 적용 (1) - Httpcfg.exe 도구를 이용한 SSL 설정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