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707. 빌드한 Unity3D 프로그램을 C++ Windows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81

개발 환경 구성: 708. Unity3D - C# Windows Forms / WPF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84

닷넷: 2232. C# - Unity + 닷넷 App(WinForms/WPF) 간의 Named Pipe 통신
; https://www.sysnet.pe.kr/2/0/13588




빌드한 Unity3D 프로그램을 C++ Windows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Unity에서 (간단한 프로젝트를 만들어) Windows 대상으로 빌드하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가진 출력물이 나옵니다.

C:\temp\unity> tree /F
...[생략]...
│   My project.exe
│   UnityCrashHandler64.exe
│   UnityPlayer.dll
├───MonoBleedingEdge
│   ├───EmbedRuntime
│   └───etc
│       └───mono
│           ├───2.0
│           │   └───Browsers
│           ├───4.0
│           │   └───Browsers
│           ├───4.5
│           │   └───Browsers
│           └───mconfig
└───My project_Data
    ├───Managed
    └───Resources

루트에 보면 "My project.exe"와 "UnityPlayer.dll"이 있는데, 그중에서 dll의 export 함수를 조사해 보면,

c:\temp\unity> dumpbin /EXPORTS UnityPlayer.dll
Microsoft (R) COFF/PE Dumper Version 14.35.32217.1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Dump of file UnityPlayer.dll

File Type: DLL

  Section contains the following exports for UnityPlayer.dll

    00000000 characteristics
    FFFFFFFF time date stamp
        0.00 version
           1 ordinal base
           1 number of functions
           1 number of names

    ordinal hint RVA      name

          1    0 007FBE20 UnityMain

  Summary

      126000 .data
      10E000 .pdata
      390000 .rdata
       1E000 .reloc
        1000 .rodata
        1000 .rsrc
     1832000 .text
       11000 _RDATA

단 하나의 UnityMain 함수가 보입니다. 검색해 보면, 다음과 같이 Unity 측에서 공식 사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Using Unity as a Library in other applications
; https://docs.unity3d.com/2021.3/Documentation/Manual/UnityasaLibrary.html

Integrating Unity into Windows applications
; https://docs.unity3d.com/2021.3/Documentation/Manual/UnityasaLibrary-Windows.html

방법은 2가지인데, 1) 유니티를 자식 프로세스로 실행(위의 예제의 경우 "My Project.exe"를 실행)하면서 명령행에 현재 프로세스가 소유한 윈도우 핸들을 "-parentHWND" 인자로 넘겨줘 유니티로 하여금 (마치 Internet Explorer의 LCIE처럼) 그 윈도우에 출력을 하도록 만드는 방법과, 2) "UnityPlayer.dll"을 직접 로드해 UnityMain 함수를 호출하면서,

extern "C" UNITY_API int UnityMain(HINSTANCE hInstance, HINSTANCE hPrevInstance, LPWSTR lpCmdLine, int nShowCmd);

마찬가지로 lpCmdLine 인자에 활성화시킬 부모 윈도우의 핸들 값을 넘기는 것입니다. 오호~~~ 생각보다 간단하군요. ^^

자, 그렇다면 직접 해볼까요?

우선, C++ Desktop Window Application을 간단하게 하나 만들고, WM_KEYDOWN 이벤트에서 F2 키를 누르면 UnityPlayer.dll을 로드해 UnityMain 함수를 실행하는 코드를 다음과 같이 넣어보겠습니다.

...[생략]...

    case WM_KEYDOWN:
    {
        if (wParam == VK_F2)
        {
            HMODULE hModule = ::LoadLibrary(L"C:\\temp\\unity\\UnityPlayer.dll");
            UnityMainFuncPtr unityMainFunc = (UnityMainFuncPtr)::GetProcAddress(hModule, "UnityMain");
            if (unityMainFunc == nullptr)
            {
                return DefWindowProc(hWnd, message, wParam, lParam);
            }

            wchar_t buffer[1024] = { 0 };
            wsprintf(buffer, L"-parentHWND %I64u", (__int64)hWnd);

            unityMainFunc(hInst, nullptr, buffer, SW_SHOWDEFAULT);
        }
    }

...[생략]...

실행해 보면, 이런 오류 메시지 창이 뜨는데요,

Data folder not found

Application folder:
C:/unity/ConsoleApplication1/x64/Debug
There should be 'WindowsProject1_Data'
folder next to the executable

2가지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 UnityPlayer.dll이 아닌, C++ 프로젝트의 EXE 빌드 위치를 기준으로 실행
  2. Unity 데이터를 찾는 디렉터리 이름이 "[EXE 실행 파일 이름]_Data"로 고정

따라서, 위의 실습을 제대로 하려면 C++ 프로젝트의 빌드 결과를 Unity 빌드 디렉터리(이 글의 예제에서는 "C:\temp\unity")로 맞춰야 하고, 실행 파일명도 "WindowsProject1"이 아닌 "My Project.exe"로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속성 창을 이용하거나, vcxproj의 내용을 편집해 아래와 같이 맞춰주시면 됩니다.

...[생략]...
  <PropertyGroup>
    <OutDir>C:\temp\unity</OutDir>
    <TargetName>My Project</TargetName>
  </PropertyGroup>
...[생략]...

자, 이제 다시 실행해서 F2 키를 누르면 ^^ 다음과 같이 우리가 만든 Window 프레임의 자식으로 Unity가 활성화됩니다.

unity_embed_cpp_1.png




일단 UnityMain 함수를 실행하면, 이후 해당 스레드는 블록킹됩니다. 즉, 아래와 같이 코딩한 경우,

unityMainFunc(hInst, nullptr, buffer, SW_SHOWDEFAULT); // 이 함수에서 제어를 반환하지 않음!
::OutputDebugString(L"UnityMain called\n");

디버깅 콘솔에 "UnityMain called" 메시지는 볼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적인 상황에서는 별도의 스레드를 생성해 호출하게 될 것입니다.

...[생략]...
case WM_KEYDOWN:
{
    if (wParam == VK_F2)
    {
        std::thread t([&]() 
            {
                //...[생략]...

                wchar_t buffer[1024] = { 0 };
                wsprintf(buffer, L"-parentHWND %I64u", (__int64)hWnd);

                int result = unityMainFunc(hInst, nullptr, buffer, SW_SHOWDEFAULT);
            });

        t.detach();
    }
}
...[생략]...

그리고 이유는 알 수 없지만, Visual Studio 디버깅 중에는 위와 같이 Unity를 호스팅하는 경우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면 unityMainFunc를 벗어나자마자 AV(Access violation) 예외가 발생합니다.

unityMainFunc(hInst, nullptr, buffer, SW_SHOWDEFAULT);
::OutputDebugString(L"UnityMainFunc called\n");

Exception thrown at 0x0000000000000000 in My Project.exe: 0xC0000005: Access violation executing location 0x0000000000000000.

디버깅에만 나오는 것이므로 무시할 수는 있지만, ... 개발 중에는 상당히 신경이 쓰이는군요. ^^; 이때의 호출 스택을 보면,

    0000000000000000()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efd6cbe()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f085490()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f661e60()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f6605be()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eba7917()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ee17ef8()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f05bbea()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f05be2b()  Unknown No symbols loaded.
>    My Project.exe!WndProc::__l11::<lambda_1>::operator()() Line 180  C++ Symbols loaded.
    My Project.exe!std::invoke<`WndProc'::`11'::<lambda_1>>(WndProc::__l11::<lambda_1> && _Obj) Line 1753 C++ Non-user code. Symbols loaded.
    My Project.exe!std::thread::_Invoke<std::tuple<`WndProc'::`11'::<lambda_1>>,0>(void * _RawVals) Line 56   C++ Non-user code. Symbols loaded.
    ucrtbased.dll!thread_start<unsigned int (__cdecl*)(void *),1>(void * const parameter) Line 97 C++ Non-user code. Symbols loaded.
    kernel32.dll!BaseThreadInitThunk()  Unknown Non-user code. Symbols loaded without source information.
    ntdll.dll!RtlUserThreadStart()  Unknown Non-user code. Symbols loaded without source information.

UnityPlayer.dll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x64라서 상관없겠지만) 호출 규약이 틀어져 발생하는 것도 아니라 더 해볼 것이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정확한 재현 규칙은 알 수 없지만 UnityMain을 부를 때 이런 예외가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Fatal error
Failed to create window

위의 오류는 "-parentHWND"로 전달한 인자가 잘못된 값이거나 형식일 때 발생하는데요, 간혹 정확한 값을 전달했는데도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25정성태1/7/201724427개발 환경 구성: 310. IIS - appcmd.exe를 이용해 특정 페이지에 클라이언트 측 인증서를 제출하도록 설정하는 방법
11124정성태1/4/201727837개발 환경 구성: 309. 3년짜리 유효 기간을 제공하는 StartSSL [2]
11123정성태1/3/201723348.NET Framework: 629. .NET Core의 dotnet.exe CLI 명령어 확장 방법 [1]
11122정성태1/3/201722812.NET Framework: 628. TransactionScope에 사용자 정의 트랜잭션을 참여시키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121정성태1/1/201720704개발 환경 구성: 308.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Core)"와 "ASP.NET Core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차이점
11120정성태12/25/201626581개발 환경 구성: 307.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을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11119정성태12/23/201649263개발 환경 구성: 306. Visual Studio Code에서 Python 개발 환경 구성 [2]
11118정성태12/22/201636012오류 유형: 374. Python 64비트 설치 시 0x80070659 오류 발생 [3]
11117정성태12/21/201622325웹: 35. nopCommerce 예제 사이트 구성 방법
11116정성태12/21/201624281디버깅 기술: 84. NopCommerce의 Autofac 부하(CPU, Memory) [2]
11115정성태12/21/201627252Windows: 133. 윈도우 서버 2016에서 플래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2]
11114정성태12/19/201637272Windows: 132. 역슬래시(backslash) 문자가 왜 통화 표기 문자(한글인 경우 "\")로 보일까요? [2]
11113정성태12/6/201621135오류 유형: 373. ICOMAdminCatalog::GetCollection에서 CO_E_ISOLEVELMISMATCH(0x8004E02F) 오류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112정성태11/23/201626308오류 유형: 372. MySQL 서비스가 올라오지 않는 경우 - Error 1067
11111정성태11/23/201634790.NET Framework: 627. C++로 만든 DLL을 C#에서 사용하기 [2]
11110정성태11/17/201621498.NET Framework: 626. Commit 메모리가 낮은 상황에서도 메모리 부족(Out-of-memory) 예외 발생 [2]
11109정성태11/17/201621482.NET Framework: 625. ASP.NET에서 System.Web.HttpApplication 인스턴스는 다중으로 생성됩니다.
11108정성태11/13/201621300.NET Framework: 624. WPF - Line 요소를 Canvas에 위치시켰을 때 흐림(blur) 현상파일 다운로드1
11107정성태11/9/201625176오류 유형: 371. Post cache substitution is not compatible with modules in the IIS integrated pipeline that modify the response buffers.파일 다운로드1
11106정성태11/8/201625348.NET Framework: 623. C# - PeerFinder를 이용한 Wi-Fi Direct 데이터 통신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105정성태11/8/201619739.NET Framework: 622. PeerFinder Wi-Fi Direct 통신 시 Read/Write/Dispose 문제
11104정성태11/8/201619213개발 환경 구성: 305. PeerFinder로 Wi-Fi Direct 연결 시 방화벽 문제
11103정성태11/8/201619170오류 유형: 370. PeerFinder.ConnectAsync의 결과 값인 Task.Result를 호출할 때 System.AggregateException 예외 발생
11102정성태11/8/201619283오류 유형: 369. PeerFinder.FindAllPeersAsync 호출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
11101정성태11/8/201622044.NET Framework: 621. 닷넷 프로파일러의 오류 코드 - 0x80131363
11100정성태11/7/201628860개발 환경 구성: 304. Wi-Fi Direct 지원 여부 확인 방법 [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