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707. 빌드한 Unity3D 프로그램을 C++ Windows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81

개발 환경 구성: 708. Unity3D - C# Windows Forms / WPF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84

닷넷: 2232. C# - Unity + 닷넷 App(WinForms/WPF) 간의 Named Pipe 통신
; https://www.sysnet.pe.kr/2/0/13588




빌드한 Unity3D 프로그램을 C++ Windows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Unity에서 (간단한 프로젝트를 만들어) Windows 대상으로 빌드하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가진 출력물이 나옵니다.

C:\temp\unity> tree /F
...[생략]...
│   My project.exe
│   UnityCrashHandler64.exe
│   UnityPlayer.dll
├───MonoBleedingEdge
│   ├───EmbedRuntime
│   └───etc
│       └───mono
│           ├───2.0
│           │   └───Browsers
│           ├───4.0
│           │   └───Browsers
│           ├───4.5
│           │   └───Browsers
│           └───mconfig
└───My project_Data
    ├───Managed
    └───Resources

루트에 보면 "My project.exe"와 "UnityPlayer.dll"이 있는데, 그중에서 dll의 export 함수를 조사해 보면,

c:\temp\unity> dumpbin /EXPORTS UnityPlayer.dll
Microsoft (R) COFF/PE Dumper Version 14.35.32217.1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Dump of file UnityPlayer.dll

File Type: DLL

  Section contains the following exports for UnityPlayer.dll

    00000000 characteristics
    FFFFFFFF time date stamp
        0.00 version
           1 ordinal base
           1 number of functions
           1 number of names

    ordinal hint RVA      name

          1    0 007FBE20 UnityMain

  Summary

      126000 .data
      10E000 .pdata
      390000 .rdata
       1E000 .reloc
        1000 .rodata
        1000 .rsrc
     1832000 .text
       11000 _RDATA

단 하나의 UnityMain 함수가 보입니다. 검색해 보면, 다음과 같이 Unity 측에서 공식 사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Using Unity as a Library in other applications
; https://docs.unity3d.com/2021.3/Documentation/Manual/UnityasaLibrary.html

Integrating Unity into Windows applications
; https://docs.unity3d.com/2021.3/Documentation/Manual/UnityasaLibrary-Windows.html

방법은 2가지인데, 1) 유니티를 자식 프로세스로 실행(위의 예제의 경우 "My Project.exe"를 실행)하면서 명령행에 현재 프로세스가 소유한 윈도우 핸들을 "-parentHWND" 인자로 넘겨줘 유니티로 하여금 (마치 Internet Explorer의 LCIE처럼) 그 윈도우에 출력을 하도록 만드는 방법과, 2) "UnityPlayer.dll"을 직접 로드해 UnityMain 함수를 호출하면서,

extern "C" UNITY_API int UnityMain(HINSTANCE hInstance, HINSTANCE hPrevInstance, LPWSTR lpCmdLine, int nShowCmd);

마찬가지로 lpCmdLine 인자에 활성화시킬 부모 윈도우의 핸들 값을 넘기는 것입니다. 오호~~~ 생각보다 간단하군요. ^^

자, 그렇다면 직접 해볼까요?

우선, C++ Desktop Window Application을 간단하게 하나 만들고, WM_KEYDOWN 이벤트에서 F2 키를 누르면 UnityPlayer.dll을 로드해 UnityMain 함수를 실행하는 코드를 다음과 같이 넣어보겠습니다.

...[생략]...

    case WM_KEYDOWN:
    {
        if (wParam == VK_F2)
        {
            HMODULE hModule = ::LoadLibrary(L"C:\\temp\\unity\\UnityPlayer.dll");
            UnityMainFuncPtr unityMainFunc = (UnityMainFuncPtr)::GetProcAddress(hModule, "UnityMain");
            if (unityMainFunc == nullptr)
            {
                return DefWindowProc(hWnd, message, wParam, lParam);
            }

            wchar_t buffer[1024] = { 0 };
            wsprintf(buffer, L"-parentHWND %I64u", (__int64)hWnd);

            unityMainFunc(hInst, nullptr, buffer, SW_SHOWDEFAULT);
        }
    }

...[생략]...

실행해 보면, 이런 오류 메시지 창이 뜨는데요,

Data folder not found

Application folder:
C:/unity/ConsoleApplication1/x64/Debug
There should be 'WindowsProject1_Data'
folder next to the executable

2가지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1. UnityPlayer.dll이 아닌, C++ 프로젝트의 EXE 빌드 위치를 기준으로 실행
  2. Unity 데이터를 찾는 디렉터리 이름이 "[EXE 실행 파일 이름]_Data"로 고정

따라서, 위의 실습을 제대로 하려면 C++ 프로젝트의 빌드 결과를 Unity 빌드 디렉터리(이 글의 예제에서는 "C:\temp\unity")로 맞춰야 하고, 실행 파일명도 "WindowsProject1"이 아닌 "My Project.exe"로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속성 창을 이용하거나, vcxproj의 내용을 편집해 아래와 같이 맞춰주시면 됩니다.

...[생략]...
  <PropertyGroup>
    <OutDir>C:\temp\unity</OutDir>
    <TargetName>My Project</TargetName>
  </PropertyGroup>
...[생략]...

자, 이제 다시 실행해서 F2 키를 누르면 ^^ 다음과 같이 우리가 만든 Window 프레임의 자식으로 Unity가 활성화됩니다.

unity_embed_cpp_1.png




일단 UnityMain 함수를 실행하면, 이후 해당 스레드는 블록킹됩니다. 즉, 아래와 같이 코딩한 경우,

unityMainFunc(hInst, nullptr, buffer, SW_SHOWDEFAULT); // 이 함수에서 제어를 반환하지 않음!
::OutputDebugString(L"UnityMain called\n");

디버깅 콘솔에 "UnityMain called" 메시지는 볼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실적인 상황에서는 별도의 스레드를 생성해 호출하게 될 것입니다.

...[생략]...
case WM_KEYDOWN:
{
    if (wParam == VK_F2)
    {
        std::thread t([&]() 
            {
                //...[생략]...

                wchar_t buffer[1024] = { 0 };
                wsprintf(buffer, L"-parentHWND %I64u", (__int64)hWnd);

                int result = unityMainFunc(hInst, nullptr, buffer, SW_SHOWDEFAULT);
            });

        t.detach();
    }
}
...[생략]...

그리고 이유는 알 수 없지만, Visual Studio 디버깅 중에는 위와 같이 Unity를 호스팅하는 경우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면 unityMainFunc를 벗어나자마자 AV(Access violation) 예외가 발생합니다.

unityMainFunc(hInst, nullptr, buffer, SW_SHOWDEFAULT);
::OutputDebugString(L"UnityMainFunc called\n");

Exception thrown at 0x0000000000000000 in My Project.exe: 0xC0000005: Access violation executing location 0x0000000000000000.

디버깅에만 나오는 것이므로 무시할 수는 있지만, ... 개발 중에는 상당히 신경이 쓰이는군요. ^^; 이때의 호출 스택을 보면,

    0000000000000000()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efd6cbe()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f085490()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f661e60()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f6605be()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eba7917()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ee17ef8()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f05bbea()  Unknown No symbols loaded.
    UnityPlayer.dll!00007ffcff05be2b()  Unknown No symbols loaded.
>    My Project.exe!WndProc::__l11::<lambda_1>::operator()() Line 180  C++ Symbols loaded.
    My Project.exe!std::invoke<`WndProc'::`11'::<lambda_1>>(WndProc::__l11::<lambda_1> && _Obj) Line 1753 C++ Non-user code. Symbols loaded.
    My Project.exe!std::thread::_Invoke<std::tuple<`WndProc'::`11'::<lambda_1>>,0>(void * _RawVals) Line 56   C++ Non-user code. Symbols loaded.
    ucrtbased.dll!thread_start<unsigned int (__cdecl*)(void *),1>(void * const parameter) Line 97 C++ Non-user code. Symbols loaded.
    kernel32.dll!BaseThreadInitThunk()  Unknown Non-user code. Symbols loaded without source information.
    ntdll.dll!RtlUserThreadStart()  Unknown Non-user code. Symbols loaded without source information.

UnityPlayer.dll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x64라서 상관없겠지만) 호출 규약이 틀어져 발생하는 것도 아니라 더 해볼 것이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정확한 재현 규칙은 알 수 없지만 UnityMain을 부를 때 이런 예외가 발생할 때가 있습니다.

Fatal error
Failed to create window

위의 오류는 "-parentHWND"로 전달한 인자가 잘못된 값이거나 형식일 때 발생하는데요, 간혹 정확한 값을 전달했는데도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56정성태9/23/201427497기타: 48. NVidia 제품의 과다한 디스크 사용 [2]
1755정성태9/22/201434281오류 유형: 241. Unity Web Player를 설치해도 여전히 설치하라는 화면이 나오는 경우 [4]
1754정성태9/22/201424687VC++: 80. 내 컴퓨터에서 C++ AMP 코드가 실행이 될까요? [1]
1753정성태9/22/201420624오류 유형: 240. Lync로 세미나 참여 시 소리만 들리지 않는 경우 [1]
1752정성태9/21/201441073Windows: 100. 윈도우 8 - RDP 연결을 이용해 VNC처럼 사용자 로그온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 [5]
1751정성태9/20/201438964.NET Framework: 464. 프로세스 간 통신 시 소켓 필요 없이 간단하게 Pipe를 열어 통신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50정성태9/20/201423839.NET Framework: 463. PInvoke 호출을 이용한 비동기 파일 작업파일 다운로드1
1749정성태9/20/201423739.NET Framework: 462. 커널 객체를 위한 null DACL 생성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48정성태9/19/201425391개발 환경 구성: 238. [Synergy] 여러 컴퓨터에서 키보드, 마우스 공유
1747정성태9/19/201428522오류 유형: 239. psexec 실행 오류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746정성태9/18/201426110.NET Framework: 461. .NET EXE 파일을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을까요? - 두 번째 이야기 [6]파일 다운로드1
1745정성태9/17/201423045개발 환경 구성: 237. 리눅스 Integration Services 버전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1]
1744정성태9/17/201431070.NET Framework: 460. GetTickCount / GetTickCount64와 0x7FFE0000 주솟값 [4]파일 다운로드1
1743정성태9/16/201420986오류 유형: 238. 설치 오류 - Failed to get size of pseudo bundle
1742정성태8/27/201426986개발 환경 구성: 236.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2]
1741정성태8/26/201421339.NET Framework: 459. GetModuleHandleEx로 알아보는 .NET 메서드의 DLL 모듈 관계파일 다운로드1
1740정성태8/25/201432528.NET Framework: 458. 닷넷 GC가 순환 참조를 해제할 수 있을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739정성태8/24/201426577.NET Framework: 457. 교착상태(Dead-lock) 해결 방법 - Lock Leveling [2]파일 다운로드1
1738정성태8/23/201422069.NET Framework: 456. C# - CAS를 이용한 Lock 래퍼 클래스파일 다운로드1
1737정성태8/20/201419775VS.NET IDE: 93. Visual Studio 2013 동기화 문제
1736정성태8/19/201425597VC++: 79. [부연] CAS Lock 알고리즘은 과연 빠른가? [2]파일 다운로드1
1735정성태8/19/201418274.NET Framework: 455.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 두 번째 이야기
1734정성태8/13/201419939오류 유형: 237. Windows Media Player cannot access the file. The file might be in use, you might not have access to the computer where the file is stored, or your proxy settings might not be correct.
1733정성태8/13/201426367.NET Framework: 454. EmptyWorkingSet Win32 API를 사용하는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732정성태8/13/201434489Windows: 99. INetCache 폴더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
1731정성태8/11/201427089개발 환경 구성: 235.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명을 탐색기에서 만드는 방법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