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246. C# - Python.NET을 이용한 파이썬 소스코드 연동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00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스크립트: 11. 파이썬(Python) 윈도우 개발 환경
; https://www.sysnet.pe.kr/2/0/1343

닷넷: 2245. C# - IronPython을 이용한 파이썬 소스코드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603

닷넷: 2246. C# - Python.NET을 이용한 파이썬 소스코드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605

닷넷: 2255. C# 배열을 Numpy ndarray 배열과 상호 변환
; https://www.sysnet.pe.kr/2/0/13615




C# - Python.NET을 이용한 파이썬 소스코드 연동

지난 글에 소개한,

C# - IronPython을 이용한 파이썬 소스코드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603

IronPython의 느린 업데이트 속도에 실망했다면, 그에 대한 좋은 대안으로 Python.NET이 있습니다. 이것도 간단하게 패키지를 참조 추가하면 되지만,

Install-Package pythonnet 

// 문서
// https://pythonnet.github.io/pythonnet/
// https://github.com/pythonnet/pythonnet/wiki

외부 Python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컬에 "Windows embeddable package (64-bit)" 유형으로 Python 3.12를 "C:\Python312" 경로에 압축을 풀었다고 가정했을 때 다음과 같이 C#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ing Python.Runtime;

namespace ConsoleApp2;

// 에제 코드: https://github.com/pythonnet/pythonnet?tab=readme-ov-file#example
internal class Program
{
    // Install-Package pythonnet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Runtime.PythonDLL = @"C:\Python312\python312.dll"; // 혹은 PYTHONNET_PYDLL 환경변수에 경로 설정

        PythonEngine.Initialize();

        using (_ = Py.GIL()) // Py.GIL 개체가 Dispose 하기 전에만 파이썬 연동 가능
        {
            dynamic np = Py.Import("numpy");
            Console.WriteLine(np.cos(np.pi * 2));

            dynamic sin = np.sin;
            Console.WriteLine(sin(5));

            double c = (double)(np.cos(5) + sin(5));
            Console.WriteLine(c);

            dynamic a = np.array(new List<float> { 1, 2, 3 });
            Console.WriteLine(a.dtype);

            dynamic b = np.array(new List<float> { 6, 5, 4 }, dtype: np.int32);
            Console.WriteLine(b.dtype);

            Console.WriteLine(a * b);
        }

        PythonEngine.Shutdown();
    }
}

마지막의 "PythonEngine.Shutdown();" 코드는 공식 예제에 빠져 있는데, 그래도 저렇게 넣으면 이런 예외가 발생할 것입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NotSupportedException: BinaryFormatter serialization and deserialization are disabled within this application. See https://aka.ms/binaryformatter for more information.
   at System.Runtime.Serialization.Formatters.Binary.BinaryFormatter.Serialize(Stream serializationStream, Object graph)
   at Python.Runtime.RuntimeData.Stash()
   at Python.Runtime.Runtime.Shutdown()
   at Python.Runtime.PythonEngine.Shutdown()
   at ConsoleApp2.Program.Main(String[] args)

이 문제는 csproj에 EnableUnsafeBinaryFormatterSerialization 설정을 추가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8.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EnableUnsafeBinaryFormatterSerialization>true</EnableUnsafeBinaryFormatterSerialization>
    </PropertyGroup>

    <ItemGroup>
        <PackageReference Include="pythonnet" Version="3.0.3" />
    </ItemGroup>

</Project>




참고로, "Windows embeddable package" 패키지의 특성상, 기본적으로는 위의 코드를 실행하는 경우 "numpy" 패키지가 설치돼 있지 않으므로 "Unhandled exception. Python.Runtime.PythonException: No module named 'numpy'" 예외가 발생할 것입니다.

파이썬 - "Windows embeddable package"로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61

따라서, get-pip.py를 이용해 우선 pip 패키지를 설치하고,

C:\Python312> curl https://bootstrap.pypa.io/get-pip.py -o get-pip.py

C:\Python312> python get-pip.py

python312._pth 파일에 "Lib\site-packages" 경로를 추가한 다음,

C:\Python312> type python312._pth

python312.zip
.
Lib\site-packages
# Uncomment to run site.main() automatically
#import site

numpy 패키지를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

C:\Python312> python -m pip install numpy

이후 다시 C# 예제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를 보게 될 것입니다. ^^

1.0
-0.9589242746631385
-0.6752620891999122
float64
int32
[ 6. 10. 12.]




위의 예제에서는 Py.Import를 통해 모듈을 로딩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지만, 지난 IronPython의 예제처럼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식으로도 가능합니다.

PythonEngine.Initialize();
using (_ = Py.GIL())
{
    if (true) {
        Console.WriteLine($"Process ID: {Environment.ProcessId}");

        string script = File.ReadAllText("test.py");

        var locals = new PyDict();
        PythonEngine.Exec(script, null, locals);

        dynamic greetings = locals.GetItem("greetings");
        Console.WriteLine(greetings("TEST"));
    }
}

/* 실행 결과
Process ID: 60508
60508: Hello TEST!
*/

게다가, Process ID가 같다는 점에서 In-process로 실행된다는 것도 마음에 듭니다. ^^

참고로, Py.Import에 파일 경로를 사용해 test.py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에 대해 아래의 글에 예제 코드가 있는데요,

Python.Net - How to run python script from file(.Py)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0401765/python-net-how-to-run-python-script-from-file-py

위의 코드에 따라, C# 프로젝트에 포함한 test.py는 이렇게 실행할 수 있습니다.

PythonEngine.Initialize();
using (_ = Py.GIL())
{
    dynamic sys = Py.Import("sys");
    string dirPath = Path.GetDirectoryName(typeof(Program).Assembly.Location) ?? Environment.CurrentDirectory;
    sys.path.append(dirPath); // test.py 모듈을 찾을 수 있도록 sys.path에 디렉터리를 추가

    var pyFile = Py.Import(Path.GetFileNameWithoutExtension("test"));

    PyObject arg = "test".ToPython();
    Console.WriteLine(pyFile.InvokeMethod("greetings", arg));
}




어찌 보면, Python.NET은 이전의 IronPython에 비해 외부 파이썬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탐탁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차피 2가지 모두 (현실적인 이유로) site-packages 디렉터리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외부 파일에 대한 의존성을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결국 IronPython과 동일하게 Python.NET도 CopyToOutputDirectory를 다음과 같이 포함하도록 구성하면 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8.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EnableUnsafeBinaryFormatterSerialization>true</EnableUnsafeBinaryFormatterSerialization>
    </PropertyGroup>

    <ItemGroup>
        <PackageReference Include="pythonnet" Version="3.0.3" />
    </ItemGroup>

    <ItemGroup>
        <Content Include="C:\Python312\**">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Content>
    </ItemGroup>

    <ItemGroup>
      <None Update="test.py">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None>
    </ItemGroup>

</Project>

단지, 위와 같이 하면 닷넷 출력 디렉터리에 "C:\Python312"에 있는 파일들이 모두 같은 레벨에 출력되므로 파일 관리가 어지럽게 됩니다. 따라서, 외부 파이썬의 루트를 C:\Python312\python"으로 한 단계 낮춰서 잡으면, C# 프로젝트를 빌드할 때 다음과 같이 되므로 관리가 더 편해질 것입니다.

pythonnet_interop_1.png

아울러, Runtime.PythonDLL 경로도 변경해 주시고.

Runtime.PythonDLL = @".\python\python312.dll";

PythonEngine.Initialize();
// ...[생략]...

어차피 출력 디렉터리에 파이썬을 포함시켰으니, 저대로 패키징만 하면 (용량이 좀 커질 뿐) XCopy 형식의 배포도 가능하므로 딱히 더 문제 될 것도 없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정리하면, IronPython에 비해 Python.NET이 약간의 의존성 디렉터리 용량만 좀 더 커진 정도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아마도 저더러 IronPython과 Python.NET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현재의 상태에서는 당연히 Python.NET을 선택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4/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3정성태6/26/201227406개발 환경 구성: 152. sysnet DB를 SQL Azure 데이터베이스로 마이그레이션
1302정성태6/25/201229475개발 환경 구성: 151. Azure 웹 사이트에 사용자 도메인 네임 연결하는 방법
1301정성태6/20/201225767오류 유형: 156. KB2667402 윈도우 업데이트 실패 및 마이크로소프트 Answers 웹 사이트 대응
1300정성태6/20/201231792.NET Framework: 329. C# - Rabin-Miller 소수 생성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1]파일 다운로드2
1299정성태6/18/201232901제니퍼 .NET: 21. 제니퍼 닷넷 - Ninject DI 프레임워크의 성능 분석 [2]파일 다운로드2
1298정성태6/14/201234415VS.NET IDE: 72. Visual Studio에서 pfx 파일로 서명한 경우, 암호는 어디에 저장될까? [2]
1297정성태6/12/201231059VC++: 63. 다른 프로세스에 환경 변수 설정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96정성태6/5/201227705.NET Framework: 328. 해당 DLL이 Managed인지 / Unmanaged인지 확인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4]파일 다운로드1
1295정성태6/5/201225088.NET Framework: 327. RSAParameters와 System.Numerics.BigInteger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94정성태5/27/201248551.NET Framework: 326. 유니코드와 한글 - 유니코드와 닷넷을 이용한 한글 처리 [7]파일 다운로드2
1293정성태5/24/201229777.NET Framework: 325. System.Drawing.Bitmap 데이터를 Parallel.For로 처리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92정성태5/24/201223758.NET Framework: 324. First-chance exception에 대해 조건에 따라 디버거가 멈추게 할 수는 없을까? [1]파일 다운로드1
1291정성태5/23/201230289VC++: 62. 배열 초기화를 위한 기계어 코드 확인 [2]
1290정성태5/18/201235085.NET Framework: 323.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작업을 COM+에 대행 [7]파일 다운로드1
1289정성태5/17/201239243.NET Framework: 322. regsvcs.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5]파일 다운로드2
1288정성태5/17/201226468.NET Framework: 321. regasm.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3) - Type Library파일 다운로드1
1287정성태5/17/201229305.NET Framework: 320. regasm.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2) - .NET 4.0 + .NET 2.0 [2]
1286정성태5/17/201238243.NET Framework: 319. regasm.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 (1) - .NET 2.0 + x86/x64/AnyCPU [5]
1285정성태5/16/201233272.NET Framework: 318. gacutil.exe로 어셈블리 등록 시 시스템 변경 사항파일 다운로드1
1284정성태5/15/201225706오류 유형: 155. Windows Phone 연결 상태에서 DRIVER POWER STATE FAILURE 블루 스크린 뜨는 현상
1283정성태5/12/201233320.NET Framework: 317. C# 관점에서의 Observer 패턴 구현 [1]파일 다운로드1
1282정성태5/12/201226114Phone: 6. Windows Phone 7 Silverlight에서 Google Map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281정성태5/9/201233198.NET Framework: 316. WPF/Silverlight의 그래픽 단위와 Anti-aliasing 처리를 이해하자 [1]파일 다운로드1
1280정성태5/9/201226163오류 유형: 154. Could not load type 'System.ServiceModel.Activation.HttpModule' from assembly 'System.ServiceModel, ...'.
1279정성태5/9/201224919.NET Framework: 315. 해당 DLL이 Managed인지 / Unmanaged인지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78정성태5/8/201226151오류 유형: 153. Visual Studio 디버깅 - Unable to break execution. This process is not currently executing the type of code that you selected to debug.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