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902. Visual Studio - error MSB3021: Unable to copy file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70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 error MSB3021: Unable to copy file

Visual Studio에서 csproj의 ItemGroup/Content를 이용한 파일 복사를 하다 보면,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8.0</TargetFramework>
        <ImplicitUsings>enable</ImplicitUsings>
        <Nullable>enable</Nullable>
    </PropertyGroup>

    <ItemGroup>
        <PackageReference Include="IronPython" Version="3.4.1" />
        <PackageReference Include="IronPython.StdLib" Version="3.4.1" />
    </ItemGroup>

    <ItemGroup>
        <Content Include="C:\Python310\**">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Content>
    </ItemGroup>

    <ItemGroup>
        <None Update="test.py">
            <CopyToOutputDirectory>PreserveNewest</CopyToOutputDirectory>
        </None>
    </ItemGroup>

</Project>

경우에 따라 이런 복사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Enterprise\MSBuild\Current\Bin\amd64\Microsoft.Common.CurrentVersion.targets(5254,5): error MSB3021: Unable to copy file "C:\Python312\tensorflow\python\Lib\site-packages\tensorflow\include\tensorflow\compiler\xla\mlir_hlo\_virtual_includes\shape_component_analysis\mhlo\analysis\shape_component_analysis.h" to "bin\Debug\net8.0\python\Lib\site-packages\tensorflow\include\tensorflow\compiler\xla\mlir_hlo\_virtual_includes\shape_component_analysis\mhlo\analysis\shape_component_analysis.h".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bin\Debug\net8.0\python\Lib\site-packages\tensorflow\include\tensorflow\compiler\xla\mlir_hlo\_virtual_includes\shape_component_analysis\mhlo\analysis\shape_component_analysis.h'.


메시지에 포함된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문구가 다소 혼란스러운데요, 물론 경로를 찾지 못한 상황에서도 발생할 수 있겠지만 위와 같은 경우에는 경로가 너무 길어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재미있는 건, 해당 문제는 비주얼 스튜디오와 MSBuild로 빌드할 때만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반면 dotnet으로 직접 빌드하면 오류 없이 잘 복사가 됩니다. ^^;

이상하군요, 원래 dotnet은 내부적으로 MSBuild를 호출하는 것으로 아는데... 어쨌든, 현상이 저렇게 나옵니다.




만약 명령행으로 빌드하는 경우라면, 그냥 msbuild에서 dotnet으로 변경하면 되겠지만 문제는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빌드 시 저런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입니다.

이런 경우 문제 해결이 아닌, 우회 해법으로 그냥 경로가 너무 길지 않도록 OutputPath를 지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 생략 -->

    <PropertyGroup Condition="'$(Configuration)' == 'Debug'">
        <OutputPath>c:\temp\Console</OutputPath>
    </PropertyGroup>
</Project>

msbuild ConsoleApp3.csproj -p:Configuration=Debug

또는, Windows 10 이상의 운영체제라면 깔끔하게 레지스트리 설정을 통해 제약을 없앨 수 있습니다.

Enable Long Paths in Windows 10, Version 1607, and Later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fileio/maximum-file-path-limitation?tabs=registry
; https://www.backupery.com/how-to-enable-ntfs-long-paths-in-windows/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FileSystem]
"LongPathsEnabled"=dword:00000001

(과거 버전은 어땠는지 모르겠지만) 현재의 Windows 11 환경에서는 재부팅 필요 없이 바로 반영돼 오류 없이 빌드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3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05정성태8/4/20249563닷넷: 2291. C# 13 - (5) params 인자 타입으로 컬렉션 허용 [2]파일 다운로드1
13704정성태8/2/202410951닷넷: 2290. C# - 간이 dotnet-dump 프로그램 만들기파일 다운로드1
13703정성태8/1/20248906닷넷: 2289. "dotnet-dump ps" 명령어가 닷넷 프로세스를 찾는 방법
13702정성태7/31/202410138닷넷: 2288. Collection 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정의 타입을 CollectionBuilder 특성으로 성능 보완파일 다운로드1
13701정성태7/30/202410643닷넷: 2287. C# 13 - (4) Indexer를 이용한 개체 초기화 구문에서 System.Index 연산자 허용파일 다운로드1
13700정성태7/29/202410818디버깅 기술: 200. DLL Export/Import의 Hint 의미
13699정성태7/27/202410639닷넷: 2286. C# 13 - (3) Monitor를 대체할 Lock 타입파일 다운로드1
13698정성태7/27/202410285닷넷: 2285. C# - async 메서드에서의 System.Threading.Lock 잠금 처리파일 다운로드1
13697정성태7/26/20249215닷넷: 2284. C# - async 메서드에서의 lock/Monitor.Enter/Exit 잠금 처리파일 다운로드1
13696정성태7/26/20249294오류 유형: 920. dotnet publish - error NETSDK1047: Assets file '...\obj\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
13695정성태7/25/20249590닷넷: 2283. C# - Lock / Wait 상태에서도 STA COM 메서드 호출 처리파일 다운로드1
13694정성태7/25/20249641닷넷: 2282. C# - ASP.NET Core Web App의 Request 용량 상한값 (Kestrel, IIS)
13693정성태7/24/20248808개발 환경 구성: 717. Visual Studio - C# 프로젝트에서 레지스트리에 등록하지 않은 COM 개체 참조 및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92정성태7/24/202410245디버깅 기술: 199. Windbg - 리눅스에서 뜬 닷넷 응용 프로그램 덤프 파일에 포함된 DLL의 Export Directory 탐색
13691정성태7/23/20249024디버깅 기술: 198. Windbg - 스레드의 Win32 Message Queue 정보 조회
13690정성태7/23/20248336오류 유형: 919. Visual C++ 리눅스 프로젝트 - error : ‘u8’ was not declared in this scope
13689정성태7/22/202411228디버깅 기술: 197. Windbg - PE 포맷의 Export Directory 탐색
13688정성태7/21/20249229닷넷: 2281. C# - Lock / Wait 상태에서도 일부 Win32 메시지 처리파일 다운로드1
13687정성태7/19/202410494닷넷: 2280. C# - PostThreadMessage로 보낸 메시지를 Windows Forms에서 수신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86정성태7/19/20249917오류 유형: 918. Visual Studio - ATL Simple Object 추가 시 error C2065: 'IDR_...': undeclared identifier
13685정성태7/19/20249542스크립트: 66. Windows 디렉터리 경로를 WSL의 /mnt 포맷으로 구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684정성태7/19/202410506닷넷: 2279. C# - 문자열 보간식 사례 (예: 조건 연산자 사용)
13683정성태7/18/20249239오류 유형: 917. ClrMD - Linux 환경의 .NET 5 덤프 분석 시 hang 현상
13682정성태7/18/20249530닷넷: 2278. WPF - 스레드에 종속되는 DependencyObject파일 다운로드1
13681정성태7/17/20248828닷넷: 2277. C# 13 - (2) 메서드 그룹의 자연 타입 개선 (메서드 추론 개선)파일 다운로드1
13680정성태7/16/202410722닷넷: 2276. C# - Method Group, Natural Type, function_type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