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Linux: 69. 리눅스 - "Docker Desktop for Windows" Container 환경에서 IPv6 Loopback Address 바인딩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3540

개발 환경 구성: 705. "Docker Desktop for Windows" -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소켓 주소 바인딩(IPv4/IPv6 loopback, Any)
; https://www.sysnet.pe.kr/2/0/13548

개발 환경 구성: 706. C# - 컨테이너에서 실행하기 위한 (소켓) 콘솔 프로젝트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3549

닷넷: 2226. C# - "Docker Desktop for Windows" Container 환경에서의 IPv6 DualMode 소켓
; https://www.sysnet.pe.kr/2/0/13574

닷넷: 2256. ASP.NET Core 웹 사이트의 HTTP/HTTPS + Dual mode Socket (IPv4/IPv6) 지원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616




ASP.NET Core 웹 사이트의 HTTP/HTTPS + Dual mode Socket (IPv4/IPv6) 지원 방법

ASP.NET Core 웹 사이트를 HTTPS + "localhost"로 바인딩하는 상태에서 실행하면,

c:\temp> netstat -ano | findstr 7252
  TCP    127.0.0.1:7252         0.0.0.0:0              LISTENING       50348
  TCP    [::1]:7252             [::]:0                 LISTENING       50348

c:\temp> netstat -ano | findstr 5001
  TCP    127.0.0.1:5001         0.0.0.0:0              LISTENING       50348
  TCP    [::1]:5001             [::]:0                 LISTENING       50348

윈도우의 경우 저렇게 IPv4, IPv6 모두에서 "127.0.0.1", "::1"로 바인딩이 됩니다.

http://127.0.0.1:5001
https://127.0.0.1:7252

http://[::1]:5001
https://[::1]:7252

그런데 리눅스는 다릅니다. 간단하게 WSL + Ubuntu에서 동일한 예제를 실행해 보면,

c:\temp> dotnet publish --os linux --arch x64 -c Release -o c:\temp\testapp

$ cd /mnt/c/temp/testapp

$ dotnet WebApplication1.dll

HTTPS 바인딩은 아예 없고, HTTP의 경우 127.0.0.1과 ::1로 바인딩이 됩니다.

$ netstat -ano | grep 5000
tcp        0      0 127.0.0.1:5000          0.0.0.0:*               LISTEN      off (0.00/0/0)
tcp6       0      0 ::1:5000                :::*                    LISTEN      off (0.00/0/0)

$ curl http://127.0.0.1:5000
$ curl http://[::1]:5000

사실 당연합니다. 윈도우와는 달리 리눅스에는 "ASP.NET Core HTTPS development certificate" 테스트 인증서가 등록돼 있지 않기 때문에 HTTPS 바인딩은 하지 못합니다.




그럼, 명시적으로 인증서를 지정해 통신하면 어떻게 될까요? 이를 위해 (테스트의 편의상) PFX를 적용한 웹 사이트에서 다음과 같이 코딩해 실행하면,

namespace WebApplication1
{
    public class Program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var builder = WebApplication.CreateBuilder(args);

            builder.WebHost.ConfigureKestrel(options =>
            {
                options.Listen(IPAddress.IPv6Any, 5001);
                options.Listen(IPAddress.IPv6Any, 7252, listenOptions =>
                {
                    listenOptions.UseHttps("test_site_cert.pfx", "testtest");
                });
            });

            // ...[생략]...

            app.Run();
        }
    }
}

저렇게 IPv6Any로 하면 Dual Mode 소켓이 적용돼 다음과 같이 IPv4, IPv6 모두에 바인딩을 시킵니다.

c:\temp> netstat -ano | findstr "5001 7252" | findstr LISTEN
  TCP    0.0.0.0:5001           0.0.0.0:0              LISTENING       39124
  TCP    0.0.0.0:7252           0.0.0.0:0              LISTENING       39124
  TCP    [::]:5001              [::]:0                 LISTENING       39124
  TCP    [::]:7252              [::]:0                 LISTENING       39124

반면, 이것을 리눅스에서 실행하면, IPv6로만 바인딩하는 듯하지만,

$ netstat -ano | grep -e "5001" -e "7252"
tcp6       0      0 :::7252                 :::*                    LISTEN      off (0.00/0/0)
tcp6       0      0 :::5001                 :::*                    LISTEN      off (0.00/0/0)

$ curl https://[::1]:7252 --insecure
$ curl http://[::1]:5001 -L --insecure

// curl 옵션
// -L, --location      Follow redirects

IPv4 주소 역시 지원합니다.

$ curl https://[::1]:7252 --insecure
$ curl http://127.0.0.1:5001 -L --insecure

리눅스의 경우 "bindv6only 옵션" 값이 0이라면 저렇게 Dual mode 소켓을 지원합니다.

$  cat /proc/sys/net/ipv6/bindv6only
0

참고로, 위의 IPv4 주소 호출을 WSL 내에서가 아닌 윈도우 호스트 측에서 테스트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3/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82정성태3/19/20241956Windows: 260. CPU 사용률을 나타내는 2가지 수치 - 사용량(Usage)과 활용률(Utilization)파일 다운로드1
13581정성태3/18/20242080개발 환경 구성: 707. 빌드한 Unity3D 프로그램을 C++ Windows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13580정성태3/15/20241563닷넷: 2231. C# - ReceiveTimeout, SendTimeout이 적용되지 않는 Socket await 비동기 호출파일 다운로드1
13579정성태3/13/20241966오류 유형: 899. HTTP Error 500.32 - ANCM Failed to Load dll
13578정성태3/11/20242191닷넷: 2230. C# - 덮어쓰기 가능한 환형 큐 (Circular queue)파일 다운로드1
13577정성태3/9/20242500닷넷: 2229. C# - 닷넷을 위한 난독화 도구 소개 (예: ConfuserEx)
13576정성태3/8/20241948닷넷: 2228. .NET Profiler - IMetaDataEmit2::DefineMethodSpec 사용법
13575정성태3/7/20242125닷넷: 2227. 최신 C# 문법을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 쓸 수 있을까요?
13574정성태3/6/20242016닷넷: 2226. C# - "Docker Desktop for Windows" Container 환경에서의 IPv6 DualMode 소켓
13573정성태3/5/20241913닷넷: 2225. Windbg - dumasync로 분석하는 async/await 호출
13572정성태3/4/20241948닷넷: 2224. C# - WPF의 Dispatcher Queue로 알아보는 await 호출의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1
13571정성태3/1/20241989닷넷: 2223. C# - await 호출과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파일 다운로드1
13570정성태2/29/20241946닷넷: 2222. C# -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파일 다운로드1
13569정성태2/28/20241868닷넷: 2221. C# - LoadContext, LoadFromContext 그리고 GAC파일 다운로드1
13568정성태2/27/20241971닷넷: 2220. C# - .NET Framework 프로세스의 LoaderOptimization 설정을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67정성태2/27/20241928오류 유형: 898. .NET Framework 3.5 이하에서 mscoree.tlb 참조 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13566정성태2/27/20241995오류 유형: 897. Windows 7 SDK 설치 시 ".NET Development" 옵션이 비활성으로 선택이 안 되는 경우
13565정성태2/23/20241873닷넷: 2219.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개별 System.Security.Permissions 제어
13564정성태2/22/20242100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13563정성태2/21/20242067디버깅 기술: 196. windbg - async/await 비동기인 경우 메모리 덤프 분석의 어려움
13562정성태2/21/20242065오류 유형: 896. ASP.NET - .NET Framework 기본 예제에서 System.Web에 대한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예외 발생
13561정성태2/20/20242173닷넷: 2218. C# - (예를 들어, Socket) 비동기 I/O에 대한 await 호출 시 CancellationToken을 이용한 취소파일 다운로드1
13560정성태2/19/20242191디버깅 기술: 195. windbg 분석 사례 - Semaphore 잠금으로 인한 Hang 현상 (닷넷)
13559정성태2/19/20243052오류 유형: 895. ASP.NET - System.Security.SecurityException: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13558정성태2/18/20242273닷넷: 2217. C# - 최댓값이 1인 SemaphoreSlim 보다 Mutex 또는 lock(obj)를 선택하는 것이 나은 이유
13557정성태2/18/20242081Windows: 258. Task Scheduler의 Author 속성 값을 변경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