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NET COM+ 를 Managed/Native 클라이언트에서 각각 호출했을 때의 콜 스택 비교


우선, 테스트 환경을 구성해 볼까요? ^^

C#으로 서버 유형의 COM+ 코드를 다음과 같이 만들어 줍니다.

[GuidAttribute("0C0445BE-A12E-4DE4-A022-156EF491989D")]
[ClassInterface(ClassInterfaceType.AutoDual)]
public class MyClass : System.EnterpriseServices.ServicedComponent
{
    public object DoIt()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Environment.StackTrace);
        return "test";
    }
}

[assembly: ApplicationAccessControl(false)]
[assembly: ApplicationActivation(ActivationOption.Server)]
[assembly: ApplicationName("TestRDS")]
[assembly: ApplicationID("727FC170-1D80-4e89-84CC-22AAB10A6F24")]
[assembly: ComVisible(true)]

그리고, C# 으로 해당 COM+ 를 호출하는 코드를 (관리자 권한으로) 불러주면,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estCOMObj.MyClass mc = new TestCOMObj.MyClass();
        Console.WriteLine(mc.DoIt());
    }
}

COM+ 구성요소 서비스에 새롭게 COM+ 응용 프로그램이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자, 이제 Visual Studio 의 "Attach to process..." 기능을 이용해서 실행 중인 COM+ exe 개체에 디버거를 연결한 후, DoIt 메서드에 중단점을 잡고 C# 클라이언트를 다시 호출해 주면 다음과 같은 콜 스택이 확인됩니다.

TestCOMObj.dll!TestCOMObj.MyClass.DoIt() Line 18    C#
[Native to Managed Transition]  
[Managed to Native Transition]  
mscorlib.dll!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StackBuilderSink.PrivateProcessMessage(...[생략]...) + 0x1b bytes  
mscorlib.dll!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StackBuilderSink.SyncProcessMessage(...[생략]...) + 0x26a bytes    
mscorlib.dll!System.Runtime.Remoting.RemotingServices.ExecuteMessage(...[생략]...) + 0x63 bytes   
System.EnterpriseServices.dll!System.EnterpriseServices.ServicedComponentProxy.LocalInvoke(...[생략]...) + 0x1b3 bytes    
System.EnterpriseServices.dll!System.EnterpriseServices.ServicedComponentProxy.Invoke(...[생략]...) + 0x55 bytes  
System.EnterpriseServices.dll!System.EnterpriseServices.ServicedComponent.RemoteDispatchHelper(...[생략]...) + 0x38 bytes 
System.EnterpriseServices.dll!System.EnterpriseServices.ServicedComponent.System.EnterpriseServices.IRemoteDispatch.RemoteDispatchNotAutoDone(string s) + 0x14 bytes    
[Native to Managed Transition]  

다음으로, C/C++ 클라이언트를 만들고,

#include "stdafx.h"

#import "..\\..\\ConsoleApplication1\\ConsoleApplication1\\bin\\Debug\\TestCOMObj.tlb" no_namespace raw_interfaces_only

int _tmain(int argc, _TCHAR* argv[])
{
    CoInitialize(NULL);
    {
        _MyClassPtr ptr;
        ptr.CreateInstance(__uuidof(MyClass));

        VARIANT vtResult;
        ptr->DoIt(&vtResult);

    }

    CoUninitialize();

    return 0;
}

이제 호출을 해보면, C# COM+ 측의 콜스택이 어떻게 나올까요? 제 경우에는, 별반 다르지 않게 콜 스택이 나올 거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습니다.

complus_from_nativecall_1.png

보시는 것처럼, System.EnterpriseServices, System.Runtime.Remoting.Messaging 클래스가 전혀 관여하지 않고 Native 클라이언트로부터 온 호출이 직접 전달되고 있습니다.

즉, .NET COM+ 개체 자체의 GC 등으로 인한 영향을 제외한다면 Native 클라이언트로부터 .NET COM+ 개체를 호출하는 경우 오버헤드가 전혀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8/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10-14 11시18분
[ryujh] 안녕하세요.

native 클라이언트는 .net 의 존재(?)를 모르니까 COM+로 접근하여 개체를 호출하니까 이해가 가는데

COM+ 개체에서 디버깅을 보니 의문점이 있습니다.

개체가 실행시 어트리뷰트 설정대로 COM+ 에 등록해주니까 실행 후에 DoIt 안에서는 아무것도 안하니까 오버헤드가 없는걸로 보입니다.

DoIt 안에서 ServicedComponent 클래스 멤버를 사용하면 오버헤드가 걸리지 않는지요?

주제대로 호출했을 때만 비교한다면 의문점은 없지만 궁금해서 글남깁니다.


[guest]
2012-10-15 12시35분
"ryujh"님... 예를 들어, MyClass 안에 Test() 라는 메서드를 추가하고 그것을 DoIt 안에서 호출하면 오버헤드가 걸리지 않을까?.... 라는 질문인가요? 글쎄요... 구체적으로 어떤 오버헤드를 말씀하시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DoIt에서 Test 메서드를 부르면 DoIt과 Test메서드 사이에 콜스택이 더 있을 거라는 예상인가요? 아니면 Test메서드를 불렀기 때문에 Native에서 호출하는 경우 예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Native와 Managed사이의 콜스택이 더 있을 거라는 예상인가요?

질문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
정성태
2012-10-15 12시53분
[ryujh] 급하게 쓰느라고 질문이 잘못된 것 같습니다.

예제인 DoIt 호출시 콜스택의 오버헤드가 없는 것은 이해했고

DoIt 내부에서 ServiceComponent 의 메소드를 사용한다면 .net COM+ 관련 오버헤드가 생기지 않을지요? 이겁니다.

어찌보면 오버헤드가 생긴다는 당연한 것을 질문한것 같아서 잡설이 된것 같군요.

----

그리고 class 어트리뷰트가 DoIt 호출과는 무관한 것인지요?

이상입니다.



[guest]
2012-10-15 01시29분
일단 DoIt 으로 진입하면 그 이후의 호출은 닷넷이니까, 당연히 CLR위에서의 오버헤드는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클래스 어트리뷰트 중에서 딱히 어떤 것이 있을까요? 트랜잭션이나 JIT 설정이라면 어차피 그것들로 인해서 닷넷의 기능이 추가되는 것이 아니고 COM+ 에게 힌트를 주는 것이기 때문에 (예상으로는 ^^) 그다지 영향은 없을 것 같습니다.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50정성태2/8/20236637오류 유형: 843.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 Unable to configure HTTPS endpoint
13249정성태2/7/20235468오류 유형: 842. 리눅스 - You must wait longer to change your password
13248정성태2/7/20234378오류 유형: 841. 리눅스 - [사용자 계정] is not in the sudoers file. This incident will be reported.
13247정성태2/7/20235276VS.NET IDE: 180. Visual Studio -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 중 "Decompile source code"가 동작하는 않는 문제
13246정성태2/6/20234465개발 환경 구성: 664.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245정성태2/6/20235077.NET Framework: 2093. C# - PEM 파일을 이용한 RSA 개인키/공개키 설정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44정성태2/5/20234464VS.NET IDE: 179. Visual Studio - External Tools에 Shell 내장 명령어 등록
13243정성태2/5/20235289디버깅 기술: 190. windbg - Win32 API 호출 시점에 BP 거는 방법 [1]
13242정성태2/4/20234730디버깅 기술: 189. ASP.NET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의 숨겨진 예외 -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13241정성태2/3/20234124디버깅 기술: 188. ASP.NET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의 숨겨진 예외 -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13240정성태2/1/20234295디버깅 기술: 187. ASP.NET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의 숨겨진 예외 - System.Web.HttpException
13239정성태2/1/20233983디버깅 기술: 186. C# - CacheDependency의 숨겨진 예외 - System.Web.HttpException
13238정성태1/31/20236148.NET Framework: 2092. IIS 웹 사이트를 TLS 1.2 또는 TLS 1.3 프로토콜로만 운영하는 방법
13237정성태1/30/20235847.NET Framework: 2091. C# - 웹 사이트가 어떤 버전의 TLS/SSL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13236정성태1/29/20235269개발 환경 구성: 663. openssl을 이용해 인트라넷 IIS 사이트의 SSL 인증서 생성
13235정성태1/29/20234954개발 환경 구성: 662. openssl - 윈도우 환경의 명령행에서 SAN 적용하는 방법
13234정성태1/28/20236063개발 환경 구성: 661. dnSpy를 이용해 소스 코드가 없는 .NET 어셈블리의 코드를 변경하는 방법 [1]
13233정성태1/28/20237419오류 유형: 840. C# - WebClient로 https 호출 시 "The request was aborted: Could not create SSL/TLS secure channel" 예외 발생
13232정성태1/27/20235035스크립트: 43. uwsgi의 --processes와 --threads 옵션
13231정성태1/27/20234079오류 유형: 839. python - TypeError: '...' object is not callable
13230정성태1/26/20234485개발 환경 구성: 660. WSL 2 내부로부터 호스트 측의 네트워크로 UDP 데이터가 1개의 패킷으로만 제한되는 문제
13229정성태1/25/20235523.NET Framework: 2090. C# - UDP Datagram의 최대 크기
13228정성태1/24/20235657.NET Framework: 2089. C# - WMI 논리 디스크가 속한 물리 디스크의 정보를 얻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3227정성태1/23/20235266개발 환경 구성: 659. Windows - IP MTU 값을 바꿀 수 있을까요? [1]
13226정성태1/23/20234961.NET Framework: 2088. .NET 5부터 지원하는 GetRawSocketOption 사용 시 주의할 점
13225정성태1/21/20234137개발 환경 구성: 658. Windows에서 실행 중인 소켓 서버를 다른 PC 또는 WSL에서 접속할 수 없는 경우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