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닷넷: 2263. C# - Thread가 Task보다 더 빠르다는 어떤 예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8964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Thread가 Task보다 더 빠르다는 어떤 예제(?)

아래의 글에 대해,

6 ways to use parallelism with Tasks and Threads in C# .NET
; https://medium.com/@saulodacruz1999/6-ways-to-use-parallelism-with-tasks-and-threads-in-c-net-20c8bbd62102

이런 의견을 다루고 있는데요,

Thread가 Task보다 더 빠르다는 어떤 예제
; https://forum.dotnetdev.kr/t/thread-task/10745

그러니까, 원본 글을 쓴 사람이 11초가 걸린다는 아래의 코드를 보면,

var count = 0;
var anyObject = new object();
UseTasks();

void UseTasks()
{
    var tasks = new List<Task>();

    for (int i = 0; i < 100; i++)
    {
        var task = new Task(() =>
        {
            AnyMethod();
            lock (anyObject) count++;
        });

        task.Start();
        tasks.Add(task);
    }

    Task.WaitAll(tasks.ToArray());
}

void AnyMethod() => Thread.Sleep(1000);

// Time spent: 11 seconds

(Thread로 직접 구현하면 2초가 걸린다고 하는데, 이게 좀 이상하군요, 이론상 1초 정도에 끝납니다. 아마도 EXE 수준에서의 실행 시간을 측정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Task로 구현해 11초가 걸린다고 합니다. 그런데, 사실 이 문제는 Thread나 Task의 비교에서 올 것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둘 다 결국 Thread로 스케줄링이 될 뿐, 저렇게 차이가 나며 실행될 여지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왜 저런 결과가 나오는 것일까요?

저건 Task 자체의 문제는 아니고, (Task가 기반을 둔) ThreadPool의 스레드 운영 정책에서 기인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전에도 한 번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ThreadPool.QueueUserWorkItem의 실행 지연
; https://www.sysnet.pe.kr/2/0/1455

따라서, 100개의 스레드를 쓸 것이라는 가정을 한다면 애당초 그만큼 미리 스레드를 (별다른 조건 없이 빠르게) 준비하도록 다음과 같이 설정해 주면 됩니다.

ThreadPool.SetMinThreads(100, 100);

Stopwatch st = new Stopwatch();
st.Start();
// ...[이하 Task 사용 코드]....
st.Stop();
Console.WriteLine(st.ElapsedMilliseconds); // 출력 결과: 1022

1022ms니까, Task를 사용했어도 1초 내에 거의 마무리가 된 것입니다.




사실, "6 ways to use parallelism with Tasks and Threads in C# .NET" 글의 Task 예제를 각자의 컴퓨터에서 돌려보면 11초가 아닌, 다른 시간이 나올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이것은 ThreadPool의 정책으로 인해 미리 만들어 둔 스레드의 수가 문제인 건데요, 가령 제 컴퓨터에서는,

ThreadPool.GetMinThreads(out int workerThreads, out _);
Console.WriteLine($"{workerThreads}"); // 출력 결과: 24

미리 만들어 둔 스레드가 24개이므로 100개의 작업에 나뉘므로 대략 걸리는 시간을 이런 식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int expected = (int) Math.Ceiling(100.0f / workerThreads);
Console.WriteLine(expected); // 출력 결과: 5

실제로 (SetMinThreads 호출 없이) 제 컴퓨터에서 Task 예제를 돌리면 (11초가 아닌) 5040ms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저런 예측 시간 계산은 스레드풀의 스레드가 증가할 시간 내이기 때문에 거의 정확하게 들어맞은 것입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중간에 스레드를 늘리기 때문에 예측치가 빗나갈 수 있습니다.)

참고로, 왜 제 컴퓨터에서는 24개의 MinThread가 나왔을까요?

그것은, 24 HT/Core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 그리고 이런 것은 이미 문서에 어느 정도 공개돼 있는 내용입니다.

ThreadPool.GetMinThreads(Int32, Int32) Method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threading.threadpool.getminthreads

By default, the minimum number of threads is set to the number of processors on a system. When the minimum is reached, the thread pool can create additional threads in that category or wait until some tasks complet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685정성태9/6/201818484사물인터넷: 40. 이어폰 소리를 capacitor로 필터링파일 다운로드1
11684정성태9/6/201821110개발 환경 구성: 396. pagefile.sys를 비활성화시켰는데도 working set 메모리가 줄어드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1683정성태9/5/201818737개발 환경 구성: 395. Azure Web App의 이벤트 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11682정성태9/5/201817699오류 유형: 484. Fakes를 포함한 단위 테스트 프로젝트를 빌드 시 CS1729 관련 오류 발생
11681정성태9/5/201820385Windows: 149. 다른 컴퓨터의 윈도우 이벤트 로그를 구독하는 방법 [2]
11680정성태9/2/201822559Graphics: 21. shader - _Time 내장 변수를 이용한 UV 변동 효과파일 다운로드1
11679정성태8/30/201820565.NET Framework: 792. C# COM 서버가 제공하는 COM 이벤트를 C++에서 받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78정성태8/29/201818999오류 유형: 483. 닷넷 -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1]
11677정성태8/29/201816741오류 유형: 482. TFS - Could not find a part of the path '...\packages\Microsoft.AspNet.WebApi.5.2.5\.signature.p7s'.
11676정성태8/29/201827581.NET Framework: 791. C# - ElasticSearch를 위한 Client 라이브러리 제작 [1]파일 다운로드1
11675정성태8/29/201817759오류 유형: 481. The located assembly's manifest definition does not match the assembly reference.
11674정성태8/29/201819738Phone: 12. Xamarin - 기존 리모컨 기능을 핸드폰의 적외선 송신으로 구현파일 다운로드1
11673정성태8/28/201817004오류 유형: 480. Fritzing 실행 시 Ordinal Not Found 오류
11672정성태8/28/201817437오류 유형: 479. 윈도우 - 시스템 설정에서 도메인 참가를 위한 "Change" 버튼이 비활성화된 경우
11671정성태8/28/201823827사물인터넷: 39.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송신기 기본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1670정성태8/28/201822054사물인터넷: 38. 아두이노에서 적외선 수신기 기본 사용법 [1]파일 다운로드1
11669정성태8/24/201820842개발 환경 구성: 394.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블로그 검색 인덱스 구성
11668정성태8/24/201831870오류 유형: 478. 윈도우 업데이트(KB4458842) 이후 SQL Server 서비스 시작 오류
11667정성태8/24/201818641오류 유형: 477.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옵션 설정 시 SQL Server 2016 설치 오류 [1]
11666정성태8/22/201818547사물인터넷: 37. 아두이노 - 코딩으로 대신하는 오실레이터 회로의 소리 출력파일 다운로드1
11665정성태8/22/201821240사물인터넷: 36. 오실레이터 회로 동작을 아두이노의 코딩으로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64정성태8/22/201820864개발 환경 구성: 393. 윈도우 환경에서 elasticsearch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설치 [1]
11663정성태8/22/201823597개발 환경 구성: 392. 윈도우 환경에서 curl.exe를 이용한 elasticsearch 6.x 기본 사용법
11662정성태8/21/201817253사물인터넷: 35. 병렬 회로에서의 커패시터파일 다운로드1
11661정성태8/21/201819560사물인터넷: 34. 트랜지스터 동작 - 컬렉터-이미터 간의 저항 측정파일 다운로드1
11660정성태8/19/201818637사물인터넷: 33. 세라믹 커패시터의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