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Phone: 17. C# MAUI - Android 내에 Web 서비스 호스팅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8580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Phone: 16. C# MAUI - /Download 등의 공용 디렉터리에 접근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631

Phone: 17. C# MAUI - Android 내에 Web 서비스 호스팅
; https://www.sysnet.pe.kr/2/0/13632

Phone: 18. C# MAUI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의 Activity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3634

Phone: 21. C# MAUI - Android 환경에서의 파일 다운로드(DownloadManager)
; https://www.sysnet.pe.kr/2/0/13640




C# MAUI - Android 내에 Web 서비스 호스팅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Web Server를 호스팅해 볼 텐데요, 마침 이런 글이 있군요.

Running .NET Core Web host and Kestrel server on Xamarin Forms apps
; https://melihercan.medium.com/running-net-core-web-host-and-kestrel-server-on-xamarin-forms-apps-2c5e3a3df5a5

위의 글 내용 자체는 ASP.NET Core를 호스팅하는 것이지만, 일단은 편하게 EmbedIO 패키지를 참조하는 것으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Install-Package EmbedIO

이후 README 문서에 따라,

unosquare/embedio
; https://github.com/unosquare/embedio/

다음과 같이 MAUI에 코드를 추가하면 됩니다.

using EmbedIO;
using EmbedIO.Actions;

namespace MauiApp1;

public partial class App : Application
{
    WebServer? _webServer;
    string _url = "http://localhost:9696/";

    public App()
    {
        InitializeComponent();

        MainPage = new AppShell();

        _webServer = CreateWebServer(_url);
        _webServer.RunAsync();
    }

    private static WebServer CreateWebServer(string url)
    {
        var server = new WebServer(o => o
                .WithUrlPrefix(url)
                .WithMode(HttpListenerMode.EmbedIO))
            .WithLocalSessionManager()
            .WithModule(new ActionModule("/", HttpVerbs.Get, ctx => GetFile(ctx)));

        server.StateChanged += (s, e) =>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WebServer New State - {e.NewState}");
        };

        return server;
    }

    private static async Task GetFile(IHttpContext ctx)
    {
        await ctx.SendDataAsync(new { Message = "Test" });
    }
}

Emulator에 실행시키면 이제 http:9696으로 웹 서비스를 하게 되는데요, 테스트를 위해 Emulator를 호스팅하는 측에서 adb.exe로 port forward 설정을 하고,

adb forward tcp:9696 tcp:9696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http://localhost:9696" 링크를 방문하면 화면에 다음과 같은 반환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Message": "Test"
}

간단하죠? ^^




혹시, 저 웹 서버로 MAUI MediaElement의 Source 링크를 걸면 어떻게 될까요?

private void OnPlayClicked(object sender, EventArgs e)
{
    mediaPlayer.Source = MediaSource.FromUri("http://localhost:9696");
    mediaPlayer.Play();
}

물론, 저런 경우 GetFile 메서드에서 mp4 파일을 읽어 반환하면 될 텐데요,

private static async Task GetFile(IHttpContext ctx)
{
    // Resources/Raw/file_example_MP4_1920_18MG.mp4
    using var stream = await FileSystem.OpenAppPackageFileAsync("file_example_MP4_1920_18MG.mp4");
        
    var responseStream = ctx.OpenResponseStream();
    stream.CopyTo(responseStream);
}

하지만 그전에 MediaElement 측에서 이런 예외가 발생합니다.

[ExoPlayerImplInternal] Playback error
[ExoPlayerImplInternal]   com.google.android.exoplayer2.ExoPlaybackException: Source error
[ExoPlayerImplInternal]       at com.google.android.exoplayer2.ExoPlayerImplInternal.handleIoException(ExoPlayerImplInternal.java:684)
[ExoPlayerImplInternal]       at com.google.android.exoplayer2.ExoPlayerImplInternal.handleMessage(ExoPlayerImplInternal.java:656)
[ExoPlayerImplInternal]       at android.os.Handler.dispatchMessage(Handler.java:102)
[ExoPlayerImplInternal]       at android.os.Looper.loopOnce(Looper.java:201)
[ExoPlayerImplInternal]       at android.os.Looper.loop(Looper.java:288)
[ExoPlayerImplInternal]       at android.os.HandlerThread.run(HandlerThread.java:67)
[ExoPlayerImplInternal]   Caused by: com.google.android.exoplayer2.upstream.HttpDataSource$CleartextNotPermittedException: Cleartext HTTP traffic not permitted. See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topics/media/issues/cleartext-not-permitted
...[생략]...

이에 대해서는 위의 링크에도 설명하고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측의 문서를 봐도 됩니다.

Connect to local web services from Android emulators and iOS simulator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maui/data-cloud/local-web-services

한 마디로, http 통신은 허용하지 않고 https만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http 통신을 원한다면 약간의 설정을 더 추가하면 되는데요, 이를 위해, 우선 Platforms\Android\Resources\xml 디렉터리에 network_security_config.xml 파일명으로 다음의 내용을 포함해 둡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network-security-config>
    <domain-config cleartextTrafficPermitted="true">
        <domain includeSubdomains="true">localhost</domain>
    </domain-config>
</network-security-config>

그리고, 반드시 저 파일의 "Build Action"을 "AndroidResource"로 설정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컴파일 시 "error APT2260: resource xml/network_security_config (aka com.companyname.simpleplayer:xml/network_security_config) not found." 오류가 발생합니다.

그다음 AndroidManifest.xml에 위의 파일 경로를 networkSecurityConfig 속성으로 알립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manifes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application android:allowBackup="true" 
                 android:networkSecurityConfig="@xml/network_security_config"
                 android:icon="@mipmap/appicon" android:roundIcon="@mipmap/appicon_round" android:supportsRtl="true"></application>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ACCESS_NETWORK_STATE"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INTERNET" />
</manifest>

끝입니다. 이제 다시 실행하면, Web Server는 Resources/Raw/file_example_MP4_1920_18MG.mp4 파일을 읽어 반환하고, MediaElement는 이를 받아 동영상을 화면에 출력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86정성태2/28/202216398.NET Framework: 1168. C# -IIncrementalGenerator를 적용한 Version 2 Source Generator 실습 [1]
12985정성태2/28/202215774.NET Framework: 1167. C# -Version 1 Source Generator 실습
12984정성태2/24/202214913.NET Framework: 116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filtering_video.c 예제 포팅
12983정성태2/24/202215003.NET Framework: 1165. .NET Core/5+ 빌드 시 runtimeconfig.json에 설정을 반영하는 방법
12982정성태2/24/202214954.NET Framework: 1164. HTTP Error 500.31 - ANCM Failed to Find Native Dependencies
12981정성태2/23/202213758VC++: 154. C/C++ 언어의 문자열 Literal에 인덱스 적용하는 구문 [1]
12980정성태2/23/202215218.NET Framework: 1163. C# - 윈도우 환경에서 usleep을 호출하는 방법 [2]
12979정성태2/22/202220739.NET Framework: 1162. C# - 인텔 CPU의 P-Core와 E-Core를 구분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2
12978정성태2/21/202215854.NET Framework: 116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sampling_audio.c 예제 포팅
12977정성태2/21/202220583.NET Framework: 116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 디코딩
12976정성태2/21/202214395VS.NET IDE: 174. Visual C++ - "External Dependencies" 노드 비활성화하는 방법
12975정성태2/20/202216434.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74정성태2/20/202214383.NET Framework: 1158. C# - SqlConnection의 최소 Pooling 수를 초과한 DB 연결은 언제 해제될까요?
12973정성태2/16/202217552개발 환경 구성: 639. ffmpeg.exe - Intel Quick Sync Video(qsv)를 이용한 인코딩 [3]
12972정성태2/16/202215987Windows: 200. Intel CPU의 내장 그래픽 GPU가 작업 관리자에 없다면? [4]
12971정성태2/15/202218987.NET Framework: 115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7]파일 다운로드2
12970정성태2/15/202215586.NET Framework: 1156.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h264 형식의 파일로 쓰기 [1]파일 다운로드1
12969정성태2/14/202213783개발 환경 구성: 638.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968정성태2/14/202214390오류 유형: 794. msbuild 에러 - error NETSDK1005: Assets file '...\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
12967정성태2/14/202214635VC++: 153. Visual C++ - C99 표준의 Compund Literals 빌드 방법 [4]
12966정성태2/13/202214430.NET Framework: 1155.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yuv420p + rawvideo 형식의 파일로 쓰기파일 다운로드1
12965정성태2/13/202214464.NET Framework: 1154.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의 C# 버전
12964정성태2/11/202215076.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63정성태2/11/202215615.NET Framework: 1152.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파일 다운로드1
12962정성태2/9/202214975오류 유형: 793.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 제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재고가 없는 것일 수 있습니다.
12961정성태2/8/202215108.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7]파일 다운로드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