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Phone: 17. C# MAUI - Android 내에 Web 서비스 호스팅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8589
글쓴 사람
정성태 (seongtaejeong at gmail.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Phone: 16. C# MAUI - /Download 등의 공용 디렉터리에 접근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631

Phone: 17. C# MAUI - Android 내에 Web 서비스 호스팅
; https://www.sysnet.pe.kr/2/0/13632

Phone: 18. C# MAUI -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의 Activity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3634

Phone: 21. C# MAUI - Android 환경에서의 파일 다운로드(DownloadManager)
; https://www.sysnet.pe.kr/2/0/13640




C# MAUI - Android 내에 Web 서비스 호스팅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Web Server를 호스팅해 볼 텐데요, 마침 이런 글이 있군요.

Running .NET Core Web host and Kestrel server on Xamarin Forms apps
; https://melihercan.medium.com/running-net-core-web-host-and-kestrel-server-on-xamarin-forms-apps-2c5e3a3df5a5

위의 글 내용 자체는 ASP.NET Core를 호스팅하는 것이지만, 일단은 편하게 EmbedIO 패키지를 참조하는 것으로 시작해 보겠습니다.

Install-Package EmbedIO

이후 README 문서에 따라,

unosquare/embedio
; https://github.com/unosquare/embedio/

다음과 같이 MAUI에 코드를 추가하면 됩니다.

using EmbedIO;
using EmbedIO.Actions;

namespace MauiApp1;

public partial class App : Application
{
    WebServer? _webServer;
    string _url = "http://localhost:9696/";

    public App()
    {
        InitializeComponent();

        MainPage = new AppShell();

        _webServer = CreateWebServer(_url);
        _webServer.RunAsync();
    }

    private static WebServer CreateWebServer(string url)
    {
        var server = new WebServer(o => o
                .WithUrlPrefix(url)
                .WithMode(HttpListenerMode.EmbedIO))
            .WithLocalSessionManager()
            .WithModule(new ActionModule("/", HttpVerbs.Get, ctx => GetFile(ctx)));

        server.StateChanged += (s, e) =>
        {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WebServer New State - {e.NewState}");
        };

        return server;
    }

    private static async Task GetFile(IHttpContext ctx)
    {
        await ctx.SendDataAsync(new { Message = "Test" });
    }
}

Emulator에 실행시키면 이제 http:9696으로 웹 서비스를 하게 되는데요, 테스트를 위해 Emulator를 호스팅하는 측에서 adb.exe로 port forward 설정을 하고,

adb forward tcp:9696 tcp:9696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http://localhost:9696" 링크를 방문하면 화면에 다음과 같은 반환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Message": "Test"
}

간단하죠? ^^




혹시, 저 웹 서버로 MAUI MediaElement의 Source 링크를 걸면 어떻게 될까요?

private void OnPlayClicked(object sender, EventArgs e)
{
    mediaPlayer.Source = MediaSource.FromUri("http://localhost:9696");
    mediaPlayer.Play();
}

물론, 저런 경우 GetFile 메서드에서 mp4 파일을 읽어 반환하면 될 텐데요,

private static async Task GetFile(IHttpContext ctx)
{
    // Resources/Raw/file_example_MP4_1920_18MG.mp4
    using var stream = await FileSystem.OpenAppPackageFileAsync("file_example_MP4_1920_18MG.mp4");
        
    var responseStream = ctx.OpenResponseStream();
    stream.CopyTo(responseStream);
}

하지만 그전에 MediaElement 측에서 이런 예외가 발생합니다.

[ExoPlayerImplInternal] Playback error
[ExoPlayerImplInternal]   com.google.android.exoplayer2.ExoPlaybackException: Source error
[ExoPlayerImplInternal]       at com.google.android.exoplayer2.ExoPlayerImplInternal.handleIoException(ExoPlayerImplInternal.java:684)
[ExoPlayerImplInternal]       at com.google.android.exoplayer2.ExoPlayerImplInternal.handleMessage(ExoPlayerImplInternal.java:656)
[ExoPlayerImplInternal]       at android.os.Handler.dispatchMessage(Handler.java:102)
[ExoPlayerImplInternal]       at android.os.Looper.loopOnce(Looper.java:201)
[ExoPlayerImplInternal]       at android.os.Looper.loop(Looper.java:288)
[ExoPlayerImplInternal]       at android.os.HandlerThread.run(HandlerThread.java:67)
[ExoPlayerImplInternal]   Caused by: com.google.android.exoplayer2.upstream.HttpDataSource$CleartextNotPermittedException: Cleartext HTTP traffic not permitted. See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topics/media/issues/cleartext-not-permitted
...[생략]...

이에 대해서는 위의 링크에도 설명하고 있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측의 문서를 봐도 됩니다.

Connect to local web services from Android emulators and iOS simulator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maui/data-cloud/local-web-services

한 마디로, http 통신은 허용하지 않고 https만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물론, http 통신을 원한다면 약간의 설정을 더 추가하면 되는데요, 이를 위해, 우선 Platforms\Android\Resources\xml 디렉터리에 network_security_config.xml 파일명으로 다음의 내용을 포함해 둡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network-security-config>
    <domain-config cleartextTrafficPermitted="true">
        <domain includeSubdomains="true">localhost</domain>
    </domain-config>
</network-security-config>

그리고, 반드시 저 파일의 "Build Action"을 "AndroidResource"로 설정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컴파일 시 "error APT2260: resource xml/network_security_config (aka com.companyname.simpleplayer:xml/network_security_config) not found." 오류가 발생합니다.

그다음 AndroidManifest.xml에 위의 파일 경로를 networkSecurityConfig 속성으로 알립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manifest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application android:allowBackup="true" 
                 android:networkSecurityConfig="@xml/network_security_config"
                 android:icon="@mipmap/appicon" android:roundIcon="@mipmap/appicon_round" android:supportsRtl="true"></application>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ACCESS_NETWORK_STATE" />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INTERNET" />
</manifest>

끝입니다. 이제 다시 실행하면, Web Server는 Resources/Raw/file_example_MP4_1920_18MG.mp4 파일을 읽어 반환하고, MediaElement는 이를 받아 동영상을 화면에 출력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62정성태3/15/202117932개발 환경 구성: 550. C# - JIRA REST API 사용 정리 (2) JIRA OAuth 토큰으로 API 사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561정성태3/12/202116680VS.NET IDE: 159. Visual Studio에서 개행(\n, \r) 등의 제어 문자를 치환하는 방법 - 정규 표현식 사용
12560정성태3/11/202117736개발 환경 구성: 549. ssh-keygen으로 생성한 PKCS#1 개인키/공개키 파일을 각각 PKCS8/PEM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12559정성태3/11/202117979.NET Framework: 1028. 닷넷 5 환경의 Web API에 OpenAPI 적용을 위한 NSwag 또는 Swashbuckle 패키지 사용 [2]파일 다운로드1
12558정성태3/10/202117064Windows: 192. Power Automate Desktop (Preview) 소개 - Bitvise SSH Client 제어 [1]
12557정성태3/10/202115281Windows: 191. 탐색기의 보안 탭에 있는 "Object name" 경로에 LEFT-TO-RIGHT EMBEDDING 제어 문자가 포함되는 문제
12556정성태3/9/202113552오류 유형: 703. PowerShell ISE의 Debug / Toggle Breakpoint 메뉴가 비활성 상태인 경우
12555정성태3/8/202116856Windows: 190. C# - 레지스트리에 등록된 DigitalProductId로부터 라이선스 키(Product Key)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2554정성태3/8/202116411.NET Framework: 1027. 닷넷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PDB 옵션 - full, pdbonly, portable, embedded
12553정성태3/5/202116407개발 환경 구성: 548. 기존 .NET Framework 프로젝트를 .NET Core/5+ 용으로 변환해 주는 upgrade-assistant, try-convert 도구 소개 [4]
12552정성태3/5/202115861개발 환경 구성: 547.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Visual Studio Marketplace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12551정성태3/5/202114221오류 유형: 702.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2)
12550정성태3/5/202113966오류 유형: 701. Live Share 1.0.3713.0 버전을 1.0.3884.0으로 업데이트 이후 ContactServiceModelPackage 오류 발생하는 문제
12549정성태3/4/202115258오류 유형: 700. VsixPublisher를 이용한 등록 시 다양한 오류 유형 해결책
12548정성태3/4/202116380개발 환경 구성: 546.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nuget 패키지 등록하는 방법
12547정성태3/3/202117039오류 유형: 699. 비주얼 스튜디오 - The 'Cascade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2546정성태3/3/202116869개발 환경 구성: 545. github workflow/actions에서 빌드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Encrypted secrets
12545정성태3/2/202119735.NET Framework: 1026. 닷넷 5에 추가된 POH (Pinned Object Heap) [10]
12544정성태2/26/202119943.NET Framework: 1025. C# - Control의 Invalidate, Update, Refresh 차이점 [2]
12543정성태2/26/202117928VS.NET IDE: 158. C# - 디자인 타임(design-time)과 런타임(runtime)의 코드 실행 구분
12542정성태2/20/202119586개발 환경 구성: 544. github repo의 Release 활성화 및 Actions를 이용한 자동화 방법 [1]
12541정성태2/18/202117168개발 환경 구성: 543. 애저듣보잡 - Github Workflow/Actions 소개
12540정성태2/17/202118281.NET Framework: 1024. C# - Win32 API에 대한 P/Invoke를 대신하는 Microsoft.Windows.CsWin32 패키지
12539정성태2/16/202118191Windows: 189. WM_TIMER의 동작 방식 개요파일 다운로드1
12538정성태2/15/202118661.NET Framework: 1023. C# - GC 힙이 아닌 Native 힙에 인스턴스 생성 - 0SuperComicLib.LowLevel 라이브러리 소개 [2]
12537정성태2/11/202119353.NET Framework: 1022. UI 요소의 접근은 반드시 그 UI를 만든 스레드에서! - 두 번째 이야기 [2]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